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47274517
· 쪽수 : 305쪽
· 출판일 : 2017-02-10
목차
제 1 장 윤리학이란 무엇인가? 7
제 2 장 어떤 종류의 윤리학이 가능한가? 25
제 3 장 기독교 윤리학의 성격 55
제 4 장 윤리의 기준과 하나님의 율법 77
제 5 장 율법의 적용 107
제 6 장 양심과 자유 133
제 7 장 사회 165
제 8 장 결혼과 가정 193
제 9 장 국가 229
End Note 249
[부록] 십계명에 대한 고찰:
신명기 12-25장을 중심으로 285
저자소개
책속에서
머리말
그동안 수년에 걸쳐 강의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이 책을 출판하게 된 점을 기쁘게 생각한다. 윤리학을 강의함에 있어서 가장 힘들었던 부분은 기독교 윤리학의 신학적 토대에 관한 것이었는데 필자는 그 해답이 개혁신학에 놓여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그래서 가능한 범위내에서 개혁신학의 창시자로 간주되는 칼빈(John Calvin)의 글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16세기 스위스에서 주로 활동했던 종교개혁자 칼빈을 기독교 윤리학자는 아니었지만 그는 우리 시대에도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는 신학자로 기억된다. 그의 저작들을 통해서 윤리학적 사고들에 대한 훌륭한 가르침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구원론과 기독교인의 삶에 대한 그의 심도 깊은 통찰력은 우리의 윤리적 삶이 어떤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하는가에 관해서 많은 교훈을 제공한다. 이 책은 이러한 칼빈이 추구했던 개혁신학적 토대위에 성경의 율법이 기독교 윤리학에서 차지하는 역할이라는 관점에서 서술되었다. 윤리학의 다양한 현대적 이슈들에 대한 해결책은 기독교적인 관점에서 성경에 나타난 율법을 떠나서는 제시될 수 없다는 것이 필자의 확신이다. 필자가 네덜란드에서 수학하고 그 곳 개혁신학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사실은 캄펜 신학교에서 윤리학을 오랜 기간 동안 가르쳤던 다우마(J. Douma) 교수의 글이 이 책에서 많이 인용되었다는 사실에서도 드러난다.
또한 이 기회를 통해서 비록 필자의 전공 분야의 지도교수는 아니었지만 유학 기간에 많은 사랑을 베풀어 주셨던 아플도른 신학대학(Theolgogische Universiteit Apeldoorn)의 페일러마(W. H. Velema) 명예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전해 드리고 싶다. 교의학을 전공한 신학자가 윤리학을 가르칠 수 있게 되었고 또한 단행본을 출판하게 기회를 갖게 된 것은 크나큰 행운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동안 부족한 강의를 들으면서 기독교 윤리학의 다양한 문제들을 함께 고민하고 관심과 사랑을 베풀어 주었던 고신대학교 신학과의 모든 제자들에게 고마움의 마음을 전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필자를 위해서 늘 기도해주시는 어머니와 사랑하는 아내에게 이 책을 바친다. Soli Deo gloria!
2014. 1. 8.
부산 다대포에서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