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적자원관리

인적자원관리

박하진, 문재승, 박계홍, 장석인 (지은이)
형설출판사
3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인적자원관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적자원관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88947285193
· 쪽수 : 684쪽
· 출판일 : 2020-09-21

책 소개

4차 산업혁명을 통해 재료와 설비들이 스스로 소통하고 효율적이며 고객맞춤형으로 제품을 생산 공급하는 시대가 현실화되고 있다. 변화의 시대에 개인과 기업이 현실을 통찰하고, 더 나은 미래, 경쟁력 있는 기업을 창조해 나갈 수 있는 것은 창의적인 인적자원에 달려 있다.

목차

제1장 인적자원관리의 기초
제1절 인적자원관리의 개념/16
1. 경영과 조직, 인적자원관리/16
2. 사람이 경쟁력이다/20
3. 인적자원관리(human resource management)/22

제2절 인적자원의 성격과 인적자원관리의 방향/24
1. 인적자원관리의 성격/24
2. 경영환경의 변화와 인적자원관리의 과제/26
3.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31
4. 인적자원관리의 목표/32

제3절 인적자원관리의 역사/33
1. 기계적 접근/34
2. 인간관계적 접근/38
3. 인적자원적 접근(human resource management)/41

제4절 인적자원관리의 위치/42
1. 인적자원관리의 관리영역/42
2. 인적자원관리의 체계/43
3. 인적자원관리를 배워야 이유?/45

제2장 인적자원관리환경
제1절 인적자원관리와 환경/48

제2절 외부환경/49
1. 일반적 환경/50
2. 과업환경/56

제3절 내부환경/59
1. 기업목표 /59
2. 기업전략/60
3. 기업문화/61
4. 기업분위기/61

제4절 인적자원관리의 패러다임의 변화/63

제3장 직무관리
제1절 직무분석/70
1. 직무관리와 인적자원관리/70
2. 직무분석의 개념/71
3. 직무분석의 절차/77
4. 직무분석정보 수집방법/79
5. 직무기술서와 직무명세서/83
6. 직무분석의 새로운 경향/88
7. 직무분석 성공을 위한 과제/90

제2절 직무평가/91
1. 직무평가의 정의/91
2. 직무평가의 성격/92
3. 직무평가의 목적/95
4. 직무평가의 요소/95
5. 직무평가의 절차 및 가중치/97
6. 직무평가의 방법/98

제3절 직무설계/104
1. 직무설계의 의의/104
2. 직무설계의 목적/105
3. 직무설계의 발달과정/106
4. 직무설계의 방법/108

제4장 인적자원계획과 인적자원정보시스템
제1절 인적자원계획/126
1. 인적자원계획의 개념/126
2. 인적자원계획의 수립과정/129

제2절 인적자원 계획수립 기법/131
1. 인적자원의 수요예측기법/132
2. 인적자원의 공급예측기법/138
3. 인적자원의 불균형 대응전략/144

제3절 정원관리/150
1. 정원관리의 의의/150
2. 정원계획/151
3. 정원산정방법/152

제4절 인적자원정보시스템/154
1. 인적자원정보시스템의 개념/155
2. 인적자원정보시스템의 역할/157
3. 인적자원정보시스템의 구축효과/159
4. 인적자원정보시스템의 활용 시 유의사항/160

제5장 인적자원의 모집과 선발
제1절 모집관리/166
1. 모집의 개념/166
2. 모집방법/170
3. 외부모집의 방법/175
4. 모집활동의 평가/178

제2절 선발관리/181
1. 선발의 의의/181
2. 선발의 기준/182
3. 선발절차/184
4. 선발 도구의 합리적 조건/197
5. 선발 의사결정의 결과/201
6. 채용방식의 변화/202

제3절 배치관리/205
1. 배치(placement)의 의의/205
2. 적정배치의 방법/206
3. 부적격자의 발생원인과 조치/207

제6장 인사이동관리
제1절 인사이동관리/214
1. 인사이동의 의의/214
2. 인사이동의 목적/214
3. 인사이동의 구분/215
4. 인사이동과정/216
5. 인사이동의 유의사항과 이동희망의 고려/216

제2절 배치전환관리/218
1. 배치전환의 의의/218
2. 배치전환의 목적/219
3. 배치전환의 원칙/220
4. 배치전환의 유형/223
5. 배치전환시 유의사항/226

