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고전
· ISBN : 9788937842580
· 쪽수 : 247쪽
· 출판일 : 2007-01-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_정신의 내공이 증강되는 의심의 책
프롤로그_[방법서설] . '인간의 시대'를 연 책
1. 의심, 세계에서 인간으로
의심
데카르트, 운명을 점지받다
추측과 아집의 모래 위에 세워진 학문의 세계
세계에서 인간으로
2. 내 이야기로서의 철학
자서전이냐 철학책이냐
나 홀로 책 읽기 : 개인의 등장
우화: 자유롭고 평등한 이성에 대한 호소
자기 훈련을 위해 쓰고, 자기 훈련의 매뉴얼로서 읽히다
3. 방법으로 통일되는 학문의 나무
방법 : 내 눈에 있는 들보 걷어 내기
정신의 네 가지 병과 치료법
연역과 귀납 : 거미의 방법과 꿀벌의 방법
데카르트의 진리 탐구 '방법'
방법과 학문의 나무
오늘날의 과학과 데카르트의 방법
4. 수학적 정신이 그린 세계라는 우화
만물에 목적이 있다고?
x,y,z의 좌표축으로 이루어진 세계
자연의 수학화와 세계라는 우화
5. 우화에서 진리로
과장되고 방법적인 의심
'사물의 첫 얼굴'을 괄호 치고
형이상학적 의심의 터널 속으로
의심에서 확신으로
6. 데카르트 이후 - 새로운 신화가 된 이성
질량 없는 생각이 온 세상을 바꾸기까지
합리성의 결과 : 계몽인가 야만인가
오디세우스의 모험
손익계산 : 상처뿐인 승리?
다시 코키토로
에필로그 _ 진리에 대한 순수한 열정으로 일관한 철학자
더 읽을 책들
연표
리뷰
책속에서
그런데 과학과 철학의 관계에 대해 데카르트 자신은 어떻게 생각했을까? 그는 이 둘이 다르긴 하지만 서로 분리되어선 안 된다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과학은 철학에 바탕을 두어야 하고, 철학은 과학을 통해 인류의 복지에 기여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데카르트의 생각과는 달리, 과학은 자신의 발전을 가로막고 있던 신학의 품에서 해방된 후 곧장 철학의 품에서까지 떠나버린다. 이렇게 볼 때, 철학이 과학의 토대라는 데카르트의 생각은 근대적 의미의 철학의 시작인 동시에, 과학혁명 안에서 일어난 반혁명이라고 할 수 도 있을 것이다. 기술의 날개를 달고 최대한의 효율과 풍요를 향해 하늘 끝까지 날아가려는 과학에게, 철학적 성찰이 다 무엇이겠는가? 과학이 보기에 철학이란, 아무 쓸데없이 발목을 붙들고 늘어지는 철 지난 사변에 불과한 것이다. - 본문 75쪽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