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71178575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4-10-30
책 소개
목차
추천의 말
프롤로그 세계는 동상이몽, 한국은 동분서주
1부 2025년 세계 주요국의 경제 대전망
INTRO 지정학적 위험과 정치적 불확실성 속에서 길 찾기
01 불균형이 심화된 2024년 한국경제, 2025년은?
02 만연한 불확실성과 향후 미국경제
03 일본 엔화는 얼마나 더 약해질까?
04 부동산에서 첨단제조업으로: 중국의 성장 동력 전환과 경제 전망
05 인도경제의 고성장 지속가능성과 중국 대체 가능성
2부 글로벌 산업환경의 변화
INTRO 지정학적 리스크와 산업 정책, 회복 가능성의 EU와 성장 추세의 인도네시아
06 지정학 리스크와 한국경제
07 자본주의의 다양성에서 산업 정책의 다양성으로
08 조심스럽게 기지개 펴는 2025년 유럽경제
09 인도네시아, 불확실한 시대의 밝은 미래
3부 완만한 시장금리 하락과 자산시장의 향방
INTRO 금리하락 완만하고 자산가격은 경제성장률과 유동성에 의해 결정
10 고인플레이션 시기 이후 한층 복잡해진 통화·금융 정책 운용
11 기준금리 인하와 함께 쌓여가는 구조적인 장기금리 상승 압력
12 2024년 미국 대선의 나비 효과
13 2025년 주식 시장 전망 : 미국 증시에 대한 쏠림을 경계해야
14 2025년 부동산 시장 전망 : 유동성이 왕이다
4부 K-산업의 성장 전망과 해법
INTRO 산업의 성장통, 지정학적 위기, 중국침투를 극복할 K-산업 해법
15 K-팝 산업화와 멀티레이블
16 반도체 코리아, 지정학 파고 넘으면 탄탄대로
17 전기차와 K-배터리 산업, 산업 위기의 시작인가 캐즘인가?
18 K-방산의 성과와 미래
19 바이오헬스 산업, K-성장동력으로 발돋움하는 변곡점에 서다
20 한국 플랫폼 산업의 발전과 미래
21 중국 글로벌 플랫폼 경쟁력과 한국의 과제
22 잘 쓰면 약, 못 쓰면 독이 되는 생성형 AI와 산업 내 적용
5부 경제 구조 개혁과 정책 과제
INTRO 2025 지속가능 사회를 위한 핵심 정책 전망
23 저출생 대응, 이제는 구조 개혁과 가족 가치 회복이 중요
24 탄소중립에 선행해야 할 에너지 부문의 세 가지 중립 과제
25 조세·재정 운용의 진단과 정책과제
26 글로벌 부유세가 실현될 것인가
27 K-푸드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에필로그 경제추격지수로 본 세계 경제와 한국경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2025년, 세계 경제는 ‘동상이몽’의 시대에 들어서고 있다. 미국과 중국, 두 경제 대국은 파국을 피하려는 공존을 추구하면서도 서로의 경제적, 정치적 패권을 두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미국은 자국의 산업을 보호하고 동맹국들과의 연대를 강화하는 반면, 중국은 자국의 기술 자립과 글로벌 공급망 장악을 목표로 대응하고 있다. 유럽 내에서도 국가별로 중국에 대한 입장이 갈리고 있다. 이러한 복잡한 갈등 구도는 단순히 두 나라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글로벌 경제 전반에 큰 파급 효과를 미치고 있으며 각국은 저마다의 이해관계 속에서 다른 꿈을 꾸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동상이몽’의 세계 속에서 한국 산업과 기업은 고유의 도전과 기회를 마주하고 있다. 한국 기업들은 미중 간의 패권 다툼 속에서 두 강대국의 입장을 모두 고려하고 별도의 글로벌 공급망을 운영해야 하느라‘동분서주’하지 않을 수 없다.
---프롤로그 [세계는 동상이몽, 한국은 동분서주] 중에서
2025년 세계 경제는 지정학적 위험과 정치적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각국의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미국의 대선 결과와 금리 정책, 중국의 부동산 경기와 첨단제조업 발전, 일본의 엔화 약세 조절, 한국의 반도체 경기 회복, 인도의 고성장 지속 여부 등이 주요 관심사이다. 각국은 이러한 도전과 기회를 잘 관리하여 경제 성장을 지속하고, 세계 경제의 안정과 성장을 도모해야 한다. 효과적인 경제 정책 수립과 국제 협력이 중요한 이유다. 독자들은 각국의 경제 상황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향후 대응 전략 수립에 필요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1부 2025년 세계 주요국의 경제 대전망 [지정학적 위험과 정치적 불확실성 속에서 길 찾기] 중에서
국제 지정학적 변화의 관점에서 2024년은 ‘현상 유지’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2025년은 미국 대선 이후 변화하는 대통령의 정책 기조에 따라 중국, 러시아뿐만 아니라 북한 및 중동 국가들의 대응이 예상되고, 이는 해당 지역의 중대한 변화 가능성이 크다. 당연히 이런 지정학적 변화는 한국경제뿐 아니라 세계 경제의 영향을 줄 것이다.
---2부 글로벌 산업환경의 변화 [지정학적 리스크와 산업 정책, 회복 가능성의 EU와 성장 추세의 인도네시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