제3절 승진관리/228
1. 승진(promotion)의 의의/228
2. 승진의 특성/229
3. 승진의 기본원칙/230
4. 승진의 기준/231
5. 승진의 유형/235
6. 승진결정요소/236
7. 승진관리를 위한 과제/238

제4절 징계관리/241
1. 징계(discipline)의 의의/241
2. 징계의 사유/241
3. 징계의 종류와 절차/246
4. 징계의 효과/250

제5절 이직관리/251
1. 이직(turnover)의 의의/251
2. 이직관리의 목적과 유형/253
3. 이직의 원인/254
4. 이직의 효과/256
5. 이직감소 대책/258

제7장 교육훈련과 인적자원개발
제1절 교육훈련의 개념/266
1. 교육훈련의 의의와 중요성/266
2. 교육훈련의 목적과 학습원칙/269
3. 교육훈련의 시스템 구조/271

제2절 교육훈련 필요성 분석/272
1. 교육훈련 필요성 분석수준/272
2. 교육훈련 필요성 분석방법/273

제3절 교육훈련 프로그램/277
1. 교육훈련 프로그램/277
2.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개발/278
3. 교육훈련의 종류/280
4. 교육훈련의 방법/287

제4절 교육훈련의 효과와 평가/293
1. 교육훈련의 효과/293
2. 교육훈련 평가의 주요 접근법/293
3. 평가대상/295
4. 교육훈련 평가방법/296
5. 교육훈련의 변화 추세/298

제5절 인적자원개발(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300
1. 인적자원개발의 의의와 중요성/300
2. 인적자원개발의 기대효과/302

제8장 경력개발관리
제1절 경력개발의 개념/306
1. 경력(career)의 의의/306
2. 경력개발(career development)의 의의/307
3. 경력개발의 중요성/309
4. 경력개발의 목적/310
5. 경력개발의 원칙/310

제2절 경력개발관리의 접근방법/312
1. 경력개발 과정/312
2. 경력개발 모형/314
3. 경력경로(career path)/323

제3절 경력개발 방법/325
1. 경력개발제도/326
2. 글로벌 경력개발관리/329

제4절 경력개발의 문제점과 성공조건/330
1. 경력개발의 문제점/330
2. 경력개발의 성공조건/332

제9장 인사평가
제1절 인사평가의 개념/338
1. 인사평가의 의의/338
2. 인사평가의 중요성/339
3. 인사평가의 특성/340
4. 인사평가의 목적/341
5. 인사평가의 구성요건/344
6. 인사평가의 원칙/347

제2절 인사평가의 요소와 분류/349
1. 인사평가의 요소와 대상/349
2. 인사평가자의 분류/353

제3절 인사평가의 방법/360
1. 전통적 평가기법/360
2. 현대적 평가기법/363

제4절 인사평가의 오류/374
1. 평가자에 의한 오류/374
2. 피평가자에 의한 오류/380
3. 평가제도 및 사회·문화적 특성에 의한 오류/381

제5절 인사평가의 전개방향/383
1. 사정형 평가에서 능력개발형 평가로/383
2. 상위자 중심의 일방통행적 평가에서 피평가자 참여평가로/384
3. 개인과 인물 위주의 평가에서 직무와 업적중시의 평가로/384
4. 다목적 평가에서 목적별 평가로/384
5. 피평가자의 집단화에서 세분화로/385

제10장 임금관리
제1절 보상관리의 개념/390
1. 보상의 의의/390
2. 보상의 중요성/391
3. 보상관리의 체계/391
4. 보상관리의 원칙/392

제2절 임금관리/394
1. 임금의 개념/394
2. 임금관리의 의의/399
3. 임금관리의 중요성/400
4. 임금관리의 원칙/401
5. 임금관리환경의 변화/403

제3절 임금수준/404
1. 임금수준의 의의/404
2. 임금수준의 결정요인/404
3. 임금격차(wage differential)/410
4. 임금수준의 관리전략/413

제4절 임금체계/414
1. 임금체계의 의의/414
2. 임금체계의 결정기준/415
3. 임금체계의 유형/417

제5절 임금형태/421
1. 고정급제(payment for time worked)/422
2. 성과급제(piece rate plan)/424
3. 할증급제(premium plan)/425
4. 특수임금제도/426

