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46081000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1-08-20
책 소개
목차
제1장 유리 로트만의 문화기호학: 문화유형론에서 문화상호작용론으로 _김수환
제2장 C. S. 퍼스와 활동기호학: 창조적 가추법과 은유 _이윤희
제3장 크리스티앙 메츠의 영화기호학: 영화의 기표와 의미작용 체계 _이수진
제4장 신경기호학: 이론의 태동과 발달, 그리고 현황 _조창연
제5장 화쟁기호학의 이론과 실제: 화쟁을 통한 형식주의 비평과 마르크스주의 비평의 아우름 _이도흠
제6장 신화기호학: 기호학으로 한국 신화 읽기 _오세정
제7장 황순원 단편소설 「그늘」의 담화기호학적 분석 _홍정표
제8장 박물관기호학 _태지호
제9장 사진기호학: 이미지 읽기의 출발점, 사진 _김기국
제10장 디자인 아이디어와 기호학: 기호학적 접근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에서의 재미 생산 _박영원
제11장 음악기호학: 바흐, 클레냥, 로드리고의 작품을 중심으로 _박여성
제12장 스포츠기호학 _송치만
저자소개
책속에서
기호학 이론으로서, 그리고 문화이론으로서 로트만의 문화기호학이 갖는 가장 큰 특징은 무엇일까? … 현재 통용되고 있는 일반적 의미에서의 문화기호학과 로트만의 문화기호학을 구분 짓는 결정적인 차이는 다음과 같다. 로트만의 문화기호학은 ‘기호학적 체계’로서의 문화 자체, 즉 총체로서 작동하는 문화 자체의 기호학적 메커니즘을 탐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따라서 로트만 문화기호학이 우선 관심을 기울이는 대상은 문화를 구성하는 다양한 하부 체계(텍스트), 가령 예술, 종교, 광고, 신화, 이데올로기 등이 아니라 (그것 이전에) 그 모두를 아우르는 메타체계로서의 문화 자체이다.
결론적으로 가추법은 대상에 대한 진리를 알아가는 탐구의 단계에서 첫 번째 단계에 해당하는 추론의 모드이다. 다시 말해 이미지-다이어그램-은유의 도상적 기호를 통한 감각적 추리 과정이다. … 가추법은 도상적 기호(문학과 예술 텍스트)를 매개로 주어와 서술어의 통사적 관계에 기초해 지각적 판단의 형태로 체현된다. 통찰력과 자아통제적인 행위에 기반을 둔 창조적 가추법은 가상공간에서의 도상적 은유에서 언어적·신화적 형태인 담론 세계에서의 은유적 상징으로 진화하는 과정에 존재한다.
이 글은 영화기호학의 방법론이 등장한 이후 시대적 한계를 넘어 50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유효한 부분을 소개하려는 시도이다. … 이 글은 개인적 감상과 인상 비평, 줄거리 요약이나 등장인물 소개를 넘어, 영상콘텐츠가 의미를 구축하는 과정을 분석하는 데 의미를 둔다. 다시 말해 분석의 기초 작업인 스토리, 인물, 내용을 살펴보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 너머에 있는 영화 매체의 특성까지 충분히 고려한 접근이 무엇인지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