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34127772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25-01-31
책 소개
목차
추천사 1 정근두 박사︱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총장 1
추천사 2 오덕교 박사︱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총장 3
추천사 3 이준호 목사︱신약신학Ph.D., cand. 5
추천사 4 문한솔 의사︱Dental Surgeon cand. 7
저자 서문 14
제1장 서론 17
1. 〈칼빈-퍼킨스-에임스 체인〉(the Calvin-Perkins-Ames’ chain) 17
2. 책의 주제(esis)와 방법(Methodology) 20
제2장 어거스틴의 언약신학 25
1. 어거스틴의 『하나님의 도성』에 나타난 언약신학 26
2. 어거스틴 언약신학의 특징: 그리스도 중심의 상호적 언약신학 33
제3장 존 칼빈의 언약신학 47
1. 칼빈의 언약신학 이해 49
2. 칼빈의 ‘십계명’ 주석에 나타난 언약신학 74
3. 언약신학으로 본 칼빈의 율법에 대한 제3용법 115
제4장 윌리암 퍼킨스의 언약신학 125
1. 퍼킨스의 언약신학 개념 131
2. 퍼킨스의 ‘십계명’ 주해에 나타난 언약신학 174
3. 언약신학으로 본 퍼킨스의 율법에 대한 제3용법 217
제5장 윌리암 에임스의 언약신학 226
1. 에임스의 『신학의 정수』에 나타난 언약신학 232
2. 에임스 언약신학의 특징: 그리스도 중심의 교회론적 언약신학 237
3. ‘칼빈-퍼킨스-에임스’ 언약신학의 연속 255
제6장 칼빈-퍼킨스-에임스 언약신학의 유산 258
1. 네덜란드 도르트 신조의 언약신학 259
2. 영국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언약신학 269
3. 미국 케임브리지 강령과 조나단 에드워즈의 언약신학 289
제7장 결론: 칼빈- 퍼킨스-에임스 언약신학의 청출어람 308
참고 문헌 317
저자소개
책속에서
“성경의 가르침을 출발점으로 한 언약신학이, 칼빈-퍼킨스-에임스 체인(the Calvin-Perkins-Ames chain)을 따라 이후에 지속적으로 이어져 가도록 한 장본인이 다름아닌 어거스틴(Augustine)이다...스콧 클락크은 이에 대해 ‘어거스틴에게서 이미 존재하나 아직 발전되기 전의 형태(present but undeveloped)인 언약신학을 발견한다’고 말한다.”
“칼빈의 언약신학이 철저하게 성경에 기반하고 있으되, 그의 언약신학이 내용상 분명히 그리스도 중심적이고 율법에 있어서도 역사적으로 연결되는 통전적임을 발견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율법 자체가 가지고 있는 언약관계 속에서의 하나님과 인간과의 관계와, 인간 간의 관계에 관한 내용을 펼쳐보게 될 것이다. 이를 그리스도는 모두 보이셨고 친히 모범이 되시기에 이를 지향하는 신자의 자세인 율법의 제3용법을 통해서, 선행으로 표출되는 성화는 언약 관계에서 신자가 지향할 내용임을 확증할 수 있다.”
“이러한 퍼킨스의 언약신학에서 “칼빈-퍼킨스-에임스 체인Calvin-Perkins-Ames’ chain)”을 살피는 일은 칼빈과 같이 그리스도 중심으로 하여 하나님의 절대주권을 강조하는 예정론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인간의 신앙적 책임을 강조하는 상호적 언약의 성격임을 드러내는 일이다. 이를 통해, 퍼킨스는 칼빈의 언약신학 위에 자신의 언약신학을 세우고 나아가 시대와 상황에 맞게 발전시킨 것임을 확증할 수 있다. 이에 대해 티모시 조지는 퍼킨스가 제시한 “구원의 서정”이 라무스주의의 영향 가운데서 칼빈의 신학을 변호할 뿐 아니라 나아가 칼빈의 신학을 더욱 정교하게 하였다고 평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