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36485351
· 쪽수 : 444쪽
· 출판일 : 2007-01-15
책 소개
목차
책 머리에
프롤로그 - 한반도 발전전략의 신진보주의 구상
제1부 국가발전모델
신진보주의 발전모델의 모색
신진보주의 정치모델
-신자유주의적 탈정치론을 넘어 역동적 공화주의 정치세력화로
유능한 민주정부의 창출을 위한 제도개혁과제
제2부 대외전략
한국의 평화외교-평화연구의 시각
개방-협력의 대외경제정책
한국 FTA 정책의 주요 쟁점과 과제
제3부 남북통합
한반도경제 구상-개방적 한반도경제권의 형성
북한 경제개혁과 한반도 경제통합
평화경제의 상상력, 개성공단
제4부 산업, 기업, 금융
한국경제의 서비스화 현황과 과제
재벌개혁과 한국경제
대-중소기업간 관계와 혁신 과제
금융부문의 혁신
제5부 사회정책
새로운 사회정책 패러다임의 구축
고용의 위기에 대한 정책 대응 방향
연대와 혁신의 노사관계
교육문제의 실타래, 어디서부터 풀어야 하나?
제6부 지역발전
클러스터에 기초한 경제발전전략
지역 거버넌스와 사회적 합의 모델
지역균형발전과 지역금융시스템
지방화와 주민생활 서비스 혁신체제
에필로그 - 새로운 씨스템으로의 이행을 위하여
글쓴이 소개
저자소개
책속에서
진보개혁 새력은 그동안 새로운 사회경제적 발전의 비전을 제시하지 못했다. 일국적 체제 안에서 성장한 진보개혁 운동 세력이 염두에 둔 경제모델은 이제 실행 가능성도 없고 새로운 문제에 대응할 능력도 없다. 지금 우리는 남북한간 통합과 내부적 재구성, 그리고 새로운 지역질서 형성이라는 복잡한 연립방정식을 풀어야 한다. 그래서 우리는 우리가 서 있는 곳, 동아시아의 한반도에서 시작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며 이러한 지역주의론에 입각한 사회경제모델을 '한반도경제'라고 부르려 한다.
한반도경제는 국민경제.민족경제.지역경제를 포괄한다. 한반도경제는 국내체제 혁신과 선진화, 남북한의 점진적 통합, 동아시아 연대와 지역혁신 등 세 가지 차원에서 세계화에 호응하고 대처해야 한다. 이렇게 셋이면서 하나이고 하나이면서 셋인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것이 한반도경제이다. - 책머리에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