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현대시창작입문

현대시창작입문

(시론집)

구상 (지은이)
홍성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39,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현대시창작입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현대시창작입문 (시론집)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창작.문장작법
· ISBN : 9788936507244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06-07-10

책 소개

시인 구상의 문학총서 제5권 시론집. 구상 시인이 대학에서 40년 동안 강의한 내용을 정리한 시론집이다. 시를 쓰려는 이들이 부딪히는 모호한 문제의식을 조명하고 그 형상화를 위해 구체적 사례와 실제적 방법을 제시한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현대시창작입문

1장 시심(詩心)이란 어떤 것인가
2장 현실적 경험의 재구성
3장 시에 있어서의 관찰력과 상상력
4장 시에 있어서의 언어
5장 시에 있어서의 언어(계속)
6장 시에 있어서의 비유
7장 직유와 은유
8장 여타의 비유법과 무비유의 시
9장 시와 심상
10장 감각적 심상과 논리적 심상
11장 시의 제재와 주제
12장 시의 영감과 표현력
13장 시의 표상(表象)과 실재(實在)
14장 현대시의 형태
15장 시의 모순된 양면성
16장 현대시의 난해성
17장 시와 형이상학적 인식
18장 시와 사회현실
19장 시 한 편의 실제 창작과정
20장 시로 표현된 시의 이념과 작법과 시인의 자세

제2부 논문

문학과 인생
한국 고유의 심미적 정서 표상
한국 고대시가(향가)와 그 설화에 나타난 인간상
우리 현대시의 문제점 몇 가지
우리 시와 형이상학적 인식
한국의 서정시
한국시에 나타난 한국동란
북한의 시
동양 3국의 현대시
종교와 문학적 고뇌

