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셀러브리티

셀러브리티

(미디어, 셀럽 문화, 셀러브리티화에 대해)

크리스 로젝 (지은이), 문미리, 이상록 (옮긴이)
한울(한울아카데미)
19,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500원 -0% 0원
190원
19,310원 >
17,550원 -10% 0원
0원
17,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셀러브리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셀러브리티 (미디어, 셀럽 문화, 셀러브리티화에 대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46065888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9-03-20

책 소개

셀러브리티 문화가 일상과 정치 현장 속과 어떻게 관계 맺는지 등을 살펴보는 ‘셀러브리티’를 둘러싼 다양하고 중층적인 논의를 담은 책이다.

목차

옮긴이의 글 /문미리

1장 | 셀러브리티와 셀러토이드
셀러브리티, 미디어, 셀러브리티화
귀속적 셀러브리티, 성취한 셀러브리티, 부여된 셀러브리티
셀러토이드와 셀러액터
셀러브리티론: 세 가지 이론
표면적 관계와 셀러브리티의 관여방어막

2장 | 셀러브리티와 종교
샤머니즘과 셀러브리티
종교, 집단 열광과 셀러브리티
셀러브리티의 유물함과 장례 의례
성 토머스 효과
셀러브리티와 죽음
스토커
록 음악과 영화 문화에서의 샤머니즘
상승의 셀러브리티 의식
하강과 추락
구제
오락 예찬
셀러브리티 고용과 홍보
셀러브리티 문화의 과잉

3장 | 셀러브리티와 미학화
공적 얼굴의 부상
영국의 극장
자립과 유명인
연출된 유명인
사진과 연출된 유명인
문화 기획자
기업형 기획자

4장 | 셀러브리티와 범죄
폭력과 셀러브리티 부류
성취에 대한 굶주림과 그 결과
반영웅
정의로운 학살자
악명의 매력

5장 | 셀러브리티와 셀러브리티화
셀러브리티 문화의 선험성
셀러브리티화 과정
생활 정치와 셀러브리티화

감사의 글

저자소개

크리스 로젝 (지은이)    정보 더보기
BBC, ≪워싱턴포스트≫와 같은 각국 주요 언론에서도 셀러브리티 연구의 창립자이자 대가로 알려진 학자로, 현재 영국 시티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이다. 주요 저서로는 『페임 어택(Fame Attack)』, 『이벤트 파워(Event Power: How Global Events Manage and Manipulate)』, 『대중문화(Popular Culture)』 등이 있다. 맥도날드화 이론으로 저명한 미국 메릴랜드대학교 사회학과 석좌교수 조지 리처(George Ritzer)와 전 11권에 달하는 『블랙웰 사회학 백과사전(The Blackwell Encyclopedia of Sociology)』 2판을 공동 편집하고 있다.
펼치기
이상록 (옮긴이)    정보 더보기
대학에서 신문방송학, 미디어를 전공한 뒤 20여 년 넘게 미디어 산업 분야에서 일하며 취재와 글쓰기, 영상 콘텐츠 만들기 등을 하며 살아가고 있다. 서울신문, 한겨레, 동아일보에서 15년 동안 사회부, 정치부, 경제부, 국제부 기자로, tvN에서 8년 가까이 시사교양, 다큐 프로그램을 만드는 CP(책임프로듀서)로 일했다. 현재는 정부 중앙부처인 국민권익위원회 홍보담당관으로 새로운 도전을 하고 있다. 농구 마니아에 언론학 박사다.
펼치기
문미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영국 골드스미스 칼리지에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으로 학사 학위를, 영국 웨스트민스터대학교에서 저널리즘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영국 브루넬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강사를 거쳐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글로벌서비스학과 초빙교수로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책에서는 셀러브리티를 공론장에서 명성과 악명을 가진 개인으로 정의하고, 셀러브리티를 세 종류로 구분한다. 첫 번째는 바로 영국의 윌리엄 왕자와 같은 왕실 가족들처럼 태어날 때부터 셀러브리티의 지위를 갖게 되는 귀속적 셀러브리티이고, 두 번째는 데이비드 베컴과 같이 자신의 능력을 바탕으로 한 뛰어난 성과로 셀러브리티의 지위를 얻게 된 성취한 셀러브리티 유형이다. 세 번째 유형은, TV 리얼리티 프로그램에서처럼 일반인이 미디어에 노출되어 집중적으로 주목을 받음으로써 유명해진 경우, 즉 부여된 셀러브리티의 지위를 갖게 된 경우로, 저자는 그들을 셀러토이드라고 일컫는다. _ “옮긴이의 글”


도덕적인 면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번천과 맥베이를 연결하는 것은 문화적 영향력으로 압축된다. 이 내용을 그대로 방정식으로 만들자면, ‘셀러브리티=대중의 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이 될 것이다. 이 등식은 앞으로 변화할 세태에 따라 수정되어야겠지만, 오늘날처럼 연예인 중독으로 보이는 대중적 현상에 대해 논의를 시작하는 단계에서는 도움이 될 것이다. 왜 우리는 한 번도 만나보지 못한 인물에게 그렇게 많은 가치를 부여하는가? 왜 일반인들 사이에서 명성에 대한 욕구가 만연해 있는가? 그 해답은 공적 생활이 어떻게 구성되는지와 관련이 있다. 미디어 콘텐츠가 정치적이고 이념적으로 대립적인 담론을 포함하고 있지만 미디어는 그런 공적으로 보여지는 삶을 구성하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_ “셀러브리티와 셀러토이드”


유명인이 출연하는 영화의 구성은 항상 같은 방식으로 진행된다. 톰 크루즈Tom Cruise의 <탑 건Top Gun>(1986), 해리슨 포드의 <인디아나 존스>와 <스타워즈Star Wars> 시리즈, 리엄 니슨Liam Neeson의 <쉰들러 리스트Schindler’s List>(1993), 브루스 윌리스의 <다이하드Die Hard> 시리즈, 멜 깁슨Mel Gibson의 <리쎌 웨폰Lethal Weapon> 시리즈, 톰 행크스Tom Hanks의 <포레스트 검프Forrest Gump>(1994)는 도덕성을 강조하는 이야기다. 권선징악의 이야기가 전개되어 정의가 승리한다.
마셜은 셀러브리티가 사회적 구성물이라고 강력히 주장하며 매스미디어가 수용자를 통치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정부는 이와 같은 통치에 적합한 롤 모델을 제시한다거나, 대중에게 정부의 통치에 순응하며 받아들이게 하거나, 삶의 고난으로부터 도피처를 마련해주는 도덕적 미담을 제공함으로써 성공한다. 그러나 그는 셀러브리티의 의미를 발전시키는 데 수용자를 생산적인 주체로 포함하기를 원한다. 그는 “수용자 주관성”이라는 용어를 소개한다. 수용자 주관성은 수용자의 유형과 어떤 문화 산업 사이에서 셀러브리티의 공적인 얼굴을 두고 계속 타협하는 것을 뜻한다. 마셜은 대중매체가 전지전능하다고 해석했고, 셀러브리티 시스템을 개발하고 구성하는 과정에서 수용자를 정교하고 창의적인 주체로 간주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_ “셀러브리티와 셀러토이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