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불교사 : 조선·근대

한국 불교사 : 조선·근대

손성필, 이종수, 김용태, 탁효정, 양혜원, 김기종, 유근자, 이용윤, 손신영, 김종진, 이승윤, 김순석, 김성연, 제점숙, 송현주, 조명제, 이경순 (지은이), 불교사학회 (엮은이)
한울(한울아카데미)
4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2,000원 -0% 0원
420원
41,5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불교사 : 조선·근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불교사 : 조선·근대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88946075214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24-06-28

책 소개

불교사학회에서 기획한 ‘한국 불교사 개설서 3부작’ 중 두 번째 책으로, 조선과 근대 불교를 다룬다. 일제강점기에 일본 학자들이 제시한 ‘조선 불교 쇠퇴론’과, 침략과 저항이라는 이항대립에 따른 ‘민족불교론’의 한계를 벗어나 재조명되고 있는 조선 및 근대 불교의 개념과 성격, 신앙, 의례, 제도, 정책, 교육, 출판, 불상, 회화, 건축, 문학 등 다양한 분야의 성과를 소개한다.

목차

[조선]

1부조선시대 불교사의 흐름과 동향
1장조선 전기 승정체제 운영의 실제 _손성필
2장조선 후기 불교 정책과 불교계의 대응 _이종수
3장조선 후기 불교 문파의 형성과 분기 _김용태

2부조선 불교의 사상과 신앙
4장승가 교육제도와 삼문수행 _이종수
5장선과 교의 병행과 유불의 접점 _김용태
6장불교 의례와 신앙의 다변화 _이종수

3부조선 불교와 사회, 출판
7장조선 왕실의 불교 신앙 _탁효정
8장승도와 사찰의 사회적 존재 양상 _양혜원
9장불교 서적 간행의 추이와 시기별 경향 _손성필
10장불전언해의 역사와 문화적 지형 _김기종

4부불교문화와 예술
11장조선시대 왕실 발원 불상 _유근자
12장조선시대 불교 회화 _이용윤
13장불교 건축과 불탑 _손신영
14장조선시대 불교문학 _김종진

[근대]
1부근현대 불교계의 동향
1장대한제국의 불교 정책과 불교계의 변화 _이승윤
2장 일제의 불교 정책과 불교계의 대응 _김순석
3장 근대 불교 교단의 형성 _김성연
4장해방 이후 불교계의 동향 _김성연

2부근대 불교의 모색과 굴절
5장일본 불교의 조선 진출과 조선 내 동향 _제점숙
6장근대불교학의 수용과 한계 _송현주
7장근대 불교와 미디어 _조명제
8장근대 불교의 교육 _이경순
9장불교계의 식민지 지배 협력과 동화 _김순석