저작연보
일반경력

저자소개

구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19년 서울 이화동에서 출생했으며, 본명은 구상준(具常浚)이다. 1938년 원산 근교 덕원의 성 베네딕도 수도원 부설 신학교 중등과 수료 후 일본으로 밀항했으며, 1941년 일본 니혼대학(日本大學) 전문부 종교과를 졸업한다. 1942∼1945년 ≪북선매일신문≫ 기자 생활을 했으며, 1946년 북한 원산에서 시집 ≪응향≫ 필화 사건을 겪은 뒤 월남한다. 월남 이후 1948∼1950년 ≪연합신문≫ 문화부장, 한국전쟁 기간인 1950∼1953년 국방부 기관지 ≪승리일보≫ 주간, 1953∼1957년 ≪영남일보≫ 주필 겸 편집국장, 1961∼1965년 ≪경향신문≫ 논설위원 겸 도쿄지국장을 역임하는 등 20여 년 넘게 언론인으로 활동했다. 교육인으로서는 1952∼1956년 효성여대 부교수, 1956∼1958년 서울대 강사, 1960∼1961년 서강대 강사, 1970∼1986년 하와이대학교 극동어문학과 교수, 1973∼1975년 가톨릭대 신학부 대학원 강사, 1976∼1998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대우교수 등으로 대학에서 교육을 담당했다. 1951년 첫 시집 ≪구상≫을 펴낸 뒤, 1953년 사회평론집 ≪민주고발≫, 1956년 시집 ≪초토의 시≫, 1960년 수상집 ≪침언부어(沈言浮語)≫, 1975년 ≪구상 문학선≫, 1976년 수상집 ≪영원 속의 오늘≫, 1977년 수필집 ≪우주인과 하모니카≫, 1978년 신앙 에세이 ≪그리스도 폴의 강(江)≫, 1979년 묵상집 ≪나자렛 예수≫, 1980년 시집 ≪말씀의 실상≫, 1981년 시집 ≪까마귀≫, 시문집 ≪그분이 홀로서 가듯≫, 1982년 수상집 ≪실존적 확신을 위하여≫, 1984년 자전 시집 ≪모과 옹두리에도 사연이≫, 1985년 수상집 ≪한 촛불이라도 켜는 것이≫, 1986년 ≪구상 시전집≫, 수상집 ≪삶의 보람과 기쁨≫, 1987년 시집 ≪개똥밭≫, 1988년 수상집 ≪시와 삶의 노트≫, 시집 ≪다시 한 번 기회를 주신다면≫, 시론집 ≪현대시창작 입문≫, 이야기 시집 ≪저런 죽일 놈≫, 1993년 자전 시문집 ≪예술가의 삶≫, 1994년 희곡 시나리오집 ≪황진이≫, 1995년 수필집 ≪우리 삶, 마음의 눈이 떠야≫, 1996년 연작 시선집 ≪오늘 속의 영원, 영원 속의 오늘≫, 1998년 시집 ≪인류의 맹점에서≫, 2001년 신앙 시집 ≪두 이레 강아지만큼이라도 마음의 눈을 뜨게 하소서≫, 2002년 시집 ≪홀로와 더불어≫ 등에 이르기까지 많은 시집과 산문집을 펴낸다. 영국, 프랑스, 스웨덴, 독일, 일본, 이탈리아 등에서 시집이 번역 출간되었으며, 1955년 금성화랑무공훈장, 1957년 서울시 문화상, 1970년 국민훈장 동백장, 1980년 대학민국 문학상 본상, 1993년 대학민국 예술원상 등을 수상했으며 2004년 5월 11일 작고했고, 금관 문화훈장이 추서되었다. 시인 구상은 서울에서 출생해 북의 원산, 일본의 도쿄, 미국 하와이 등을 거치면서, 동서양의 철학이나 종교에 조예가 깊은 명상가였다. 초기의 낭만주의적 지향은 해방 공간 좌우익의 대립과 북한 문단 재편기에 ≪응향≫ 필화 사건을 입으며 상처를 입게 되고, 기자로서의 직분과 신앙적 고민을 아우르면서 이후 형이상학적 인식에 기반한 시 세계를 구축하게 된다. 폐허적 분단 현실의 참담함을 노래한 <초토의 시> 연작에서 시작된 그의 시적 여정은 ‘영원한 오늘’을 노래한 구도자적 인식으로 마무리된다. 그리하여 그는 ‘영원한 오늘’을 사는 낭만적 구도자의 표정으로 우리 앞에 살아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시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려 할 때 흔히 초심자들로부터 다짜고짜 ‘시란 무엇입니까?’하는 질문을 듣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아마 시의 개론서나 작법책들이 그 서두에다 ‘시의 정의’니 또는 ‘시의 본질’이니 하고서들 그 해답을 내놓거나 시도하고들 있는 모양이지만, 실상 시가 무엇인가를 뚜렷하게 몇 마디로 설명한다는 것은 어렵다기보다 불가능한 일이요, 또한 그것은 마치 장님이 코끼리 만지는 격으로 십인십색이어서 가령 여기에다 동서고금 굴지의 시인 100명의 시에 대한 정의를 나열해 놓는다 해도 그것이 시라는 것의 전모를 밝혀낼 수 없을 뿐 아니라 시에 대한 실제적 이해나 창작에 도움이 되지도 않는다. 이러한 시에 대한 정의의 어려움과 불가능함을 20세기 영국의 대시인 엘리엇(T. S. Eliot, 1888~1965)은 “시에 대한 정의의 역사는 오류의 역사다”라고까지 말한다.
그래서 본 강좌에서는 저러한 성급한 시의 정의나 공소한 본질론을 피하고 먼저 시를 불러일으키는 마음, 즉 ‘시심(詩心)이란 어떤 것인가?’하는 문제부터 밝혀보기로 하겠는데, 여기서 ‘시심’이란 시를 불러일으키는 생각〔詩想〕·느낌〔詩情〕·흥취〔詩興〕 등을 포괄해서 쓴 숙어요, 또한 ‘시를 불러일으키는’도 좀더 적극적으로 ‘시를 쓰는’으로 바꿔 생각해도 무방하다. -1장 ‘시심(詩心)이란 어떤 것인가’에서


어떤 작품이 아무리 그 주제가 심각하고 훌륭한 은유로 씌어졌다 해도 그 인식의 깊이가 없거나, 그 표상의 실재가 없어서는 독자가 아무리 노력을 해도 실상 아무것도 얻어 낼 수가 없고 오직 시가 그 주제나 표상에 등가량의 진실을 지닐 때만이 그 시는 평이하든 난해하든 독자에게 감동을 주는 것이다. 즉, 시의 난해 속에는 그 명료한 인식의 높이와 깊이와 넓이, 그리고 정확하고 필연성을 지닌 은유와 심상이 깃들어 있어야 한다. -16장 ‘현대시의 난해성’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