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디지털 사회 2.0

디지털 사회 2.0

(분권화 트렌드와 미래 한국)

이근, 김상배, 김준연, 임지선, 최준용, 이주호, 박태영, 오철 (지은이)
21세기북스
1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820원 -10% 0원
990원
16,8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5,840원 -10% 790원 13,460원 >

책 이미지

디지털 사회 2.0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디지털 사회 2.0 (분권화 트렌드와 미래 한국)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50982171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19-07-18

책 소개

미래 한국사회의 비전을 정치·기업·노동·금융·교육·헬스·도시의 7대 부문으로 나누어 부문별로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기술 및 디지털 인프라 변화, 새로운 사회안전망, 소프트인프라 및 정책 변화, 해결되어야 할 규제들도 함께 점검한다.

목차

책머리에

들어가며 _ 디지털 사회 2.0이 가져올 미래
디지털 기술의 양면성과 분권화 트렌드
인간 중심의 디지털 사회 2.0의 비전

제1장 미래 한국 정치의 비전 :
분권과 중앙집권이 새로운 균형을 이루는 디지털 정치

4차 산업혁명 기술이 가져온 디지털 정치의 두 갈래
디지털 분권화와 민주화의 비전
디지털 중앙집권화와 지배의 비전
새로운 정치제도와 국가모델의 과제
미래 정치의 주체는 누가 될 것인가

제2장 미래 기업 경제의 비전 :
기업과 소호경제가 만든 새로운 경제 생태계

디지털 기술이 열어준 기회의 창
디지털에 의한 가치사슬의 해체와 재구성
과업형 기업과 디지털 소호, 자신만의 가치를 만들다
지속가능한 경제 생태계를 위한 우선 과제
세계화를 주도할 슈퍼개인을 위해

제3장 미래 한국형 일자리의 비전 :
유연성은 높이고 안정성은 강화한 디지털 창의 일자리 2.0

디지털 기술이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을 것인가
제3의 실업사태와 일자리 양극화
외근 정규직과 자발적 계약직 근로자의 증가
지식의 불균등, 소득 불평등을 해결하려면
개구리식 도약이 아닌 단계적 도약으로

제4장 미래 금융 시스템의 비전 :
분권화된 디지털 금융 시스템

중앙집권화된 금융 시스템이 낳은 문제
블록체인이 가져온 패러다임 전환
자본 조달이 가능한 블록체인 ICO
암호화폐의 미래와 글로벌 통합 결제 플랫폼의 필요성
블록체인 기술의 한계, 어떻게 넘어설 것인가?

제5장 미래 한국 교육의 비전 :
평준화와 다양화를 넘어서 개별화로 가는 학습혁명

전 세계에 닥친 학습 위기
에듀테크의 발전이 이끄는 개별화 교육
하이터치 하이테크 학습혁명, 무엇이 우선인가?
대한민국이 학습혁명 선도국가가 되려면

제6장 미래 헬스케어의 비전 :
환자의, 환자에 의한, 환자를 위한 맞춤형 헬스케어

의료기관에서 환자에게로 치료 주권이 이동하다
헬스케어 민주화 구현을 위한 기술적 특성
부상하는 헬스케어 비즈니스
미래 헬스케어의 고용과 업무는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해결해야 할 기술적.제도적.윤리적 과제

제7장 미래 한국 도시의 비전 :
하드웨어를 변경하지 않고 만드는 스마트시티, 스마트리빙

시스템뿐만 아니라 삶을 바꾸는 스마트리빙
세계 스마트시티 동향
혼합현실을 이용해 스마트시티를 건설하다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중국의 스마트시티 정책
한국의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무엇이 문제인가
미래를 바꾸는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해

