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잘 말하기와 글쓰기

잘 말하기와 글쓰기

김재봉 (지은이)
형설출판사
3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잘 말하기와 글쓰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잘 말하기와 글쓰기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국어교육 전공
· ISBN : 9788947285919
· 쪽수 : 560쪽
· 출판일 : 2021-12-21

책 소개

언어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잘 말하기를 어떻게 할 것인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활동과 방법을 탐색하는 책이다. 예비 초등학교 교사들이 언어 교육, 특히 음성언어 교육을 본인들이 잘 하고, 이에 근거하여 학생들을 잘 지도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서 집필되었다.

목차

PART 01 의사소통의 기반

Chpater 01 서론 15

Chpater 02 의사소통(능력)의 개념과 구성 요소 21
1. 의사소통의 개념 21
2. 의사소통의 구성 요소 23
3. 의사소통의 과정 31
4. 의사소통 능력의 개념과 구성 요소 34

Chpater 03 의사소통 모형과 원리 45
1. 선형 모형 45
2. 상호작용 모형 47
3. 교섭 모형 48
4. 확장된 상호작용 모형 50
5. 모형의 비교 51
6. 의사소통의 원리 52
7. 언어 사용의 원칙 53

Chpater 04 앎과 언어 61
1. 앎의 과정과 언어 61
2. 지각과 언어 63
3. 아이디어 생성과 언어 65
4. 표현과 언어 68

Chpater 05 언어와 사고, 그리고 교육 75
1. 언어와 사고의 관계 75
2. 언어 발달에 대한 재고 77
3. 언어와 사고의 학습 조건 78
4. 언어와 사고와 교육 80

Chpater 06 사고의 형성 과정과 배경 지식의 필요성 85
1. 사고의 형성 과정 85
2. 배경 지식의 필요성 92
3. 연습의 중요성 99

Chpater 07 개념 형성에 관한 인지주의적 관점 103
1. 개념 형성에 관한 비고츠키의 실험 103
2. 개념 형성에 관한 비고츠키의 견해와 교육적 시사점 108
3. 개념 획득에 관한 브루너의 실험 114
4. 개념 획득에 관한 브루너의 실험 결과와 교육적 시사점 116

Chpater 08 말하기 불안 121
1. 말하기 불안의 긍정적 활용 121
2. 공식적인 말하기 불안의 이유 122
3. 화자를 괴롭히는 구체적 두려움 123
4. 말하기 불안의 단계와 극복하기 124
5. 자신의 말하기에 대한 점검 131

Chpater 09 질문하기 139
1. 의문과 질문 139
2. 질문의 유형 140
3. 질문하기(질문 만들기) 142

Chpater 10 듣기에 대한 이해 151
1. 듣기의 개념 151
2. 듣기의 유형과 과정 152
3. 듣기 장애 157
4. 듣기 기능(능력) 향상 전략 160
5. 효율적 듣기의 이점 163
6. 능숙한 청자와 미숙한 청자의 특성 165
7. 듣기 능력(기능) 평가하기 166
8. 말하기 평가하기 172

Chpater 11 언어 이해의 과정 181
1. 언어의 이해 181
2. 언어의 분석 183
3. 이론과 모형의 의의 186
4. 표상의 개념과 의사소통적 의의 189
5. 언어 과정과 사고 과정 191
6. 상향식 모형과 하향식 모형 193
7. 상호작용 모형 195
8. 교섭 모형 196

Chpater 12 언어 표현의 과정 201
1. 언어 표현 과정에 관한 연구의 개관 201
2. 표현 과정의 연속적 모형 202
3. 평행적 상호작용 모형 203
4. 인지적 과정 모형 206
5. 말하기의 과정 212
6. 말하기와 글쓰기의 특성 비교 218
7. 글쓰기(말하기)의 개인차 222
8. 글쓰기(말하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24

PART 02 말하기 준비와 발표

Chpater 13 말하기의 목적, 청중, 화제, 그리고 조직 231
1. 말하기의 목적 231
2. 말하기에서의 청중 232
3. 화제(topics) 239
4. 말하기 조직하기 248

Chpater 14 말(글)의 구조화와 전개 방식 253
1. 구조화에 대한 이해 253
2. 화제와 초점 그리고 구조화의 예시 255
3. 말(글)의 전개 방식 261

Chpater 15 말하기의 성공을 위한 글쓰기 269
1. 말하기의 공식적인 형식 269
2. 말하기 조직을 위한 좋은 형식의 원리 274
3. 말하기 조직하기 279
4. 말하기의 스타일 286
5. 스피치에서 언어의 유형 287

