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론/경제사상
· ISBN : 9788947542883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17-12-20
책 소개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서론
제1부 기업에 대한 이해
제1장 기업에 대한 기존의 이론들
제2장 재산권 관점에서의 접근
제3장 재산권 관점 접근에서 제기되는 쟁점
제4장 불완전 계약 모형의 근거에 대한 논쟁
제2부 금융구조의 이해
제5장 금융계약과 부채에 대한 이론들
제6장 상장기업의 자본구조에 대한 결정
제7장 파산 절차
제8장 상장기업의 의결권 구조
참고 문헌
감사의 글
옮긴이의 글
책속에서
우리가 불완전한 계약을 할 것을 상정한다면, 계약 이후에 개정과 재협상이 일어날 것은 매우 분명한 사실이다. 실제로 계약은 최종 결과를 명시하기보다는 재협상을 위한 적절한 환경이나 시작점을 제공하는 것이 최상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계약에 대해 생각할 때, 나와 내 아내, 그리고 건설업자까지, 우리 모두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대비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우리 모두는 어떤 일이 일어나든 간에 상대편의 기회주의적 행동과 불운에 대비해 서로에게 어떤 보호 장치가 있음을 보장할 수 있는 계약을 하는 방법을 찾는다.
_ ‘서론’ 중에서
인센티브를 고려한 모형을 신고전학파 모형에 통합시키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생산요소 중 하나, 가령 이를 i라 하면, 이 생산요소가 외생 변수가 아닌 내생 변수로서 품질`quality`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특히 생산요소 i(예를 들면 부품)가 오너 경영 방식의 다른 기업에 의해 공급이 되고, 이 생산요소 i의 품질 q는 이를 공급하는 경영자의 노력 e와 경영자의 통제 범위 밖에 있는 무작위성에 의해 결정된다고 가정해보는 것이다.
_ ‘제1장 기업에 대한 기존의 이론들’ 중에서
비인적 자산이 존재할 때, 고용주-피고용인 상황과 독립 계약자 상황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고용주-피고용인의 경우, 관계가 무너지면 고용주는 모든 비인적 자산을 가지고 가버리고, 독립 계약자의 경우에는 각각의 독립 계약자가 자신이 가진 일부의 비인적 자산을 가지고 가버리면 된다. 이 차이는 고용주의 영향력을 나타낸다. i라고 하는 사람이 스스로 어떤 자산을 소유할 수 없는 경우에, j라고 하는 사람이 생산성을 높일 필요가 있는 자산으로부터 i라고 하는 사람을 제외시킬 수 있는 조건하에서, i는 j가 원하는 것을 해줄 가능성이 더 높다. 만일 제3자인 k라는 사람이 있다고 하고, 그 k라고 하는 사람이 위에 언급된 자산들을 소유하는 경우라면, i는 k가 원하는 것을 해줄 가능성이 더 높다. 다시 말해, 비인적 자산에 대한 통제는 인적 자산에 대한 통제로 이어진다.
_ ‘제3장 재산권 관점 접근에서 제기되는 쟁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