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유아교육학
· ISBN : 9788942613540
· 쪽수 : 463쪽
· 출판일 : 2021-03-09
목차
PART 1. 유아특수교육의 이해
Chapter 01 유아특수교육의 발달 / 17
1. 정의와 용어 / 18
1) 특수유아와 장애유아 / 18
2) 무능력과 핸디캡 / 18
3) 발달지체와 장애위험 유아 / 19
4) 조기중재와 유아특수교육 / 23
2. 유아특수교육의 발달 / 24
1) 이타르와 세강, 그리고 빅터 / 24
2) 몬테소리 / 25
3)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 26
4) 조기 경험의 중요성 / 26
5) 헤드 스타트 프로젝트 / 29
6) 헤드 스타트 프로젝트에 대한 의문점 / 30
7) 조기중재의 효과 / 31
8) 장애유아의 조기중재 효과 / 32
9) 부모 참여의 중요성 / 34
3. 유아교육과 유아특수교육 실제: 발달에 적합한 실제(DAP)와 추천된 실제 / 35
1) 유아교육의 발달에 적합한 실제 / 35
2) 유아특수교육의 추천된 실제 / 41
3) DEC와 NAEYC의 협력 / 44
Chapter 02 유아특수교육의 이해 / 47
1. 유아특수교육 관련 법: 미국과 우리나라 / 48
1) 미국의 유아특수교육 관련 법 / 48
2) 우리나라의 유아특수교육 관련 법 / 54
2. 우리나라 유아특수교육 현황 / 57
1) 특수학교, 특수유치원, 특수학급 현황 / 58
2) 유치원 순회교육(영아 포함) / 59
3)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현황 / 59
4) 장애아 보육시설 현황 / 60
3. 유아특수교육 환경 배치 / 62
1) 일반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 63
2) 지원 서비스가 있는 통합 유치원이나 통합 어린이집 / 63
3) 유아특수교실이 있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 64
4) 유아특수학교·특수학교 유치부·장애전담 어린이집 / 64
5) 가정 / 64
6) 병원 또는 시설 / 64
4. 유아특수교육 전달 체제 / 65
1) 가정 중심 프로그램 / 65
2) 기관 중심 프로그램 / 66
3) 병합 프로그램 / 67
5. 유아특수교육 전문가 협력 형태 / 68
1) 다학문적 접근 / 69
2) 간학문적 접근 / 70
3) 초학문적 접근 / 71
Chapter 03 장애유아의 이해 I / 73
1. 우리나라 특수교육대상자 현황 / 74
2. 시각장애 / 77
1) 시각장애의 정의 / 77
2) 출현율 및 원인 / 79
3) 시각장애 유아의 특성 / 79
4) 교실에서 시각장애 유아 발견하기 / 81
3. 청각장애 / 82
1) 청각장애의 정의 / 82
2) 출현율 및 원인 / 83
3) 청각장애 유아의 특성 / 84
4) 교실에서 청각장애 유아 발견하기 / 85
4. 지체장애 / 86
1) 지체장애의 정의 / 86
2) 출현율 및 원인 / 87
3) 지체장애 유아의 특성 / 88
4) 교실에서 지체장애 유아 발견하기 / 90
5. 정서·행동장애 / 91
1) 정서·행동장애의 정의 / 91
2) 출현율 및 원인 / 93
3) 정서·행동장애 유아의 특성 / 94
4) 교실에서 정서·행동장애 유아 발견하기 / 95
6. 자폐성 장애 / 96
1) 자폐성 장애의 정의 / 96
2) 출현율 및 원인 / 98
3) 자폐성 장애 유아의 특성 / 98
4) 교실에서 자폐성 장애 유아 발견하기 / 101
Chapter 04 장애유아의 이해 II / 103
1. 지적 장애 / 104
1) 지적 장애의 정의 / 104
2) 출현율 및 원인 / 105
3) 지적 장애 유아의 특성 / 105
4) 교실에서 지적 장애 유아 발견하기 / 107
2. 특정학습장애 / 108
1) 학습장애의 정의 / 108
2) 출현율 및 원인 / 110
3) 학습장애 유아의 특성 / 110
4) 교실에서 특정학습장애 유아 발견하기 / 112
3. 의사소통장애 / 113
1) 의사소통장애의 정의 / 113
2) 출현율 및 원인 / 114
3) 의사소통장애 유아의 특성 / 115
4) 교실에서 의사소통장애 유아 발견하기 / 116
4. 건강장애 / 117
1) 건강장애의 정의 / 117
2) 출현율 / 119
3) 건강장애 유아의 특성 / 119
4) 교실에서의 건강장애 유아 발견하기 / 122
