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대담 / 인터뷰 2

대담 / 인터뷰 2

(2000~2014)

김우창 (지은이)
민음사
4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7,800원 -10% 0원
2,100원
35,700원 >
37,800원 -10% 0원
0원
37,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0개 31,2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대담 / 인터뷰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대담 / 인터뷰 2 (2000~2014)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비평론
· ISBN : 9788937455599
· 쪽수 : 1344쪽
· 출판일 : 2016-10-04

책 소개

김우창 전집은 일제 시대와 해방 후, 6.25 전쟁과 군부 독재기 그리고 세계화 시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현대사의 질곡 속에서 더 나은 삶을 그리며 사유를 전개한 흔적이다.

목차

간행의 말 7

1부 2000~2004
한국 사회의 정치 현실과 이성적 질서를 향한 모색 김우창, 최장집, 홍윤기 17
21세기 한국 대학 교육의 방향과 좌표 김광억, 안병영, 이현청, 김우창 49
인문주의가 필요한 시기 왔다 인터뷰 강근주 60
세계화는 나쁜 얼굴의 국제주의 피에르 부르디외, 김우창 65
지성의 독립성과 성찰의 근거에 대하여 김우창, 고지마 기요시 70
오렌지 주스에 대한 명상 김우창, 김상환 94
문학적인 문화를 위하여 리처드 로티, 김우창 131
비평은 진리 추구 위한 방편 인터뷰 손창훈 151
우리는 어디에 있으며, 무엇을 할 것인가 김우창, 최장집, 여건종 156
한국의 정치 문화를 말한다 박충석, 김우창, 김홍우 196
뭍과 물, 자연과 사람을 잇는 삶의 쉼터로 강홍빈, 김우창 207
우리 시는 어디로 가나 김우창, 최승호, 유종호 212
문학과 철학 박이문, 김우창, 유종호 243
우리 사회는 이성의 원리가 탄생해 가는 과도기다 인터뷰 송복남 272
격변기, 지성의 의미와 역할 인터뷰 방민호 285
민족 이산, 정체성 그리고 한국문학 김우창, 이회성, 최원식 292
지적 작업은 사회에 기여해야 인터뷰 이병혜 297

2부 행동과 사유 — 김우창과의 대화 권혁범, 윤평중, 고종석, 여건종
성장과 지적 편력 321 | 문학과 윤리 355 | 구체적 보편, 그리고 언어 367 | 심미적 이성과 사회적 이성 382 | 유희와 쾌락에 대하여 416 | 정치적인 것과 내면적인 것 433 | 겹눈의 사유와 담론적 실천의 문제 458 | 리얼리즘과 모더니즘 481 | 한국 현대사에서의 문학 지식인의 역할 491 | 동양과 서양의 학문, 그리고 외국 문학을 한다는 것 502 |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하여 515 | 문자 매체와 영상 매체 529 | 언론, 공적 담론, 권력 537 | 세계화, 내면성, 그리고 행복한 삶 550

3부 2005~2009
출판을 화두 삼은 문화 입국의 길 김우창, 도정일, 박광성 563
가장 사람다운 삶은 즐거운 금욕주의 김우창, 여건종 577
현지에서 본 2005 프랑크푸르트도서전 주빈국의 의미 인터뷰 신동섭 596
김우창 교수에게 들어 본 요즘 한국 사회 인터뷰 배문성 601
동아시아 평화 비전을 향하여 오에 겐자부로, 김우창, 윤상인 606
오늘의 한국 사회와 비평 담론 김우창, 장회익, 도정일, 최장집, 여건종 616
아시아의 주체성과 문화의 혼성화 — 리처드 로티 교수와의 서신 교환 640
『자유와 인간적인 삶』 펴낸 김우창 교수 인터뷰 강성만 799
경계를 넘어선 대화의 열림 미셸 콜로, 김우창 803
더 많은 혹은 더 작은 민주주의를 찾아서 김우창, 최장집 824
학문은 선입견 없이 진리를 탐구하는 것이다 인터뷰 김경필, 유세원 855
민주화를 넘어서 어디로 안병직, 김우창, 이영성 867
한국 인문 사회 과학의 한 패러다임 박명림, 김우창 877
좋은 삶이란 무엇인가 김우창, 김종철 948
위기의 한국 언론, 가장 필요한 것은 객관성 인터뷰 이대근 987
서구화로 무너진 독서 공동체 재구성 디딤돌 될 것 김우창, 김언호 996
한일 개인적 교류가 평화 문제 해결에 도움 김우창, 시마다 마사히코 1000
공간의 유기성이 존중되는 발전이라야 한다 김우창, 조판기 1005
대한민국 건국의 역사적 의의 김우창, 노재봉, 신복룡, 이인호, 안병직 1012
제1회 한・일・중 동아시아문학포럼 3국 대표 대담 김우창, 시마다 마사히코, 티에닝 1067
2009 한국의 모색 좌우를 뛰어넘다 인터뷰 김기철 1071
창간 55주년 기념 김우창 이화여대 석좌교수 인터뷰 최윤필 1078
대한민국은 지금 어디로 가나 김우창, 도정일 1085
좌우 극한 대결 해법을 묻다 인터뷰 김종혁 1097

저자소개

김우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코넬 대학에서 영문학 석사 학위를, 하버드 대학에서 미국문명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영문학과 전임강사, 고려대학교 영문학과 교수와 이화여자대학교 학술원 석좌교수를 지냈으며 《세계의문학》 편집위원, 《비평》 편집인이었다. 현재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으로 있다. 저서로 『궁핍한 시대의 시인』, 『지상의 척도』, 『심미적 이성의 탐구』, 『풍경과 마음』, 『깊은 마음의 생태학』 등이 있고 역서 『가을에 부쳐』, 『미메시스』(공역) 등과 대담집 『세 개의 동그라미』 등이 있다. 팔봉비평문학상, 대산문학상, 금호학술상, 고려대학술상, 한국백상출판문화상 저작상, 인촌상, 경암학술상 등을 수상했고 2003년 녹조근정훈장을 받았다.
펼치기

책속에서

영문학 공부를 하면서 내 마음속에 늘 있었던 것은 ‘한국이라는 사회에서 영문학을 한다는 것이 무엇인가’ 하는 질문이었습니다. 영문학을 이 질문을 통해서 바라보아 온 것이 나의 독특한 문제의식이라면 문제의식이 아닌가 합니다. 영문학은 한국의 전통과 관련이 없고, 우리의 삶의 급박성과도 관련이 없고, 또 어떻게 보면 제국주의적 질서 안에서의 힘의 불균형에서 생겨난 학문이라고 할 수 있는데, 왜 영문학을 하는가 하는 질문이 다른 많은 걸 생각하게 하고 읽고 쓰는 데 중요한 동기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영어로 작업한다는 생각은 못했습니다. 당장 부딪힌 문제에 충실한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중요한 논문을 쓰고 있더라도 학생이 중요한 문제를 논의해 오면 학생에게 시간을 압수당하죠. 그러나 그 학생을 도와주는 것이 절실한 일이다, 늘 그렇게 생각하려 했지요. 제3세계 사람이 제1세계에서 무엇을 할 수 있겠느냐 하는 무의식적인 열등의식도 있었을 것이고, 한국어로 쓰는 경우에도 내가 하는 일이 어떤 커다란 의미를 가질 수 있다는 생각은 그렇게 쉽게 할 수 있는 생각이 아니었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