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사회/심리학
· ISBN : 9788942619269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5-02-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3
제1장 교육의 개념 7
1. 교육의 정의 8
2. 교육의 가능성 13
3. 교육의 성립 15
4. 교육의 한계 19
5. 교육 평등과 사회 평등 25
6. 교육 불평등의 원인 28
7. 교육갈등 31
제2장 유전과 환경의 교육적 영향 39
1.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 40
2. 환경의 중요성 41
3. 형식적 교육과 비형식적 교육 42
제3장 문화 49
1. 문화의 개념 50
2. 문화의 특성 51
3. 문화의 유형과 기능 55
제4장 사회화 57
1. 사회화의 개념 58
2. 사회화의 이론 59
3. 인간의 성장단계와 사회화 기관 60
제5장 사회학의 성격 69
1. 기능이론 70
2. 갈등이론 72
3. 재생산이론 75
제6장 교육사회학의 성격 79
1. 교육사회학의 성립 80
2. 과거의 교육사회학의 동향 86
3. 교육사회학의 특성 및 과제 90
제7장 가족집단과 교육 97
1. 가족집단의 개념과 성격 98
2. 가족집단의 기능 101
3. 현대 가정의 성격 106
4. 가족 간 인간관계의 유형 110
5. 형제자매 관계 113
6. 청소년기의 교육내용 118
7. 현대 가족의 문제점 120
8. 현대 가족 문제의 해결방안 124
9. 가정교육의 당면문제 126
10. 현대 가정교육의 과제와 방향 130
제8장 학교사회와 교육 133
1. 학교사회 134
2. 학교조직 144
3. 학급사회 145
4. 사회적 측면에서 본 교권 149
5. 학교교육의 문제 156
6. 학교교육의 병리적 현상 160
제9장 지역사회와 교육 165
1. 지역사회의 성격 166
2. 도시사회와 교육 170
3. 농촌사회와 교육 176
4. 지역사회학교 179
제10장 사회계층과 교육 185
1. 사회계층 186
2. 사회계층 이동(social mobility) 194
3. 학교교육과 사회계층 이동 199
제11장 사회변동과 교육 209
1. 사회변동의 개념 210
2. 사회변동의 과정 211
3. 사회변동의 특성 214
4. 사회변동과 이데올로기 215
5. 이데올로기의 특징 219
6. 사회문제 220
제12장 다문화 사회와 교육 225
1.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 226
2. 다문화 사회의 문제 227
3. 한국 다문화 교육의 특징 230
제13장 평생교육 233
1. 평생교육의 정의 234
2. 평생교육과 노인교육 235
3. 평생교육과 다문화시민교육 237
4. 학교평생교육의 운영 실태 239
5. 평생교육사 전문가 제도 243
참고문헌 247
저자소개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