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식품영양학/조리
· ISBN : 9788936308391
· 쪽수 : 325쪽
· 출판일 : 2008-09-01
목차
제 1 장 서론
1. 영양판정의 정의와 목적
1) 영양판정의 정의
2) 영양판정의 목적
2. 영양불량의 분류와 원인
1) 영양불량의 분류
2) 영양불량의 원인
3. 영양판정 조사방법
1) 식사섭취 조사법
2) 임상증상 조사법
3) 신체계측법
4) 생화학적 조사법
5) 기타 요인 조사
4. 영양판정의 적용과 영양판정체계의 분류
1) 영양판정의 적용
2) 영양판정체계의 분류
3) 영양판정체계 수립시 고려하여야 할 요인들
5. 영양판정 측정치의 평가
1) 참고치 분포
2) 참고경계치
3) 판정기준치
4) 표준치
참고문헌
제 2 장 식사섭취 조사법
1. 식사섭취 조사법의 개요
2. 국가 및 가계수준에서의 식품섭취 조사법
1) 식품수급표
2) 식품계정조사
3) 식품열거조사
4) 식품소비조사
5) 국민건강.영양조사
3. 개인 및 집단을 대상으로 한 식사섭취 조사법
1) 24시간 회상법
2) 식사기록법
3) 식품섭취빈도법
4) 식사력조사법
5) 실측법
6) 직접분석법
4. 영양소 섭취량 조사를 위한 보조도구
5. 식사섭취 조사시의 측정오차
1) 측정오차를 유발하는 원인
2) 측정오차에 대한 대책
6. 식사섭취 조사방법의 선택
1) 식사섭취 조사방법의 신뢰도
2) 식사섭취 조사방법의 타당도
3) 조사대상별 식사섭취 조사방법
7. 영양소 섭취량 평가
1) 식품성분표의 이용
2) 영양소 데이터베이스의 전산화
3) 상품화된 소프트웨어의 사용
4) 영양소 섭취량의 평가
식사섭취 조사법 실습
참고문헌
제 3 장 임상증상 조사법
1. 임상증상 조사법의 특성
2. 영양상태와 관련된 신체적 증후
3. 대표적인 영양불량
1) 마라스무스
2) 콰시오카
참고문헌
제 4 장 신체계측법
1. 신체계측의 개요
2. 신체계측법의 특성
1) 장점
2) 단점
3. 오차의 원인
1) 측정 오차
2) 신체조직의 구성성분의 변화
3) 타당하지 못한 가설의 적용
4. 신체계측의 분류
1) 성장의 측정
2) 체조성의 측정
5. 신체계측 기준치
1) 지역기준치
2) 국제기준치
6. 측정결과의 판정
1) 판정지표
2) 영양불량의 판정
신체계측 실험
참고문헌
제 5 장 생화학적 조사
1. 생화학적 조사의 개요
2. 단백질 영양상태
1) 질소 평형
2) 뇨 크레아티닌
3) 혈청 단백질
4) 면역능
3. 철분 영양상태
1) 체내 철분 상태의 단계
2) 헤모글로빈
3) 헤마토크리트
4) 혈구의 평균용적
5) 혈구의 평균 헤모글로빈양
6) 혈청 철분, 총 철분결합능 및
7) 혈청 페리틴
트랜스페린 포화도
8) 적혈구 프로토포르피린
4. 칼슘과 아연 영양상태
1) 칼슘
2) 아연
5. 지용성 비타민의 영양상태
1) 비타민 A
2) 비타민 D
3) 비타민 E
1) 혈청과 백혈구내의 비타민 C 함량
7. 비타민 B1, B2, 니아신과 비타민 B6
1) 비타민 B1
2) 비타민 B2
3) 니아신
4) 비타민 B6
8. 엽산과 비타민 B12
1) 엽산
2) 비타민 B12
9. 혈액 생화학 검사
1) SGPT
2) SGOT
3)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4) 젖산 탈수소효소
5) 빌리루빈
6) 혈액의 총 요소 질소
7) 크레아티닌
8) 나트륨
9) 칼륨
10) 염소
11) 칼슘
12) 인
13) 탄산가스
14) 혈당
15) 콜레스테롤
16) 중성지방
생화학적 조사법 실험
참고문헌
제 6 장 지역사회에서의 영양판정의 적용
1. 지역사회 영양문제의 특성
2. 지역사회 영양판정의 의의
참고문헌
제 7 장 환자의 영양판정
1. 입원환자의 영양판정
1) 영양판정의 기준 및 척도
2) 영양판정의 단계
3) 영양모니터링
2. 재택환자의 영양판정
참고문헌
부록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