5.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 123
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의 정의 / 123
2) 출현율 및 원인 / 124
3) ADHD 유아의 특성 / 125
4) 교실에서 ADHD 유아 발견하기 / 127
PART 2. 유아특수교육의 실제
Chapter 05 가족 지원 / 131
1. 장애유아 가족 이해 / 132
1) 부모의 장애 자녀 수용 단계 / 132
2) 비장애 형제 / 136
3) 체제로서의 가족 / 137
2. 가족 역할의 변화: 가족 중심 접근 출현 / 140
3. 유아특수교육에서 세 가지 가족 실제 / 144
1) 가족 중심 실제 / 145
2) 가족 역량 강화 실제 / 146
3) 가족과 전문가 협력 / 152
4. 가족 지원 / 154
1) 가족지원이란? / 154
2) 가족지원 내용 / 155
Chapter 06 사정 / 161
1. 용어 정의 / 162
2. 사정이란? / 165
3. 사정 과정 / 166
1) 선별 / 166
2) 진단: 적격성 판단하기 / 169
3) 개별화 프로그램 계획과 중재 / 171
4) 진보 점검 / 172
5) 프로그램 효과 평가 / 173
4. 유아특수교육에서 바람직한 사정 실제 / 174
1) 협력자로서의 부모 참여 / 175
2) 발달에 적합한 실제 / 176
5. 사정 도구 / 177
1) 형식적 사정 / 177
2) 비형식적 사정(대안적 사정) / 178
6. 사정 시 고려점 / 183
1) 유아 특성 고려 / 183
2) 장애 유형에 적합한 사정 도구 및 수정 / 184
3) 문화적으로 적합한 사정 / 186
7. 사정에서의 미래적 시각 / 186
Chapter 07 교육과정 / 189
1. 교육과정의 정의 / 190
2. 교육과정 접근법 / 191
1) 발달적 접근 / 192
2) 행동주의 접근 / 193
3) 인지발달 접근 / 194
4) 학문적(전학문적) 접근 / 195
5) 기능적 접근 / 195
3. 장애유아에게 적합한 교육과정 선택 / 197
4. 유아교육과 유아특수교육의 교육과정 병합: DAP와 DEC / 199
5. 국가 수준의 유치원 교육과정: 누리과정과 표준보육과정 / 204
1) 국가 수준의 유치원 교육과정 / 204
2) 누리과정 / 206
3) 표준교육과정 / 209
6. 최근 교육과정에서의 변화 / 209
1) 보편적 학습 설계 / 210
2) 표준교육과정 / 212
Chapter 08 교수 전략 / 215
1. 교수 전략 선택: 성공적이고 독립적인 학습자 / 216
2. 교수 전략: 자연적 전략과 명시적 전략 / 217
1) 자연적 교수 전략 / 218
2) 명시적 교수 전략 / 221
3. 삽입 교수 전략 / 227
1) 일상적 일과를 통한 삽입 교수 / 228
2) 블록 놀이에서의 삽입 교수 / 229
3) 사회적 기술 습득을 위한 삽입 교수 / 231
4) 인형극 안에 조음 훈련 삽입 교수 / 232
Chapter 09 장애 유형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 / 235
1. 장애 유형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의 필요성 / 236
2. 다양한 장애 유형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 / 238
1) 시각장애 유아 / 238
2) 청각장애 유아 / 240
3) 지체장애 유아 / 242
4) 정서·행동장애 유아 / 244
5) 자폐성 장애 유아 / 245
6) 지적 장애 유아 / 248
7) 학습장애 유아 / 249
8) 의사소통장애 유아 / 250
9) 건강장애 유아 / 252
10) ADHD 유아 / 254
Chapter 10 개별화 가족 서비스 계획과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 / 257
1. 개별성, 적절성, 그리고 협력에 기초한 문서 / 258
2. 개별화 가족 서비스 계획(IFSP) / 260
1) IFSP 개발 과정 / 260
2) IFSP 회의 참여자 / 261
3) 가족의 강점, 관심, 우선순위 판별하기 / 262
4) 성과 진술하기 / 262
3. IFSP의 예 / 262
4.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IEP) / 269
1) IEP 개발 과정 / 269
2) IEP 회의 참여자들 / 270
3) IEP 회의 참여자의 준비 / 270
4) 개별화 교육 목표 세우기 / 272
