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38816580
· 쪽수 : 529쪽
· 출판일 : 2020-02-2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3
스트롱 번호 체계 16
고린도전서 서론 19
인사와 기도(고린도전서 1:1-9) 33
영적으로 풍요로웠던 시작(1:1-9) 36
분쟁과 어리석음을 질책함(고린도전서 1:10-3:23) 45
교회를 분열시키는 방법(1:10-17) 48 | 십자가의 어리석음(1:18-31) 58 | 감추어진 하나님의 지혜가 드러나다(2:1-16) 68 | 분쟁의 치료법(3:1-23) 78
패역과 음행을 바로잡음(고린도전서 4:1-6:20) 89
신실하신 아버지의 징계(4:1-21) 92 | 추문에 대처하는 방법(5:1-13) 101 | 고소, 할 것인가? 말 것인가?(6:1-11) 112 | 내 몸과 나(6:12-20) 119
가정과 교제를 굳건히 함(고린도전서 7:1-10:33) 129
결혼에 관한 조언(7:1-16) 132 | 인생의 분깃을 최대한 활용하라(7:17-40) 141 | 사랑과 자유 사이에서(8:1-13) 150 | 상급을 위해서 권리를 포기하다(9:1-27) 157 | 궁극적인 목표를 향한 조심스러운 발걸음(10:1-33) 168
교회와 예배의 질서(고린도전서 11:1-14:40) 181
외모가 전달하는 것(11:1-16) 185 | 그때와 지금의 성만찬(11:17-34) 194 | 하나의
차례
몸, 여러 지체(12:1-31) 204 | 사랑: 가장 위대한 것(13:1-13) 215 | 은사주의에 대한 답변(14:1-40) 224
죽음과 부활에 관하여(고린도전서 15:1-58) 243
가장 중요한 것(15:1-11) 246 | 부활의 빛 속에서 살기(15:12-34) 256 | 우리 미래의 몸(15:35-49) 268 | 역사상 가장 위대한 비밀(15:50-58) 276
마무리 지침과 경고(고린도전서 16:1-24) 285
파벌주의의 해독제(16:1-12) 288 | 마지막까지 굳게 서기(16:13-24) 295
고린도후서 서론 307
사역의 본령(고린도후서 1:1-3:18) 317
고난의 비밀을 풀다(1:1-11) 321 | 진실성에 대한 변호(1:12-2:4) 329 | 유예된 용서(2:5-11) 338 | 그리스도의 향기(2:12-17) 344 | 새 언약의 사역(3:1-18) 352
화해의 사역(고린도후서 4:1-5:21) 363
초라한 그릇 속에 담긴 강력한 설교(4:1-12) 367 | 올바른 초점(4:13-18) 375 | 죽음을 초월하는 소망(5:1-10) 384 | 그리스도께 미친 사람들(5:11-21) 395
사역의 민낯(고린도후서 6:1-7:16) 407
사역의 엄혹한 현실(6:1-10) 410 | 좋은 관계와 나쁜 동반 관계(6:11-18) 419 | 하나님을 경외하고, 사람들을 존중하며, 재난에서 구조하라(7:1-7) 427 | 회개로 이끄는 책망(7:8-16) 435
자기를 희생하는 사역(고린도후서 8:1-9:15) 443
가치 있게 돈 쓰는 방법(8:1-9) 447 | 베풂의 불꽃을 다시 살리다(8:10-24) 455 | 풍성한 베풂으로의 여행(9:1-6) 461 | 베풂을 통한 사역(9:7-15) 469
진정한 사도의 사역(고린도후서 10:1-13:13) 477
바울의 사역에 대한 변(10:1-18) 481 | 모든 ‘사역’이 다 사역은 아니다(11:1- 15) 490 |
열매 맺는 사역의 이면(11:16-33) 500 | 가시를 다루는 은혜의 장갑(12:1- 10) 507 | 겸손한 정직(12:11-21) 514 | 믿음의 시험을 통과하기(13:1-13) 521
■지도·도표·사진과 보충설명 목록
고린도전서의 시간표 18 | 바울의 2차 선교여행(지도) 18 | 한눈에 보는 고린도전서 20 |
