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세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47543149
· 쪽수 : 244쪽
· 출판일 : 2018-02-21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프롤로그
1부 인구 감소 캘린더
들어가며: 2016년, 출생아 수 100만 명 이하로 역대 최저
2017년 ‘할머니 대국’이 되다
2018년 국립대학이 도산 위기에 처한다
2019년 IT 인력 부족으로 기술 대국의 지위가 흔들린다
2020년 여성 2명 중 1명이 50세를 넘어선다
2021년 대규모 간병 이직이 발생한다
2022년 ‘나홀로 사회’가 본격화 된다
2023년 인건비 부담 급증으로 기업이 경영난에 허덕인다
2024년 3명 중 1명이 65세 이상인 ‘초고령자대국’이 된다
2025년 도쿄도의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한다
2026년 인지증 환자가 700만 명에 달한다
2027년 수혈용 혈액이 부족해진다
2030년 지방에서는 백화점, 은행, 요양시설이 사라진다
2033년 전국의 주택 3채 중 1채가 빈집이 된다
2035년 ‘미혼대국’ 이 된다
2039년 화장장이 극도로 부족해진다
2040년 자치단체 절반이 소멸 위기에 처한다
2042년 고령자 수가 약 4,000만 명으로 최대치를 기록한다
2045년 도쿄 도민 3명 중 1명이 고령자가 된다
2050년 세계적인 식량쟁탈전이 일어난다
2065년 외국인이 일본 국토를 점거한다
2부 미래 세대를 구할 열 가지 처방전
들어가며: 작아도 빛나는 나라가 되기 위한 제5의 선택지
첫 번째 영역: 전략적인 축소
1. 고령자 줄이기
2. 24시간 사회 탈피
3. 비거주지역 명확화
4. 행정구역을 뛰어넘는 지역 합병
5. 철저한 국제 분업
두 번째 영역: 풍요로운 사회 유지
6. 장인의 기술 활용
7. 국비장학생제도로 인재 육성
세 번째 영역: 도쿄 집중 현상 탈피
8. 중장년의 지방 이주 추진
9. 세컨드시민제도 창설
네 번째 영역: 저출산화 대책
10. 셋째 아이부터 1,000만 엔 지급
에필로그
후기
리뷰
책속에서
최근 거리나 전철 안에 고령자가 부쩍 늘었다고 느끼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이 문제의 본질은 밑에서 지탱하는 젊은 층의 숫자가 급감한다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목말 위에서 묵직하게 짓누르는 고령자의 '체중'이 문제다. 고령자 수가 늘어나는 만큼 연금이나 의료, 요양에 드는 총비용도 상승한다. 앞으로도 고령자는 계속 증가하는데, 그중에서도 75세 이상은 같은 추세로 계속 증가한다. 75세를 넘으면 중병을 앓는 사람이 늘어나기에 1인당 의료 비용이 74세 이하의 5배에 달한다는 통계도 있다. 이것은 젊은 세대가 고령자를 부양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사회보장제도에 재앙을 가져온다. (...) 목말을 밑에서 떠받치는 젊은이의 숫자가 급감한다는 것도 문제지만, 그 하체가 빈약하다는 점이 더 큰 문제다. 비정규 노동자가 증가하고, 취직을 못 해 부모의 지원을 받는 사람도 적지 않으며, 부모가 사망한 순간 생활보호자가 되는 사람도 있다. 목말형 사회는 비쩍 마른 젊은이가 시뻘게진 얼굴로 뚱뚱한 고령자를 떠받들고 있는 모습에 비유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