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 일반
· ISBN : 9791130670829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5-09-23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팀장이라고 해서 다 같은 팀장이 아닙니다
PART 1 팀장의 조건
[1] 팀장의 존재 이유 _Role
나는 왜 이 일을 하는가
팀장이라는 자리가 사람을 만드는 걸까?
CEO는 우리 팀에 어떤 역할을 기대할까?
1년 후 우리 팀이 기대하는 모습은 무엇인가
팀원들이 오너십을 갖고 일할 수 있는 방법
[2] 책임을 진다는 것의 의미 _Responsibility
“모든 책임을 지고 이 자리에서 물러나겠습니다”
일이 끝났을 때의 최종 상태를 먼저 그려라
성과목표 조감도를 어떻게 그릴까?
왜 우리 팀에만 일 못하는 팀원이 많을까?
PART 2 팀장의 5가지 핵심 역할
[1] 기준소통 _Criteria Communication
왜 우리 팀은 소통이 잘 안 될까?
팀장의 말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방법
팀원의 자율성을 높이려면 어떻게 소통해야 할까?
소통 역량도 훈련으로 향상될 수 있을까?
팀원이 진정으로 바라는 팀장의 모습
[2] 임파워먼트 _Empowerment
누구에게 어떤 일을 맡겨야 할까?
팀원의 능력과 역량을 어떻게 진단할까?
최적의 인재를 구분하는 방법
절대 위임할 수 없는 팀장 고유의 업무들
[3] 성과코칭 _Performance Coaching
왜 팀원들은 시키는 일만 할까?
기대하는 결과물을 만드는 기획력과 실행력
스케치페이퍼로 성과코칭하는 방법
성과지향적 역할 행동을 정의하라
[4] 델리게이션 _Delegation
팀원을 믿고 육성하는 최고의 기술
어떤 기준으로 일을 위임해야 할까?
전략과 방법을 스스로 고민하게 하라
팀원의 창의성은 자율성에서 발현된다
[5] 성과평가와 피드백 _Performance evaluation and Feedback
우리는 회사와 무엇을 거래하고 있을까?
능력이 아니라 역량을 평가하라
실적이 아니라 성과를 평가하라
평가의 진정한 목적은 성장과 발전이다
에필로그│오늘부터 당신은 관리자가 아닌 팀의 경영자입니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과거의 경험과 지식으로 무장한 자만심을 깨뜨리기 위해서는 현장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밖에 없습니다. 어떤 업종이든 객관적이고 사실적인 정보를 토대로 현장을 제대로 파악해야 성과가 창출됩니다. 단순히 현장이라는 공간에 그냥 가 있으라는 것이 아니라, 업무에 직접 참여하고 실행해 봐야 합니다. 여러분의 고객이 누구인지, 현장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예상되는 리스크 요인은 없는지 등을 파악하지 못하면 목표도 전략도 세울 수 없습니다. 따라서 팀장이라면 현장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근본적인 문제점을 찾고, 그것을 팀 성과목표의 성과창출 전략과 실행 방법에 잘 반영시켜야 합니다.
[팀장의 존재 이유] 팀원들이 오너십을 갖고 일할 수 있는 방법_
팀장이 일방적으로 따르라고 명령하는 지시사항은 목표가 아닙니다. 목표란 ‘일을 통해 책임져야 할 목적결과물’로써, 그 일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결과물이 무엇인지에 대해 팀장과 팀원이 공감할 수 있어야 합니다. 결과물에 대해 공감하면 팀원이 주체적으로 성과창출 방법을 판단하고 도출해 낼 수 있습니다. 그러기에 팀장은 팀원에게 그 일을 통해 얻게 되는 가치, 그 일이 팀에 기여하는 바를 질문하고 스스로 생각할 기회를 줘야 합니다. 그러면 팀원은 내적 동기를 갖고 주도적으로 일할 수 있습니다.
[책임을 진다는 것의 의미] 일이 끝났을 때의 최종 상태를 먼저 그려라_
업무를 지시하는 소통에는 합리적인 근거, 즉 합당한 논리가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실행하는 사람도 이해하고 납득합니다. 왜 이 일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리가 없으면 팀원은 납득하지 못한 채로 일을 실행합니다. 그러다 보면 일하는 과정에서 잘못된 판단이나 실수를 저지르기 쉽습니다. 왜 이 일을 하는지에 대한 논리적 동의도, 심정적 공감도 안 되었기 때문입니다. 팀장들은 흔히 자신의 경험과 판단만 옳다고 생각하고 거기에 집착합니다. 실무에서 뛰어난 성과를 거두고 인정받았던 팀장일수록 그런 자기 확신이 강합니다. 그 때문에 일을 독단적으로 밀어붙일 위험이 큽니다. 그런 성향의 팀장일수록 자신의 업무 지시 스타일을 되돌아보고 배경 설명이 충분했는지, 팀원을 제대로 이해시켰는지 확인해 봐야 합니다.
[기준소통] 왜 우리 팀은 소통이 잘 안 될까?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