제6절 연봉제/432
1. 연봉제의 의의/432
2. 연봉제의 장점과 도입의 전제조건/433
3. 연봉제의 유형/436
4. 연봉제운용과 근로기준법/438
5. 임금피크제(salary peak system)/443


제11장 복리후생관리
제1절 복리후생의 개념/450
1. 복리후생(employee benefits and services)의 의의/450
2. 복리후생의 성격/452
3. 복리후생의 기능과 목적/453

제2절 복리후생제도의 유형/457
1. 법정복리후생제도/457
2. 법정 외 복리후생제도/464

제3절 복리후생 프로그램의 설계와 관리방안/467
1. 복리후생프로그램 설계의 원칙/467
2. 복리후생 프로그램의 설계과정/469
3. 카페테리아식 복리후생제도(cafeteria style pay plans)/473
4. 복리후생제도의 효율적 관리방안/477


제12장 근로시간 및 안전관리
제1절 근로시간관리/484
1. 근로시간의 개념/484
2. 법정근로시간/486
3. 법정 휴게·휴일·휴가/487
4. 탄력적 근로시간의 유형/489

제2절 안전관리/492
1. 안전관리의 개념/492
2. 안전관리 관련 법률/494
3. 산업재해 발생원인/497
4. 산업재해의 측정/499
5. 안전관리 접근방법/500
6. 안전 환경을 위한 조건/501
7. 산업재해 예방대책/504

제3절 보건관리/508
1. 보건관리의 의의/508
2. 보건관리의 목적/509
3. 보건관리의 종류/509
4. 보건관리의 대책/513

제4절 스트레스 관리/515
1. 스트레스의 의의/515
2. 스트레스의 유형/516
3. 직무스트레스의 모형/517
4. 스트레스의 예방과 관리방안/525


제13장 퇴직관리
제1절 정년퇴직/534
1. 정년퇴직의 의의/534
2. 정년퇴직의 종류/535
3. 정년퇴직제도 개선 과제/536

제2절 해고관리/537
1. 해고의 의의와 유형/537
2. 해고의 기준/538
3. 해고방침과 절차/538
4. 해고의 구제절차/539

제3절 정리해고/539
1. 정리해고의 의의/539
2. 정리해고의 목적/540
3. 정리해고의 기준/541
3. 정리해고의 대책/542

제4절 명예퇴직제도/543
1. 명예퇴직제도의 의의/543
2. 명예퇴직제의 유형/544
3. 명예퇴직제도의 활용 목적/544
4. 명예퇴직제도의 장·단점/546
5. 적용대상 및 산정방법/548
6. 명예퇴직제도의 도입시 유의사항/549

제5절 직급정년제/552
1. 직급정년제의 의의/552
2. 도입효과/553

제6절 퇴직자지원제도/554
1. 퇴직자 전직지원제도의 의의/554
2. 퇴직자 전직지원제도의 목적과 효과/555
3. 퇴직자 전직지원제도 프로그램/557


제14장 노사관계관리
제1절 노사관계의 기초/562
1. 노사관계의 의의/562
2. 노사관계의 양면성/563
3. 노사관계의 발전과정/564

제2절 노동조합/567
1. 노동조합의 의의/567
2. 노동조합의 기능/568
3. 노동조합의 조직형태와 가입방법/570
4. 노동조합과 관련한 최근 제도변화/575

제3절 단체교섭/577
1. 단체교섭의 의의/577
2. 단체교섭의 보장/578
3. 단체교섭의 방식/578
4. 단체교섭의 당사자와 담당자/581
5. 단체교섭의 범위/581

제4절 단체협약/582
1. 단체협약의 의의와 절차/582
2. 단체협약의 기능/583
3. 단체협약의 성립/584
4. 단체협약의 효력/585

제5절 부당노동행위/587
1. 부당노동행위의 의의/587
2. 부당노동행위의 종류/587
3. 부당노동행위의 구제절차/588

제6절 노동쟁위/590
1. 노동쟁의의 의의/590
2. 노동쟁의의 성립요건/591
3. 쟁의행위의 종류/591
4. 노동쟁의 조정제도/594

제7절 노사협의제/597
1. 노사협의제의 의의/597
2. 노사협의제의 성격 및 특징/598
3. 노사협의회 구성 및 운영/599
4. 협의, 의결 및 보고사항/599

