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유아교육학
· ISBN : 9788942609918
· 쪽수 : 346쪽
· 출판일 : 2018-01-08
목차
제1장 유아교육의 개념 및 중요성
1. 유아교육의 개념
1) 교육의 개념
2) 유아의 개념
3) 유아교육의 개념
2. 유아교육기관의 유형과 특성
1)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의 유형과 특성
2) 외국 유아교육기관의 유형과 특성
3. 유아교육의 중요성
1) 아동관의 변화에 따른 유아교육의 중요성
2) 심리학적 연구 결과로 본 유아교육의 중요성
3) 현대사회의 변화 및 특징에 따른 유아교육의 중요성
제2장 유아교육사상
1. 유아교육사상의 개념 및 중요성
2. 우리나라의 유아교육사상
1) 유교
2) 불교
3) 천도교
3. 서양의 유아교육사상
1) 고대, 중세의 유아교육사상
2) 근세 실학주의에서의 유아교육사상
3) 계몽주의의 유아교육사상
4) 신인문주의의 유아교육사상
5) 현대의 유아교육사상
제3장 유아교육과 발달 이론
1. 성숙 이론
1) 홀의 발달론
2) 게젤의 성숙론
3) 교육적 시사점
2. 정신분석 이론
1)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이론
2)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이론
3) 교육적 시사점
3. 학습 이론
1) 고전적 조건형성 이론
2)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
3) 사회학습 이론
4) 교육적 시사점
4. 인지발달 이론
1)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2)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인지발달 이론
3) 교육적 시사점
제4장 유아교육과 유아교육과정
1.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 이해
1) 교육과정의 개념
2) 교육과정 분야에서의 주요 쟁점
2. 유아교육과정의 개념 및 역사적 발전 과정
1) 유아교육과정의 개념
2) 유아교육과정의 역사적 발전 과정
3. 우리나라 국가 수준 유아교육과정
1) 유치원 교육과정
2) 표준보육과정
제5장 유아교육 환경의 구성
1. 실내놀이 환경
1) 영아 및 걸음마기 유아를 위한 교육 환경
2) 유아를 위한 교육 환경
2. 실외놀이 환경
1) 실외놀이의 교육적 효과
2) 실외놀이 환경 구성
제6장 유아교육과 놀이
1. 놀이의 정의
1) 놀이의 특성
2) 놀이와 탐색, 놀이와 일
2. 놀이의 이론
1) 고전적 놀이 이론
2) 현대 놀이 이론
3. 놀이와 유아의 발달
1) 놀이와 신체발달
2) 놀이와 인지발달
3) 놀이와 언어발달
4) 놀이와 사회성발달
5) 놀이와 정서발달
4. 연령별 놀이 행동의 특성 및 유형
1) 놀이 유형별 발달
2) 연령별 놀잇감 특징
5. 놀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개인적 요인
2) 가정환경
3) 사회 환경
제7장 유아교육과 교사
1. 유아교사의 전문성
1) 직업 분류
2) 전문직의 조건
3) 유아교사의 전문성을 위한 논의
4) 교직윤리
2. 유아교사의 역할과 자질
1) 유아교사의 역할
2) 유아교사의 자질
3. 유아교사 교육
1) 양성교육
2) 현직교육
제8장 유아교육과 부모
1. 부모 역할과 양육 태도
1) 부모의 역할
2) 부모의 양육 태도
2. 부모 참여 및 부모교육
1) 부모 참여 및 부모교육의 개념
2) 부모교육의 필요성
3) 부모교육의 이론
4)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교육
제9장 유아교육의 주요 문제
1. 영아 교육
1) 영아기의 개념 및 중요성
2) 영아 발달의 특징
3) 영아기 교육
2. 다문화·반편견 교육
1) 다문화·반편견 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2) 다문화·반편견 교육의 내용 및 교육과정
3. 종일제 교육
1) 종일제 교육의 개념
2) 종일반의 유형
3) 종일제 프로그램 운영의 기본 원리
4) 종일제 프로그램의 운영 방안
4. 장애아 통합교육
1) 장애아 통합교육의 의미
2) 장애아 통합교육의 필요성과 효과
3) 장애아 통합교육의 발전 방향
5. 유ㆍ초 연계교육
1) 유ㆍ초 연계의 개념
2) 유ㆍ초 연계의 필요성
3)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의 특성
4) 유ㆍ초 연계교육의 방향
제10장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변천 과정 및 전망
1.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변천 과정
1) 유치원
2) 어린이집
2. 우리나라 미래 사회 모습과 유아교육의 미래 전망
1) 미래 사회의 전반적 특성과 교육의 지향 방향 전망
2) 한국 사회의 미래 전망과 교육의 지향 방향
3) 한국 사회의 인구학적 변화에 비추어 본 유아교육 전망
4) 유아교육법 제정 이후 유아교육 전망
부록
1. 우리나라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
2. 유치원 교원의 자격 기준
3. 어린이집 교원의 자격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