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88935917587
· 쪽수 : 704쪽
· 출판일 : 2016-11-1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1부 청조 초기의 사상계
서론
제1장 청조 초기 정주학파의 제자들
1. 청조 초기 이학의 세 가지 유형
2. 웅사리(熊賜履)의 이학 사상
3. 이광지(李光地)의 이학 학설
4. 육농기(陸?其)의 존주출왕론(尊朱黜王論)
5. 장이상의 순응지도(順應之道)
제2장 이학(理學)과 심학(心學)의 최후 논쟁
1. 논쟁의 시말과 내용 개요
2.‘심(心)’은 곧‘이(理)’라는 관점에 대하여
3. 격물치지(格物致知)에 관하여
4. 지행합일(知行合一)에 관하여
5. 양가(兩家)의 총론
제3장 청초의 사회 비판 사조
1. 청초 비판 사조의 일반적 특징
2. 봉건 군주제에 대한 황종희의 비판
3. 도학에 대한 주이존의 비판
4. 도통론에 대한 비밀의 비판
5. 경학에 대한 염약거·만사동의 비판
6. 점성술에 대한 매문정의 비판
제4장 왕부지 기일원론의 논리적 구조(상)
1. 생애와 저술
2. 기(氣), 왕부지 철학의 최고 범주
3.‘물(物)’및 그 논리적 연역
제5장 왕부지 기일원론의 논리적 구조(하)
1. 성(誠) 및 그 논리적 변이
2. 덕(德) 및 그 논리적 연역
3. 생(生) 및 그 논리적 변이
제6장 안원(顔元)의 실학 사상과 이학에 대한 비판
1. 사상과 저술
2. 인성론(人性論)
3. 습득·실행·경세에 관한 실학 사상
4. 주·육 두 파에 대한 비판
5. 3대를 본받아 발휘하는 치세 이론
2부 청조 대가들의 사상 학설
제7장 안학에 대한 이공의 발양 및 수정
1. 생애와 업적
2. 안학(顔學)에 대한 발양
3. 안학에 대한 수정
4. 안리학파에 관한 학술 공안(公案)
제8장 진확의 철학과 왕문 심학
1. 왕학의 지와 행 및 본체와 공부의 내재적 모순
2. 심성설·이욕론 및 지행관
3. 진확 철학과 왕문 심학의 종결
3부 청조 중기의 철학 성취와 사조
제9장 고증학 중의 철학
1. 청대 고증학과 그 창시
2. 고증학 중의 경험파와 이성파의 두 가지 학풍
3. 고증학의 분합(分合)·실허(實虛)와 술작(述作)
제10장 금문(今文) 경학의 부흥 및 공자진의 역사 철학
1. 금문 경학의 부흥 및 주요 대표
2. 위원의 경학 사상
3. 공자진의 경학과 역사 철학
결론
저자소개
책속에서
●고염무는 경학이 곧 이학이라고 말하였으나 비밀은 경학이 곧 유학이라고 말하면서 다음과 같이 인정하였다.
-이제 삼왕(二帝三王)의 규범과 훌륭한 제도는 선성(先聖)인 공자가 간책에 쓰고 경으로 정한 것이다. 오늘에 와서는 도맥(道脈)이 되었다. 그러므로 도맥은 선성 공자로부터 시작되었다.
●‘왕부지의 도덕 철학에는 덕과 예가 있거니와 도(道)도 있다. 인류 도덕 생활의 가치로서 이들의 판단 표준에는 모두 동등한 의의가 존재한다.
왕부지가 말하는 유도(有道)란 사람들이 행위 면에서 덕과 예가 통일된 행위 준칙을 자각적으로 준수함을 가리키기 때문에 그는 예의 유무를 사람과 짐승을 구분하는 계선으로 삼았을 뿐 아니라 도의 유무를 사람과 짐승을 구분하는 표준으로도 삼았다.
●주·육 두 파의 학술 오류는 이미 백성의 화를 빚어냈다. 그러므로 안원은 일부 학자들처럼 순수히 학문의 각도에서 주·육 두 파의 시비 득실을 평가한 것이 아니라 학술로부터 세도에 미쳐 주·육 두 파의 학교(學敎)가 이 세상과 만민에게 화를 남겨 주었다고 견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