고대의 고린도 25 | 아테네와 고린도(지도) 26 | 고린도의 재판소 28 | 구원을 설명하는 삽화 67 | 고대의 건축물 83 | 그레코로만 사회의 법률 소송 113 | 몸과 영혼 123 | 사도 바울의 아내? 134 | 고린도의 우상들 152 | 성전에서 제물로 바친 고기 153 | 이스트미아 제전 164 | 이스트미아 면류관 164 | 행동하기 전 물어야 할 세 가지 질문 176 | 성전에서 제물로 바친 고기 177 | 애찬과 성만찬 196 | 주님의 몸과 피 200 | 선물, 은사, 열매 209 | 세 가지 사랑 217 | 온전한 것이 올 때 221 | 고대의 거울 222 |
오늘날에도 사도와 예언자가 있는가? 232 | 부활이 거짓이면 261 | 3단계 부활 과정 264 |
에베소의 맹수? 266 | 씨앗에서 식물로 270 | 아담과 그리스도 274 | 바울이 말한 “ 마지막 나팔”이 요한계시록의 일곱 번째 나팔인가? 281 | 고린도후서의 시간표 306 | 바울의 3차 선교여행(지도) 306 | 한눈에 보는 고린도후서 308 | 인장 334 | 로마의 개선 행렬 348 | 질그릇 372 | ‘민속 신학’에 나타난 죽음 이론 389 | 사후에 어떤 일이 일어날까? 393 | 마게도냐 지역(지도) 450 | 경건한 베풂 451 | 거짓 사역의 일곱 가지 징표 492 | 세 개의 하늘 509 | 바울의 우주론 510 | 하나님이 자녀를 가르치시는 일곱 가지 방법 517 | 바울의 알려지지 않은 두 번째 방문 523
책속에서
분명히 바울의 머릿속에 있는 교회는 벽돌과 시멘트, 스테인드글라스, 파이프 오르간, 푹신한 신도석이 아니라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으로 구원받고, 공동체 안에서 함께 살도록 부름받은 사람 전체다. 실제로 헬라어 ekkl?a의 어원은 ‘부름받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 개념을 교회에 적용하면 그리스도의 주권 아래 있는 새로운 공동체의 일원이 되기 위해 세상에서 불려나온 특별한 집단이 교회다. 그러므로 엄밀히 말하자면 우리가 예배당에 들어갈 때 우리가 교회를 가지고 오는 것이다. 그리고 세상으로 돌아갈 때 우리는 교회를 가지고 간다. 모든 신자가 교회다.-인사와 기도
그리스도인은 법이 없어도 산다거나 항의할 일이 전혀 없다고 믿을 만큼 내가 순진하다고 생각하지 말라. 양의 탈을 쓴 늑대들이 여전히 양 떼를 먹이로 삼고 착취하고 있다는 사실을 내가 모른다고 생각하지 말라. 인간의 타락은 저지되어야 하며 교회 안에서 벌어지는 그런 사악한 행태는 드러나야 한다는 것을 우리는 인식하고 경계하며 항상 유념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는 그 일을 풀어나가는 방식, 갈등을 다루는 자세, 어려운 화해의 과정에서 보여주는 태도에서 기독교의 가치를 버리고 걸핏하면 세속적인 악덕을 무기처럼 집어든다. 이런 일들을 영적 관점에서 다루는 대신 우리는 엄격한 법적 관점에서 쟁점을 몰아붙일 때가 허다하다. 소송에서 이겨도 우리는 겸손히 감사하며 떠나지 않는다. 우리는 거만하고 대담해져서 우리를 거스르는 다음 사람이나 집단을 공격할 태세로 걸어나간다.-패역과 음행을 바로잡음
당신은 사랑을 표현하는가? 당신이 다른 사람들을 대하는 태도에서 사랑이 나타나는가? 많은 사람이 다른 이들에게 사랑을 보여주기를 힘들어한다. 특히 과거에 허심탄회하게 사랑을 표현했다가 상처받은 적이 있다면 더 그렇다. 사랑은 위험하다. 특히 고린도전서 13장에 묘사된 사랑은 더 그렇다. 그러나 사랑 때문에 모든 것을 걸어야 할지라도 우리는 하나님의 성품을 반영하는, 자기희생적이고 다른 사람을 중요하게 여기는 사랑을 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고린도전서 13장 4-7절에 나오는 사랑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대비를 검토하고 자문해보라. “이 기준에 얼마나 부합하는가” 이 구절을 가지고 당신 삶에서 사랑이 없는 부분을 찾아내 성령의 능력으로 바로잡으라. 이 오래된 특정한 습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을 달라고 성령께 요청하라.-교회와 예배의 질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