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북한사
· ISBN : 9788946074668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23-08-24
책 소개
목차
제1부 잊혀진 에피소드
제1장 붉은 군대와 김일성 대위
제2장 동아시아 역사를 바꾼 일주일
제3장 북한을 다스렸던 소련 장성들
제4장 사료에 비친 33세 김일성
제5장 소련이 만들어준 북한의 국가 상징물
제6장 소련군의 복제품, 북한군
제7장 북한군 최고사령부의 눈에 비친 6·25전쟁의 초기 국면들
제8장 1954~1955년의 북한 기근
제9장 8월 종파사건
제10장 김일성은 어떻게 소련 통제에서 벗어났나
제11장 스탈린의 소련과 김일성의 북한을 비교한다면
제12장 중소분쟁과 북한의 외교전략
제13장 북한의 역사 왜곡과 소련의 반응
제14장 북한 선전지 ≪카레야≫가 소련에서 인기 있던 이유
제15장 1991년 소련 해체와 북한
제2부 잊혀진 인물
제1장 북한 지도자 등극에 실패한 후보들
제2장 ‘제88여단파’
제3장 ‘김일성 대위의 전우’ 유성철
제4장 미하일 강
제5장 인노켄티 김
제6장 여성 모략가 박정애
제7장 북한의 모리아티, 문일
제8장 장학봉과 그의 잊혀진 회고록
제9장 북한 보위성의 아버지, 방학세
제10장 당 부위원장 허가이와 6·25전쟁 종료 직전 의문의 사망
제11장 부상 강상호가 기억하는 내무성의 내막, 그리고 그의 기적적인 귀국
제12장 남일
제13장 ‘소련파의 김일성’ 박창옥
제14장 리상조, 수령과 싸운 대사
제15장 양심적인 간부 박의완
저자소개
책속에서
동아시아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일주일을 찾아보자면 틀림없이 1945년 8월 8일부터 15일까지의 일주일을 꼽을 수 있다. 8일과 15일, 두 개의 수요일 사이에 중국, 한국, 일본의 역사가 결정되었다.
여기에서 핵심 사건은 소련의 대일 선전포고였다. 연합군의 작전과 히로시마 원폭 투하로 약화된 일본제국을 공격한 소련군은 짧은 기간에 만주와 조선반도의 북반부를 점령할 수 있었다. 원폭 투하와 소련 참전의 충격으로 일본은 항복했지만, 이 전격전은 결국 북한 정권의 탄생과 중국의 국공내전(國共内戰)에서 공산당 승리의 원인이 되었다. _제1부 잊혀진 에피소드, 제2장 동아시아 역사를 바꾼 일주일
1945년 8월 일본 항복 직후 붉은 군대 중령이었던 그리고리 메클레르(Григорий Конович Меклер)가 제1극동전선 사령관 메레츠코프 원수로부터 호출을 받았다. 메레츠코프 원수와 전선 군사위원회 위원(정치장교)이었던 시트코프가 메클레르에게 제88여단을 찾아 제1대대를 지휘하는 조선인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라고 명령했다. 명령을 받은 메클레르는 현지를 방문했고 김일성에 대해 아주 긍정적인 인상을 받았다. 김일성은 중국어와 러시아어를 구사할 줄 알았고, 부대에서 인기 있는 사령관처럼 보였다. 메클레르는 곧 김일성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했고 메레츠코프 원수에게 제출했다. 결과적으로 이 보고서는 김일성의 옹립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_제1부 잊혀진 에피소드, 제4장 사료에 비친 33세 김일성
김일성을 비롯한 북한 지도부는 소련이 내세운 자들이었고, 북한의 소련화(化)나 사회주의화를 적극적으로 지지했다. 따라서 북한군은 거의 자동적으로 소련군의 복제품이 되었다. 북한 책들에서조차 이 사실을 인정했다. _제1부 잊혀진 에피소드, 제6장 소련군의 복제품, 북한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