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정치비평/칼럼
· ISBN : 9788935656899
· 쪽수 : 580쪽
· 출판일 : 2006-08-30
목차
어떤 서사(序辭) /고은
머리말
연보
찾아보기
1장
강요된 권위와 언론자유
2장
중국 외교의 이론과 실제
대륙중국에 대한 시각 조정
권력의 역사와 민중의 역사
사상적 변천으로 본 중국 근대화 100년
중국 지도체제의 형성 과정
3장
조건반사의 토끼
현해탄
텔레비전의 편견과 반지성
외화와 일본인
사하로프―동정과 반성
4장
미군 감축과 한·일 안보관계의 전망
일본 재등장의 배경과 현실
한국 유엔외교의 새 국면
베트남전쟁 1
베트남전쟁 2
5장
직업 수필 4제
기자 풍토 종횡기
6장
한·미 안보체제의 역사와 전망
저자소개
책속에서
제2차 세계대전 후의 세계사적 방향은 식민지 인민의 해방과 독립이었다. 그런데도 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해방된 베트남 인민의 독립을 분쇄하고 재식민지화하려고 베트남에서 전쟁을 일으킨 프랑스에 군사.경제 원조를 제공한 것이다. 트루만 정원의 이 같은 행동이 역대의 아이젠하워, 케네디, 존슨(그리고 닉슨)의 정권으로 교체되면서 결과적으로는 자기기만일 수밖에 없다는 것을 입증했다. 이 냉전의식의 자기기만성은 정부지도자들이나 미국의 지배층을 구성하는 군부.경제계.재계.극우익 등뿐 아니라 대부분의 지성인들의 가치관마저 좀먹었다. 지성인들만이라도 냉전의식의 소모성과 부정적 해독과 자기기만성을 냉철하게 인식하고 있었다면 그동안의 미국 사회와 국민의 비극은 피할 수 있었을지 모른다. 냉전의식은 너무도 큰 희생과 대가를 미국 시민에게 치르게 했다.
미국은 창조력을 가지 대국가이면서도 자기 제도와 이념의 자유로운 창조적 발전을 목표로 하지 않고 세계의 작은 국가와 인민의 솟아오르는 목표와 염원과 해결을 까부수는 데 전력을 동원했던 것이다. 미국의 힘은 무엇인가 남의 가치를 '반대'하기 위해서만 쓰여졌다.--본문 42~43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