저자소개

송현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순천향대학교 교양과정부 교수, 미국 UCLA 교환교수 역임. 주요 저서로는 <근대 한국 종교문화의 재구성>(2006, 공저), <한국문화와 종교적 다양성>(2003,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조명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 대학원 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일본학술진흥회의 초청으로 2년간 고마자와 대학에서 박사후과정을 이수하였다. 이후 교토대학, 도쿄대학 등에서 방문학자로 연구 활동을 하였으며, 현재 신라대 역사문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김순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안동국학진흥원 박물관장 고려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태동고전연구소를 수료하고, 독립기념관 연구원과 순천향대학교, 고려대학교 강사를 거쳐 현재 한국국학진흥원 수석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일제시대 조선총독부의 불교정책과 불교계의 대응』, 『한국 근현대불교사의 재발견』, 『근대 유교개혁론과 유교의 정체성』, 『불멸의 민족혼 되살려 낸 역사가 박은식』 등이 있다.
펼치기
김종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교수. 〈불교가사 유통 연구〉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한국 불교문학의 여러 양상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불교가사의 연행과 전승》, 《불교가사의 계보학 그 문화사적 탐색》, 《한국불교시가의 동아시아적 맥락과 근대성》, 《근대불교잡지의 문화사》 등이 있다.
펼치기
김기종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 출생.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고전문학 전공으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BK21 한국어문학교육연구단 연구교수와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연구단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현재는 전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월인천강지곡의 저경과 문학적 성격』(보고사, 2010),『한국 불교시가의 구도와 전개』(보고사, 2014),『불교와 한글: 글로컬리티의 문화사』(동국대학교 출판부, 2015. 2016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역주) 월인천강지곡』(보고사, 2018),『한국 고전문학과 불교』(동국대학교 출판부, 2019. 2019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등이 있다.
펼치기
김용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대학원에서 조선시대 불교사 연구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또한 일본 도쿄대 인도철학불교학과에서 중국 송대(宋代) 화엄을 주제로 석사논문을 제출했다. 대원불교문화상 대상과 원효학술상 대상 등을 수상했고, 현재 동국대 불교학술원 HK교수 및 한국불교인문학과 교수로 있다. 동아시아의 시각에서 조선시대 불교를 연구하고, 근대불교에도 관심을 두고 있다.
펼치기
이용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북대학교를 졸업하고 홍익대학교에 진학하여 불교미술사를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를 마무리하였다. 재단법인 불교문화재연구소에서 2007년~2016년까지 근무하였으며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문화부에서 근무하고 있다. 그 외 경기도 문화재위원, 충청남도·충청북도·세종특별시·경상북도 문화재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박사 논문은 「조선 후기 영남의 승려문중과 불화 연구」이며, 공저인 『한국불교미술사』(미진사)를 비롯하여 조선 후기 불교 회화에 관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제점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서대학교 일본어학과를 졸업, 리쓰메이칸대학 대학원에서 역사학을 전공했다. 현재 동서대학교 일본어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과 일본의 근대불교에 대해 연구를 진행해왔으며 최근에는 식민지조선과 일본제국을 아우르는 근대종교의 다양한 양상에 주목하고 있다. 공저로 <종교와 식민지 근대>(2013), <한일종교문화 교류의 최전선>(2011)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식민지 조선과 불교-근대기 대처승 문제를 둘러싼 한일 불교계의 동향」(2014) 등이 있다.
펼치기
유근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립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동국대에서 미술사로 석·박사 학위를 받았고 동 대학 초빙교수를 지냈으며, 인천광역시·강원특별자치도 문화재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현재 간다라 불전 미술과 조선시대 불상의 복장 기록 연구를 진행 중이다. 저서로 ��조선시대 불상의 복장 기록 연구』, ��조선시대 왕실발원 불상의 연구』가 있으며, 공저로는 ��간다라에서 만난 부처』가 있다.
펼치기
탁효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안동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조선시대 왕실원당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법보신문 기자, 미디어붓다 기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전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국립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원당, 조선 왕실의 간절한 기도처』가 있고, 공저로 『회암사와 왕실 문화』, 『대법사지』, 『한국의 대종사들』 등이 있다. 연구논문으로 「조선시대 정업원의 위치에 관한 재검토」, 「조선시대 봉은사 수륙재의 역사적 전개」, 「조선초기 능침사의 역사적 유래와 특징」, 「19세기 불교계 동향과 송광사의 위상」 외 다수를 발표했다.
펼치기
손성필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고전번역원 선임연구원. 한국고전번역원 고전번역교육원 연수과정을 졸업하였고, 대학원에서 역사학으로 박사과정을 졸업하였다. 한국문집총간 편찬, 《북새기략・북관기사・북여요선》 번역 등에 참여하였고, 〈《진심직설(眞心直說)》 판본 계통과 보조지눌(普照知訥) 찬술설의 출현 배경〉, 〈《북새기략》의 편찬 경위와 편찬자 문제〉 등의 논문 다수를 집필하였다.
펼치기
손신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에서 미술사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석사학위논문은 「<동궐도>를 통해 본 창덕궁 연구」이며, 박사학위논문은 「19세기 불교건축의 연구-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이다. 1994년~1996년에는 주간불교신문사 기자로, 2008년~2010년에는 전북대학교 쌀삶문명연구원 HK연구교수로 근무하였다. 1997년부터 2016년까지 동국대·고려대· 국민대 등에서 강의하였으며, 2012년에는 한국연구재단에서 지원하는 박사후연구자로 선정되어 원광대 인문학연구소에서 연구하였다. 한국전통건축을 통섭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건축사와 미술사의 학제간 연구를 모색하고 있다. 주요논문으로 「연경당 건축년대 연구-사료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242·243합집, 2004), 「東國大學校正覺院 건물의 역사와 건축적 특징-경희궁 숭정전과의 관련을 중심으로」(『한국불교학』65호, 2013), 「기록을 통해 본 조선후기 골굴석굴의 양상」(『강좌미술사』50호, 2018) 등이 있고, 공저로는 『간다라에서 만난 부처』(한언, 2009) 등이 있다.
펼치기
양혜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조선시대사·한국불교사 전공. 논저로는 「조선초기 법전의 ‘僧’ 연구」(2017), 「<經國大典> 판본 연구」(2018), 「15세기 승과(僧科) 연구」(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이승윤 (편역)    정보 더보기
충남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한 뒤 한국교원대학교, 충남대학교 국사학과에서 한국근대사를 전공하고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충남역사문화연구원과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에서 연구원을 지낸 후, 현재는 서대문형무소역사관에서 학예연구사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연구로는 「한말 승려들의 의병에 대한 태도와 동향」, 「불교계의 국채보상운동 참여와 성격」, 「1908~1945년 사사과 설치와 사찰재산관리규정」, 「1908~1945년 서대문형무소 사형집행의 실제와 성격」, ��서울의 국채보상운동��(공저), ��일제침탈사자료총서: 행형제도 감옥��(편역) 등이 있다. 전통불교에서 근대불교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한국 불교의 특수성이 어떻게 발현되는지 꾸준히 추적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일제의 물리적·사상적 통제와 탄압’에도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김성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K학술확산연구소 연구초빙교수. 근대 불교 교단 기구 및 청년단체와 불교개혁론 등에 대한 불교사적 의의를 연구하고 있다. 주요 연구로 〈재단법인 조선불교중앙교무원의 자산운영과 한계〉, 〈1910년대 불교 근대화론과 종교적 지평의 확대〉, 〈조선불교청년총동맹의 성립과 활동〉 등이 있다.
펼치기
이경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한민국역사박물관 학예연구사
펼치기