Chpater 16 음성과 그 힘 293
1. 인간 음성의 중요성 293
2. 음성을 효율적으로 산출하는 데 관여하는 요소 294

Chpater 17 신체 언어 사용하기 309
1. 비언어적 행위의 중요성 309
2. 외모(physical appearance)의 영향 311
3. 몸짓(제스처)의 영향 313

Chpater 18 보조자료 사용하기 319
1. 보조 자료의 중요성 319
2. 보조 자료의 종류 319
3. 시청각 자료를 선택하는 기준 322
4. 시청각 자료를 설계하는 원리 323
5. 시청각 자료를 활용하기 위한 지침 325
6. 활동하기 326

Chpater 19 예행연습과 점검하기 331
1. 시선 접촉 331
2. 비언어적 적성(nonverbal aptitude): 복장, 자세, 몸짓, 미소 332
3. 과정 점검하기 333
4. 예행 연습하기 334

PART 03 구두 연출과 이야기하기

Chpater 20 구두 연출 343
1. 구두 연출의 개념 343
2. 구두 연출 연구의 필요성 344
3. 구두 연출을 위한 문학작품 선정 344
4. 서사 문학작품의 구성 요소 345
5. 소리 내어 읽기의 원리 346

Chpater 21 이야기하기 355
1. 이야기하기의 중요성 356
2. 이야기 선택하기 357
3. 이야기하기의 기법 358

PART 04 정보전달의 말하기와 설명하는 말하기

Chpater 22 정보의 정의와 탐색 367
1. 정보와 지식 367
2. 정보의 중요성 369
3. 정보의 특성 370
4. 정보원 371

Chapter 23 정보전달의 말하기 375
1. 정보전달의 말하기의 중요성 375
2. 정보전달의 말하기의 특징 378
3. 정보 전달의 방법 379
4. 정보전달의 말하기의 유형 386
5. 청중들이 학습하도록 도와주기 386
6. 정보전달의 말하기의 설계 390
7. 효율적인 발표를 위한 지침 395
8. 정보전달의 말을 들을 때 유의할 점 400

Chapter 24 설명하는 말하기 407
1. 설명의 중요성 407
2. 설명 스피치를 할 때 고려할 사항 408

PART 05 설득하는 말하기와 문제해결의 말하기

Chapter 25 설득하는 말하기 417
1. 논증 구축하기 417
2. 설득하는 말하기의 본질 420
3. 설득의 작용(work)과 논제의 유형 422
4. 설득의 과정과 원리 424
5. 설득의 과제(challenges) 436
6. 논증 모형 이해하기 439
7. 툴민 논증 모형의 활용 444
8. 설득하는 말하기 연습 447
9. 설득하는 글쓰기 473

Chapter 26 문제해결의 말하기 485
1. 집단 토의의 개념 485
2. 문제해결의 순서 486
3.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요건 487
4. 집단 이끌기 488
5. 문제해결의 방법 489
6. 집단의 문제해결을 위한 활동 489

PART 06 삶과 교육과 인간을 위한 말하기

Chapter 27 학습자에 대한 이해 499
1. 인간에 대한 이해 499
2. 교육에 대한 이해 503
3. 학습자에 대한 이해 505

Chapter 28 자아의 지각과 조하리의 창 509
1. 자아의 지각 509
2. 조하리의 창 509
3. 조하리의 창 활용 511

Chapter 29 갈등 극복하기 517
1. 갈등의 개념 517
2. 갈등의 수준 518
3. 갈등이 있을 때 개인적인 분노(화)의 역할 519
4. 갈등에 대처하기 위한 개인적 접근 527
5. 갈들을 해결하기 위한 의사소통적 접근 533

참고문헌 536
찾아보기 544

저자소개

김재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광주교대 국어교육과 교수 학력 광주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졸업(교육학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교육학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교육학박사) 조선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문학박사) 학위논문 독서토론중심 수업에 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연구(고려대학교) 텍스트요약 전략에 대한 국어교육학적 연구(조선대학교) 경력 광주교대 국어교육과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교수(1998~현재) 대학작문학회장(현, 한국리터러시학회) 역임 저서 『초등말하기·듣기교육론(2003)』, 교육과학사 『2015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국어과교육(공저)(2017)』, 교육과학사 외 다수 논문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맥락의 수용문제』 『듣기 과정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연구』 외 다수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