5) 진보 보고 / 273
5. IEP의 예 / 274
6. IFSP와 IEP에서의 최근 변화 / 284
Chapter 11 물리적 환경 구성 / 287
1. 물리적 환경 구성의 중요성 / 288
2. 지원적인 물리적 환경 구성 / 289
1) 신체적 안전성 / 289
2) 심리적 안정감 / 290
3) 독립적 접근성 / 291
4) 반응성 / 294
3. 장애유아에게 적합한 자유선택활동 영역 구성 / 295
1) 언어 영역 / 295
2) 미술 영역 / 296
3) 물놀이 영역과 모래놀이 영역 / 297
4) 수·조작놀이 영역 / 298
5) 쌓기놀이 영역 / 298
6) 역할놀이 영역 / 298
7) 조용한 영역 / 299
8) 바깥놀이 영역 / 299
9) 영아와 걸음마기 유아를 위한 특별한 고려 / 301
4. 장애 유형에 적합한 물리적 환경 수정 / 302
1) 시각장애 유아 / 302
2) 청각장애 유아 / 305
3) 지체장애 유아와 건강장애 유아 / 308
4) 정서·행동장애 유아 / 312
5) 자폐성 장애 유아 / 313
6) 지적 장애 유아 / 315
7) 의사소통장애 유아 / 317
Chapter 12 놀이 지도 / 319
1. 유아특수교육에서의 놀이의 가치 / 320
2. 놀이의 이해 / 322
1) 놀이 이론 / 322
2) 놀이 발달 단계 / 324
3) 놀이 평가 / 326
3. 장애유아의 놀이 발달 / 328
4. 놀이 중재의 필요성 / 331
5. 놀이 지도 / 333
1) 일반적 교수 전략을 사용한 놀이 지도 / 333
2) 사회적·인지적 놀이 발달 단계에 따른 놀이 지도 / 344
3) 장애 유형에 따른 놀이 지도 / 348
Chapter 13 문제 행동의 이해와 지도 / 351
1. 장애유아의 문제 행동 / 352
1) 문제 행동의 정의 / 352
2) 문제 행동과 뇌발달: 정서적 뇌와 이성적 뇌 / 354
2. 연령 변화에 따른 유아 문제 행동 특성 / 356
3. 문제 행동 지도 방법의 변화: 긍정적 행동지원(PBIS)의 출현 / 359
1) 사후 처벌법의 비효과성 / 359
2) 새로운 지도 방법 출현: 긍정적 행동지원(PBIS) / 360
4. 유아의 사회적 기술 증진과 문제 행동 지원: 피라미드 모델 교수법 / 363
1) 유아기 문제 행동의 예후 / 363
2) 피라미드 모델 교수법 / 365
PART 3.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이해
Chapter 14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이해 / 389
1. 특수교육의 변화 / 390
2.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역사 / 396
1) 통합 교육의 역사 / 396
2)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역사 / 398
3.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시대적 변화 / 403
1) 주류화 / 403
2) 최소한의 제한된 환경 / 405
3) 통합 / 405
4) 완전 통합 / 406
4. 장애유아 통합교육 관점 변화 / 408
1) 장애유아를 일반유아와 같은 교실에 배치해야 한다는 관점 / 408
2) 장애유아를 교실에 적합한 구성원으로 수용하는 관점 / 408
3) 장애유아의 참여를 지원하는 가치, 정책, 실제의 구체화로 보는 관점 / 410
5. 우리나라 통합교육 관점 변화 / 411
Chapter 15 장애유아 통합교육 전략 / 415
1. 태도 중재: 소속감 및 구성원 되기 / 416
1) 태도 중재의 중요성 / 416
2) 통합 교실에서의 장애에 대한 태도 변화 / 417
3) 다양한 태도 중재 전략 / 419
2. 사회적 통합 중재: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와 우정 형성 / 428
1) 교사의 촉구와 사회적 강화 / 428
2) 사회적 상호작용 기회를 제공하는 특별한 놀잇감이나 활동 / 429
3) 교육 대리인으로 또래 활용 / 430
4) 사회적 통합을 위한 종합적인 중재 활동 / 430
3. 교육적 중재: 잠재력 개발을 위한 발달과 학습 지원 / 434
1) 교수 전략 사용하기 / 434
2) 교육과정 수정 / 440
3) 보편적 학습 설계 / 446
■ 참고문헌 / 453
■ 저자소개 / 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