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리더십/직업관/재물론
· ISBN : 9788939880009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22-02-24
책 소개
목차
1장 고용 없는 경제성장 시대의 자기착취 증후군을 치유하는 치유와 회복 경제
2장 고용 없는 경제성장 시대에 생각하는 고전적 자본주의
3장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형평(衡平) 및 자비통치
4장 모세오경의 사회적 형평(衡平) 율법과 자비법령
5장 예언자들의 사회적 형평(衡平) 활동과 자비사역
6장 십계명 제1계명의 사회경제적 함의
7장 기본소득의 두 토대 : 자연법과 구약성경
8장 전체 결론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지구 통치가 집약적·시범적으로 나타난 특별영토였다. 이스라엘 민족은 그 자체로 하나님의 정의와 공의 실천의 산물이었다(시 103:6). 출애굽 구원은 창조주 하나님,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바로 정의와 공의의 하나님임 을 만천하에 공포한 사건이기 때문이다. 피억압자 해방은 압제자에 대한 응징을 내포했다. 피억압자의 대표인 ‘가난한 자들’을 해방하고 속량하시려는 하나님의 자비가 안식일, 안식년 그리고 희년사상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안식, 안식일, 안식년, 희년은 창조주 하나님의 항구적 관심사다. 이것들은 고용주나 압제자, 지주의 관심사일 수 없다._서문
우리의 기본소득론은 이 구약성경의 사회적 형평율법과 자비법령의 전통을 상속하고 있으며, 땅의 만민귀속권을 전제한다. 결국 국민 기본소득은 신명기 15:11의 원칙을 가장 포괄적으로 적용한 장치다. 여기서 모든 국민은 대한민국의 땅의 소출로부터 소외되거나 배제되어서는 안 된다는 원리가 도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