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38102003
· 쪽수 : 362쪽
· 출판일 : 1999-02-18
책 소개
목차
1. IMF는 기술 낙후에서 온다
미래학자들의 IMF 예언 / 과거 3백년 간의 변화의 가속화는 기술 주도형 변화였다 / 제3의 기술물결은 어떻게 굽이치는가?
2. IMF를 벗어나기 위한 기술 베이스 사업 다각화 전략
기술 베이스 사업 다각화란? / 기술 영토 개념의 존재 : 특허제도는 기술 영토를 보장한다 / 기술 베이스 사업 다각화의 이점 / 기술 베이스 사업 다각화의 요건
3. 기술도 태어나고 자라는 것
기술의 탄생과 성장의 대표적 사례로서의 전화통신 기술 / 그레이엄·벨의 꿈과 기술의 탄생 / 과학은 해결사 / 신기술과의 접목은 성장의 비결 / 끝없는 도전 / 또 하나의 긴 여정 : 반도체의 탄생 / 점접촉형 트랜지스터의 발명 / 과학적 성공 그러나 기술적 실패 / 도전의 결단과 성공
4. 기르는 기술의 실상(전자수첩의 개발)
샤프사는 어떤 회사인가? / 전자수첩 : 포켓 속의 컴퓨터 / 포켓 전자계산기 이후의 히트 상품을 찾아서 / 기술적 자산이 상품개발의 행동반경을 결정한다. / 플러스 알파의 자체기술개발 / 고객의 성향 예측
5. 과학과 기술은 어떻게 다른가
인류 문명사에서 본 과학과 기술의 개념 차이 / 과학과 기술이 연결되는 역사적 과정 / 학문으로서의 과학의 특징 / 과학과 기술은 신경망 같이 복잡하게 연결된 망이다 / 생명과학 산업 / 과학 발전의 구조 / 기술은 사회를 움직인다.
6. 후발국은 기술을 기르는 일부터 시작해야
일본의 기른 기술 논리 / 과거 미국과 독일도 기르는 기술부터 시작했다
7. 불확실성에 도전할 수 있어야 기술은 길러진다
선진화할수록 불확실성은 증대한다 / 과학기술에 있어서의 불확실성은 더욱 크다 / 이제는 우리 스스로 상업적 입증에 도전해야 / 정부출연연구소는 상업적 입증이 구조적으로 불가능한 곳으로 남아 있어야 하는가 / 도전을 가로막는 중복 연구 배제 제도 / 과학자가 신산업 창출에 앞장서 도전할 수 있어야 / 과감히 도전하면 살길이 생긴다
8. 기술 성장 여건이 조성되어야
국민과 정부와 국회가 과학에 대해 올바로 인식해야 / 돈 없이 일할 기회도 없이 기술 성장은 불가능 / 중소기업에 기술자를 보내자
9. 국가 기술 관리층의 형성과 기술 주권 확립
정부도 기술 안목을 가져야 한다 / 제도 정비와 관료의 전문성 / 기술주권은 무너져가고 있는가 / 기술주권 확립에 필수적인 엔지니어링 기술 / 대통령도 제대로 된 과학정책을 내어놓을 수 있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