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의 민가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민속/한국전통문화
· ISBN : 9788946035041
· 쪽수 : 525쪽
· 출판일 : 2006-03-30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민속/한국전통문화
· ISBN : 9788946035041
· 쪽수 : 525쪽
· 출판일 : 2006-03-30
책 소개
한반도의 지방별 민가를 문화지역(주 문화권)으로 구분·분류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책이다. 각 지역의 독특한 민가형이 형성된 배경과 요인을 분석하고 규명하여 민가 역사를 총망라했다.
목차
책을 내면서
머리 장 한국 민가의 이해
제1부 한국 민가의 형성 배경과 문화 지역
제1장 한국 민가형 형성에 미친 영향
제2장 취락과 민가의 영역성
제3장 한국 민가의 기본형: 오막살이집
제4장 한국 민가의 문화 지역
제2부 한반도 남부 지역의 민가
제1장 영남 지방의 민가
제2장 호남 지방의 민가
제3장 호남 지방 민가의 방어론적 해석
제4장 남동 해안 지방의 민가
제5장 서울·중부 지방의 민가
제6장 튼 ㅁ 자, 서울·중부형 민가의 공간 구성
제7장 영남 지방의 서울·중부형 민가
제8장 중부 지방 민가의 평4량 구조
제9장 중부 지방 민가의 폐쇄적 변용
제10장 태백 산간 지역의 민가 형식: 여칸집과 두리집
제3부 함경도형과 제주도형 민가
제1장 함경도형과 제주도형 민가 비교
제2장 영동 북부 지방의 민가
제3장 영동 남부 지방의 민가
제4장 봉당의 공간적 성격
제5장 제주도의 기후 환경과 민가의 구조
제6장 제주도 민가의 부속채 구성
제4부 안마당과 굴뚝, 그리고 구조와 규모
제1장 한국 민가의 안마당 1: ㅁ자형 배치 계열의 민가를 중심으로
제2장 한국 민가의 안마당 2: 신화적 사유체계를 통하여
제3장 한국 민가의 아궁이와 굴뚝 형식
제4장 한국 민가의 구조
제5장 한국 민가의 규모
마무리 장 한국 민가의 정체성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