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 불경의 탄생

중국 불경의 탄생

(인도 불경의 번역과 두 문화의 만남)

이종철 (지은이)
창비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150원 -5% 0원
85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2개 7,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 불경의 탄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 불경의 탄생 (인도 불경의 번역과 두 문화의 만남)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의 이해
· ISBN : 9788936413071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08-04-30

책 소개

중국 후한부터 송대까지 산스크리트어 불경을 번역한 한역불전(漢譯佛典) 역경가들의 생애와 번역 작업을 복원하고, 그들의 번역이 중국에 끼친 사상사.문화사적 영향을 살핀다. 더불어 동아시아 불교사상 형성에 기틀이 된 핵심개념들의 창조적 변용을 논구한다.

목차

서남동양학술총서 간행사| 21세기에 다시 쓴 간행사
책머리에|동아시아의 문화적 용광로,한역불전

제1장 중국 역경사의 거시적 소묘
1.번역문을 둘러싼 갈등:내용이냐 형식이냐?
2.번역의 일차적 현실태:격의(格義)
3.번역의 실현:구마라집과 현장의 번역
4.중국 역경사의 교훈

제2장 중국 역경사의 명장면
1.붓다(buddha)의 한역 '불(佛)'
2.다르마(dharma)의 한역 '법(法)'
3.상가(samgha)의 한역 '승(僧)'
4.수수께끼의 첫 한역 『사십이장경』
5.중국 역경사의 효시 안세고
6.대승경전의 첫 역경가 지루가참
7.삼국시대의 역경작업:오나라의 '지혜주머니'지겸과 강남불교의 홍륭자 강승희
8.양진시대 불교계의 동향
9.위진현학과 불교
10.서진의 '돈황보살'축법호
11.오호십육국시대의 '대화상'불도징:불교와 민족
12.중국 역경사의 길잡이 도안
13.중국 역경사의 첫 분수령 구마라집
14.구마라집의 문하:승조와 축도생
15.북량의 비운의 역경가 담무참
16.남북조시대 불교계의 동향
17.남조의 '마하연'구나발타라
18.북조의 '역경 원장(元匠)'보리류지
19.남조의 유랑(流浪)의 역경가 진제
20.남북조시대 유식사상의 과제:알라야식과 아밀라식
21.수·당시대 불교계의 동향
22.중국 역경사의 최고봉 현장
23.『화엄경』의 마지막 역경가 실차난타
24.중국 역경사의 대미(大尾)의정

제3장 중국 역경사의 여적(餘適) 1:인도불전과 한역 사이에서
1.구마라집의 한역 『중론』'귀경게'에서 맞닥뜨리는 몇가지 의문
2.구마라집의 한역 『중론』에서 '인연(因緣)'의 용례
3.『중론송』귀경게의 번역을 우한 해석학적 지평
4.'팔불게(八不偈)'의 해석

제4장 중국 역경사의 여적(餘適) 2
:인도문화의 '공(空)'과 중국문화의 '무(無)'의 만남을 돌이켜보며
1.유(有)·무(無)와 공(空)의 변별
2.공(空)에 대한 중국적 해석의 전개
3.공사상은 역설이라는 오해
4.공사상은 주장도 부정도 없다는 오해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인명
찾아보기|책명
찾아보기|용어

저자소개

이종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철학(불교철학) 전공 교수.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도쿄대학교에서 인도철학․불교학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아시아 불교사상과 인도 불교사상의 비교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 The Tibetan Text of the Vyākhyāyukti of Vasubandhu-Critically edited from the Cone, Derge, Narthang and Peking editions(Tokyo, 2001), 『世親思想の硏究-釋軌論(Vyākhyāyukti)を中心として』(Tokyo, 2001), 『중국불경의 탄생』(2008), 『구사론 계품·근품·파아품-신도 영혼도 없는 삶』(2015), 『몽어노걸대 연구』(공저, 2018), 『金剛經 多言語板本』(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종파의 대두와도 연관되는 현상이겠지만, 경제적.정신적 자신감을 갖게 되면서 수.당 불교계는 인도불교의 산스크리트어 원전에 대한 태도 및 역경작업에 대한 태도에 큰 변화를 보인다. 곧 인도불전의 원래의 의미를 깊이 좀더 깊이 끝없이 캐묻는 모범생적인 태도보다는 이미 중국어로 번역된 불전에 대해서 중국어로 주석하거나 해석하면서 나름대로 이해한 바를 저서의 형태로 당시의 중국 지식인층에게 묻는 도전적인 태도로 바뀐다. 강하게 말하면 인도불전을 땅 속에 묻고 가능한 한 중국의 번역불전에만 의존해서 불교적 사유를 개진하려는 시도가 수.당 불교계에서는 지배적인 흐름이었다. (119쪽, '제2장 중국 역경사의 명장면'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