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46083004
· 쪽수 : 496쪽
· 출판일 : 2025-03-29
책 소개
목차
제1장 서론: 플랫폼 시대의 정치 커뮤니케이션
제2장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정의와 변화
제3장 플랫폼과 플랫폼 파워
제4장 플랫폼, 공적 영역, 여론
제5장 플랫폼과 저널리즘
제6장 플랫폼과 전략적 정치 커뮤니케이션
제7장 플랫폼과 캠페인
제8장 플랫폼과 사회운동
제9장 플랫폼 거버넌스
제10장 플랫폼과 오정보, 허위조작정보, 프로파간다
제11장 플랫폼과 포퓰리즘, 급진주의, 극단주의
제12장 플랫폼, 정치, 엔터테인먼트
제13장 결론: 플랫폼과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미래
저자소개
책속에서
어포던스(affordance) 개념은 광의에서 보자면 이용자들이 플랫폼에서 할 수 있다고 인식하는 것들과 그것을 실현시키는 플랫폼의 테크놀로지 측면의 가능성을 의미한다. 페이스북은 전 세계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연령대에 걸쳐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하는 사이트가 되었고, (……) 트위터는 저널리스트나 정치 엘리트, 엔터테인먼트 엘리트 등 특정 커뮤니티에 더 많은 틈새 용도를 가지고 있으며, 틱톡은 창의적 성향의 젊은 층으로 정의된 이용자 집단에 특별히 소구되고 있다. 플랫폼들은 서로 다른 유형의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며, 이용자를 늘리고 유지하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다른 플랫폼이 내놓은 특징들을 채택해 계속 새로운 기능들을 추가한다. _ 제1장 서론: 플랫폼 시대의 정치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와 테크놀로지의 변화가 반드시 민주주의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민주주의 국가와 권위주의 국가에서, 입법부에 양당 중심 또는 다수 정당이 있는 다양한 정치 시스템의 국가들에서, 공영방송사 중심 혹은 민간 언론 중심 혹은 혼합 형태의 다양한 언론 시스템을 가진 국가들에서 정치 커뮤니케이션은 다양하다. 정치 커뮤니케이션은 미디어와 정치 시스템을 변화시키고, 미디어와 정치 시스템의 변화에 따라 정치 커뮤니케이션은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다. _ 제2장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정의와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