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그들의 문학과 생애, 박세영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작가론
· ISBN : 9788935659777
· 쪽수 : 262쪽
· 출판일 : 2008-01-31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작가론
· ISBN : 9788935659777
· 쪽수 : 262쪽
· 출판일 : 2008-01-31
책 소개
역사의 격랑에 잊혀진 탁월한 우리 문학가들의 파란만장한 생애 조명한 납.월북 문학가평전. 1988년 납·월북 문학예술인에 대한 정부의 공식 해금이 있은 이후, 그동안 축적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발간된 평전 총서이다. 한국문학평론가협회와 한길사가 공동 기획하고 문화관광부가 지원했으며, 국내 문학평론가들이 집필했다.
목차
머리말
흙을 파먹던 가난―어린 시절
‘문제없다’ 박세영―학창시절
3·1운동 참가로 퇴학
가난 속의 낙관성
피바다에서 은하수로
중국 유학, ‘호랑이굴’을 떠돌다
투쟁과 망명―카프 시절
염군사와 카프 활동―사회주의에 투신
불굴의 저항―그 날이 오면
‘소시민성’을 벗고자―농촌에서 활력을 얻다
노농대중과의 의사소통―그 시도와 한계
식민지 검열과 그 우회―‘쓸 수 있었던 것’으로서의 문학
삶의 투쟁에 대한 열패감―마흔에 망명하다
체제내 시인으로 살다―월북 이후
북한 애국가 작사―인민주의와 자연침탈성
먹고 남아 ‘나무리벌’―토지개혁 현장의 시편들
‘밖’에서 발견한 ‘조국’, 단성화(單聲化)되는 ‘인민’―외국기행시
끝까지 숙청당하지 않은 박세영―정률의 회고
맺음말
보론: 박세영의 시세계―리얼리즘과 미적 근대성을 중심으로 심 선 옥(세명대 강사)
문제의 제기
식민지 농촌 현실의 형상화
계급의식과 변혁운동의 형상화
혁명적 낭만주의의 구현
정론시와 선전· 선동시의 창작
결론
주
참고문헌
박세영 연보
작품목록
연구서지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