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의 이해
· ISBN : 9788936413071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08-04-30
책 소개
목차
서남동양학술총서 간행사| 21세기에 다시 쓴 간행사
책머리에|동아시아의 문화적 용광로,한역불전
제1장 중국 역경사의 거시적 소묘
1.번역문을 둘러싼 갈등:내용이냐 형식이냐?
2.번역의 일차적 현실태:격의(格義)
3.번역의 실현:구마라집과 현장의 번역
4.중국 역경사의 교훈
제2장 중국 역경사의 명장면
1.붓다(buddha)의 한역 '불(佛)'
2.다르마(dharma)의 한역 '법(法)'
3.상가(samgha)의 한역 '승(僧)'
4.수수께끼의 첫 한역 『사십이장경』
5.중국 역경사의 효시 안세고
6.대승경전의 첫 역경가 지루가참
7.삼국시대의 역경작업:오나라의 '지혜주머니'지겸과 강남불교의 홍륭자 강승희
8.양진시대 불교계의 동향
9.위진현학과 불교
10.서진의 '돈황보살'축법호
11.오호십육국시대의 '대화상'불도징:불교와 민족
12.중국 역경사의 길잡이 도안
13.중국 역경사의 첫 분수령 구마라집
14.구마라집의 문하:승조와 축도생
15.북량의 비운의 역경가 담무참
16.남북조시대 불교계의 동향
17.남조의 '마하연'구나발타라
18.북조의 '역경 원장(元匠)'보리류지
19.남조의 유랑(流浪)의 역경가 진제
20.남북조시대 유식사상의 과제:알라야식과 아밀라식
21.수·당시대 불교계의 동향
22.중국 역경사의 최고봉 현장
23.『화엄경』의 마지막 역경가 실차난타
24.중국 역경사의 대미(大尾)의정
제3장 중국 역경사의 여적(餘適) 1:인도불전과 한역 사이에서
1.구마라집의 한역 『중론』'귀경게'에서 맞닥뜨리는 몇가지 의문
2.구마라집의 한역 『중론』에서 '인연(因緣)'의 용례
3.『중론송』귀경게의 번역을 우한 해석학적 지평
4.'팔불게(八不偈)'의 해석
제4장 중국 역경사의 여적(餘適) 2
:인도문화의 '공(空)'과 중국문화의 '무(無)'의 만남을 돌이켜보며
1.유(有)·무(無)와 공(空)의 변별
2.공(空)에 대한 중국적 해석의 전개
3.공사상은 역설이라는 오해
4.공사상은 주장도 부정도 없다는 오해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인명
찾아보기|책명
찾아보기|용어
저자소개
책속에서
종파의 대두와도 연관되는 현상이겠지만, 경제적.정신적 자신감을 갖게 되면서 수.당 불교계는 인도불교의 산스크리트어 원전에 대한 태도 및 역경작업에 대한 태도에 큰 변화를 보인다. 곧 인도불전의 원래의 의미를 깊이 좀더 깊이 끝없이 캐묻는 모범생적인 태도보다는 이미 중국어로 번역된 불전에 대해서 중국어로 주석하거나 해석하면서 나름대로 이해한 바를 저서의 형태로 당시의 중국 지식인층에게 묻는 도전적인 태도로 바뀐다. 강하게 말하면 인도불전을 땅 속에 묻고 가능한 한 중국의 번역불전에만 의존해서 불교적 사유를 개진하려는 시도가 수.당 불교계에서는 지배적인 흐름이었다. (119쪽, '제2장 중국 역경사의 명장면'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