제8절 경영참가제도/601
1. 경영참가제도의 의의/601
2. 경영참가의 유형/601


제15장 국제화시대의 인적자원관리
제1절 국제인적자원관리의 개념/608
1. 국제화의 의의와 요인/608
2. 국제인적자원관리의 의의/611
3. 국제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613
4. 인적자원관리와 국제인적자원관리의 차이/614
5. 국제인적자원관리의 체계/615

제2절 국제인적자원관리의 접근방법/616
1. 본국 중심적 접근방법/617
2. 현지 중심적 접근방법/617
3. 지역 중심적 접근방법/618
4. 세계 중심적 접근방법/618

제3절 국제인적자원관리의 기능/620
1. 채용관리/620
2. 인적자원의 훈련 및 개발/624
3. 인적자원 보상/626
4. 인적자원 평가/628
5. 노사관계관리/629

제4절 국제인적자원관리의 주요 쟁점사항/630
1. 인력충원에 있어서의 문제/631
2. 승진적체 현상/631
3. 유배증후군과 재귀국 문제/632
4. 충성심의 분리문제/632
5. 의사소통 장애문제/633
6. 권한위임의 제한문제/633
7. 해외에서의 노사관계 문제/633


제16장 특수 인적자원관리
제1절 비정규직 근로자의 인적자원관리/638
1. 비정규직 근로자의 의의/638
2. 비정규직 근로자의 고용형태/640
3. 비정규직 근로자 고용의 효과/641
4. 비정규직 근로자의 효과적 관리를 위한 방안/646

제2절 외국인근로자의 인적자원관리/651
1. 외국인근로자의 활용/651
2. 우수 외국인근로자의 유치 필요성/652
3. 외국인근로자 고용상의 문제점/654
4. 외국인근로자의 인적자원관리/655

제3절 여성근로자의 인적자원관리/657
1.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 확대/657
2. 성차별과 여성근로자의 중요성/658
3. 여성근로자의 인적자원관리/660

제4절 고령화시대의 인적자원관리/666
1. 고령사회의 도래/666
2. 고령화로 인한 사회·경제적 변화/667
3. 고령화 사회의 효율적 인적자원관리/668

찾아보기/672

저자소개

박계홍 (지은이)    정보 더보기
- 아주대학교 경영학박사 - Delaware University Visiting Scholar - 한국인사관리학회 부회장, 인사조직학회 상임이사,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편집위원장, 회장(2013), 대한경영학회 편집위원, 학술위원 - 공인노무사 1, 2, 3차 시험 출제 및 면접위원, 경영·기술지도사 1차 시험 출제위원, 광주광역시, 한국조폐공사, 철도공사, 기계연구원, 통계청 등 직원채용 면접·출제위원 - 충남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현). 노동부 인적자원개발우수기관 심사위원, 지식경제부 국가품질상 심사위원, 전국품질분임조경진대회 심사위원, 대학교육협의회 대학평가위원, 고용노동부 일자리창출사업 평가위원 - 정부통합전산센터, 관세청, 철도공사, 한국조폐공사, 산업인력공단 자문위원 - 대전대학교 기획처장, 학생처장, 취업경력개발원장, 평생교육원장(현) 현 대전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교수 [주요저서] 「경영학원론」, 학현사 「조직행동론」, 형설출판사 「벤처창업론」, 형설출판사 「글로벌시대의 리더십」, 학현사
펼치기
박하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 대전대학교 대학원(경영학박사) - 보광경영연구소 소장, 대전대학교 경영학과 겸임교수, 교통대, 한밭대, 우송정보대, 건국대 등 강사, 대전광역시 효지도사교육원 교수, 한국고용정보원 고용지원서비스 우수기관 심사위원 [주요저서] 「조직행동론」, 문영사 「조직행동론」, 형설출판사 「경영조직론」, 학현사 「기업과 사회」, 탑북스
펼치기
장석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Universitat Trier(경영학박사) 공주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사)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부회장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부회장 겸 2020년 차기 회장 한국산업개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역임 가톨릭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역임
펼치기
문재승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전대 경영학과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