책속에서

일반적인 오해와는 달리 승정체제가 폐지된 중종 대와 선조 대에도 국가가 승도, 사찰, 불교계를 직접적이고 대대적으로 제재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성리학에 투철한 신료들은 국가체제에서 승정체제를 폐지한 후 승도가 교화되어 저절로 줄어들기를 기다렸을 뿐, 직접적인 제재를 지향하지 않았던 것이다. 그러므로 16세기에 승정체제가 폐지된 이후 불교계에 대한 직접적인 제재가 이루어졌다고 여기거나, 성리학에 투철한 신료가 승도와 사찰에 대한 직접적인 억압을 지향했다고 여기는 막연한 이해는 잘못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 1장_「조선 전기 승정체제 운영의 실제」


그런데 정조는 불교에 대해 우호적인 정책을 펼쳤던 임금이다. 승려의 군역과 잡역을 감면하고 해남 대흥사, 안변 석왕사, 묘향산 보현사에 있던 호국 승려의 사당에 사액을 내리기도 했으며, 전국 사찰 편람이라고 할 수 있는 『범우고』를 편찬하고, 아버지 사도세자의 무덤인 현륭원의 재궁으로 용주사를 창건했다. …… 그러므로 정조 대의 도성 출입 금지가 불교를 억압하기 위한 정책이었다고 보기 어려운 점이 있다. 그러나 근대에 이르러 해제되기까지 불교계는 승려의 도성 출입 금지를 치욕으로 여겼던 것 같다. 그래서인지 1895년 사노 젠레이의 요청으로 도성 출입 금지가 해제되자, 불교계는 일본의 침략 정책을 깨닫지 못하고 “500년 이래의 원통함과 비굴함에서 쾌히 일어서게 하시어”라고 할 정도로 일본 불교를 열렬히 환영했던 것이다. [조선] 2장_「조선 후기 불교 정책과 불교계의 대응」


이처럼 불교계는 시대의 변화상에 부응하여 계파와 문파를 형성하고 법통을 통해 서로의 정체성을 공유해 나갈 수 있었다. 문파와 법통의 연결고리는 바로 법맥의 전수였다. 국가에서 선교양종과 승과, 도첩 등의 승정 체계를 관리했던 조선 전기에는 출가 사찰과 소속 종파의 득도사와 수계사가 공식적인 스승으로 인정되었다. 그렇지만 빠르면 16세기 후반, 이어 조선 후기에는 출가나 수계와 관련된 공적 규정이나 현실적 구속력이 사라짐에 따라 개별 사찰 차원에서 이를 자체적으로 시행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면서 오랜 선종의 전통을 반영하여 실제 법을 전수해 준 전법사의 위상이 단연 높아졌다. 계파·문파와 법통의 성립과 함께 이제 법맥 계보가 최우선시되는 ‘전법의 시대’가 열린 것이다. [조선] 3장_「조선 후기 불교 문파의 형성과 분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