맺음말 _ 디지털 사회 2.0 시대의 미래 한국
미래 한국의 분권화된 디지털 사회 2.0의 비전
한국사회의 문제해결과 디지털 인프라 2.0

주석
참고문헌

저자소개

이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이다. 동 대학교 국제학연구소장 및 국제협력본부장을 역임하였고, 외교부 산하 국제교류재단(Korea Foundation)의 이사장을 하였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를 취득했다. 외교부 정책자문위원, 국방부자문위원, 대통령직속미래기획위원 등으로도 활동하였고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의 한국위원회 의장 및 지역거버넌스 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했다. 민간 싱크탱크 미래전략연구원장을 하였고, 2012년 동아일보가 뽑은 ‘10년 뒤 한국을 빛낼 인물 100인’에 선정된 바 있다.
펼치기
이근의 다른 책 >
김상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소장과 한국국제정치학회·한국사이버안보학회 회장직을 역임했다. 단독 저서인 『아라크네의 국제정치학: 네트워크 세계정치이론의 도전』은 2014년도 한국국제정치학회 학술상을 수상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미래전연구센터장을 맡으면서 신흥안보와 사이버· AI·우주 안보, 디지털 경제, 국방혁신 등의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김상배의 다른 책 >
이주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무역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코넬대학교(Cornell University)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KDI 연구위원과 KDI국제정책대학원 교수를 거쳐, 비례대표 국회의원, 대통령실 교육과학문화수석, 교육과학기술부 차관과 장관을 역임하였다. 2013년 KDI국제정책대학원 교수로 복귀하여 글로벌교육재정위원회(The Education Commission)의 커미셔너, 3ie(International Initiative for impact Evaluation)의 커미셔너, EWI(Education Workforce Initiative)의 의장, 미국 브루킹스 연구원 시니어 펠로우로 국제사회에서 활동하면서 2020년 아시아교육협회를 설립하여 이사장으로 일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프로젝트 학습을 통한 교육개혁》(2016),《제4차 산업혁명 선도국가》(공저, 2017), 《한국인의 역량: 실증분석과 미래전략》(공저, 2015), 《국가연구개발체제 혁신방안 연구: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제언》(공저, 2013), 《평준화를 넘어 다양화로》(공저, 2006) 등이 있다.
펼치기
박태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한양대학교 경영대 교수이자 기술경영경제학회 부회장이다. KAIST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KPMG 컨설팅, 전남대학교 MBA, KIST유럽 과학기술국제협력센터 등에서 근무했으며, 국민경제자문회의 혁신경제분과위원으로 활동했다. 관심 연구 주제는 기술혁신전략과 혁신정책이며, 정성연구방법을 주로 활용한다.
펼치기
오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상명대학교 글로벌경영학과 교수이다.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경제학 석사,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보고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과 기술보증기금(KIBO)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한국 재정정책학회 이사, 한국 항공경영학회 이사, 극동방송 운영위원, 프로복싱 트레이너로 활동하고 있으며, 기업과 산업의 기술혁신 등 기술경제학 분야의 연구를 주로 하고 있다. 기술혁신 분야 최고 학술지인 《리서치 폴리시(Research Policy)》의 리뷰어이기도 하다.
펼치기
김준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산업제도연구실장. 한양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주요 연구 분야는 기술추격, 기술혁신과 산업의 디지털 혁신 등이다.
펼치기
최준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후오비코리아 대표이사. KT China 전 대표이사. 서울대학교에서 학사, 중국 베이징대학에서 MBA 석사를 거쳐 중국 사회과학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소를 운영하며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플랫폼경제, 공유경제, 기술 혁신, 한중 금융 협력 등이다. 공저로 《디지털 사회 2.0》, 《2020 한국경제 대전망》, 《2022 한국경제 대전망》 등이 있다.
펼치기
임지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육군사관학교 경제법학과 교수.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현재 ICT와 관련된 다양한 사회문제를 연구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기술 혁신, 고용, ICT, 양극화, 일자리 문제 등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과거의 균형이 고인구성장, 고경제성장, 많은 일자리 창출이었다면, 이제는 낮은 인구성장률ㆍ낮은 경제성장률ㆍ고부가가치 일자리라는 새로운 균형이 이론적으로 가능해지고, 이러한 선순환형 균형만 달성된다면 굳이 성장률에 집착할 필요가 없다. 즉 인구가 줄어도 노동의 고급화와 산업의 고부가가치화로 저성장형 균형 유지가 가능해진다. 게다가 도농 간의 공간적 균형까지 이룬다면 인구 균형ㆍ공간 균형ㆍ대중소기업 간 균형이라는 세 가지 새로운 균형상태로의 정착이 가능하다.
이런 선상에서 바람직한 한국자본주의의 미래상은 ‘지속 가능한 성장, 안정적 고용과 공평한 분배’의 원천으로서 ‘분권화된 인간 중심의 디지털 사회’일 것이다. 또한 지속 가능한 포용적 성장의 원천으로 지속가능한 ‘지식 창조 생태계’가 필요하다. 이러한 디지털 사회는 다양한 측면의 디지털 인프라를 기초로 스마트홈ㆍ스마트팩토리ㆍ스마트 일자리ㆍ스마트시티ㆍ스마트 헬스 및 교육, 그리고 스마트 경제로 연결되고, 최종적으로 기존의 기축통화의 지배성을 넘어서는 새로운 세계통화(디지털 화폐)로 구성된다.
- 들어가며 : 디지털 사회 2.0이 가져올 미래


인공지능이 확산하면서 알고리즘의 사회경제적 활용이 증대하는 가운데 인공지능의 명령어인 알고리즘이 차별적이고 편향된 데이터 입력에 의해 정치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알고리즘이 내리는 자동화된 의사결정에는 우선순위 결정ㆍ분류ㆍ관련짓기ㆍ필터링 등의 과정이 존재하기 마련인데, 이러한 과정이 단순히 중립적인 기술과정이 아니라 인간이 개입하는 편향적인 열의 과정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보면 인공지능 기술의 영역도 본질적으로 차별적인 정치공간일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로 인공지능을 어떻게 다스릴 것이냐의 문제, 즉 거버넌스의 문제가 제기된다. 다시 말해 인공지능이 거버넌스의 주체가 가능성을 경계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이냐의 문제 말이다. 인공지능에 대한 인간의 통제를 확보함으로써, 더 나아가서는 인간과 인공지능이 함께 어우러지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어떠한 종류의 거버넌스를 구축할 것인가의 문제가 관건이다.

- 제1장 미래 한국 정치의 비전 : 분권과 중앙집권이 새로운 균형을 이루는 디지털 정치


한편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직업은 인공지능과 로봇에 의해 미국에서만 약 47%가 사라질 위험에 처해 있다(Frey&Osbone, 2013). 또한 인공지능과 로봇이 향후 10년간 인간의 일자리 7500만 개를 빼앗아 많은 사람들이 긱이코노미(임시경제)의 일원이 되어 프로젝트성 일에 종사하게 되지만, 소수의 슈퍼개인이나 디지털 소호들은 시장에서 절대적 위상을 확보하는 생태계가 되고 있는 것이다. 결국 강화된 개인이 역량을 발휘하고 디지털 소호가 활성화되는 경제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사회적 부의 재분배 시스템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 이를테면 고소득 디지털 소호에 대한 세부담 상향, 그리고 최저생계비를 대체할 최소생계 과업을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 제2장 미래 기업 경제의 비전 : 과업형 기업과 소호경제가 만든 새로운 경제 생태계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0983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