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고전 > 동양고전문학 > 중국고전-산문
· ISBN : 9788949706146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09-12-12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일러두기
해제
Ⅰ. 소학小學의 함의
1. 상고시대 교육제도로서의 소학
2. 문자학으로서의 소학
Ⅱ. ≪소학小學≫
1. ≪소학小學≫의 편집과 유청지劉淸之, 그리고 주희朱熹
2. ≪소학≫의 체제와 내용
3. 역대 ≪소학≫의 주석서
Ⅲ. 조선시대 ≪소학≫에 관한 열기와 언해 및 연구서
068 소학小學1/3
小學序題
Ⅰ. ≪小學≫書題 宋, 朱熹
Ⅱ. ≪小學≫題辭 宋, 朱熹
Ⅲ. <御製小學序> 朝鮮, 李德成
內篇
第一 입교立敎
◎ 立敎 小序
001(1-1) 태교
002(1-2) 나이에 따른 교육 내용
003(1-3) 어린아이 교육
004(1-4) 고대의 학교
005(1-5) 오륜
006(1-6) 순임금의 명령과 부탁
007(1-7) 대사도의 직책
008(1-8) 악정의 임무
009(1-9) 제자의 직책과 학칙
010(1-10) 제자 된 자의 임무
011(1-11) 시와 예악
012(1-12) 예악
013(1-13) 배우지 않았으나
第二 명륜明倫
◎ 明倫 小序
1. 명부자지친明父子之親
014(2-1-1) 부모 섬기는 방법
015(2-1-2) 첫닭이 울면
016(2-1-3) 아침의 부모 모심
017(2-1-4) 부모나 시부모에게 취할 예절
018(2-1-5) 혼정신성
019(2-1-6) 부드러운 얼굴로
020(2-1-7) 어버이가 살아 계실 때
021(2-1-8) 멀리 가지 말라
022(2-1-9) 친구를 위해 죽을 수 없다
023(2-1-10) 몸을 남에게 맡길 수 없다
024(2-1-11) 먼저 부모님부터
025(2-1-12) 사사로운 살림
026(2-1-13) 부르실 때의 대답
027(2-1-14) 사상견례
028(2-1-15) 효자가 지켜야 할 예절
029(2-1-16) 서손을 대할 때
030(2-1-17) 내쫓을 수 없는 아내
031(2-1-18) 부모님의 뜻이 우선
032(2-1-19) 총부의 임무와 권한
033(2-1-20) 종부의 임무와 권한
034(2-1-21) 부모님께 간언할 때
035(2-1-22) 부모님의 과실
036(2-1-23) 세 번 간언
037(2-1-24) 부모님이 병환 중일 때
038(2-1-25) 부모님께 드리는 약
039(2-1-26) 아버지의 도를 바꾸지 않아야
040(2-1-27) 부모님 생각을 먼저
041(2-1-28) 서리와 이슬이 내리면
042(2-1-29) 부부가 함께 제사를 받들어야
043(2-1-30) 제사는 직접 임해야
044(2-1-31) 제사에서 재계의 단계
045(2-1-32) 제기는 팔아먹지 않는다
046(2-1-33) 제기는 빌려 쓰지 않는다
047(2-1-34) 신체발부
048(2-1-35) 패덕과 패례
049(2-1-36) 삼생으로 봉양한다 해도
050(2-1-37) 다섯 가지 불효
051(2-1-38) 완수해야 할 다섯 가지 효도
052(2-1-39) 오형
2. 명군신지의明君臣之義
053(2-2-1) 임금을 뵙기 전의 준비
054(2-2-2) 임금의 심부름
055(2-2-3) 임금이 부르신 국빈
056(2-2-4) 궁궐에서의 예절
057(2-2-5) 임금이 하사한 수레나 말
058(2-2-6) 임금이 하사한 과일
059(2-2-7) 임금을 모시고 식사를 할 때
060(2-2-8) 임금이 내리신 음식과 날고기
061(2-2-9) 임금의 제례
062(2-2-10) 공자를 문병 온 임금
063(2-2-11) 임금이 부르실 때
064(2-2-12) 길월
065(2-2-13) 상하가 능히 친할 수 있도록
066(2-2-14) 임금과 신하
067(2-2-15) 대신
068(2-2-16) 임금 섬기는 일
069(2-2-17) 함께 임금을 섬길 수 없는 자
070(2-2-18) 임금 섬기는 세 가지 표준
071(2-2-19) 관직이 맞지 않으면
072(2-2-20) 충신과 열녀
3. 명부부지별明夫婦之別
073(2-3-1) 아내는 동성을 취하지 않는다
074(2-3-2) 사혼례
075(2-3-3) 혼례의 의미
076(2-3-4) 사흘 음악을 울리지 않는 이유
077(2-3-5) 조심해야 할 부부 사이의 예절
078(2-3-6) 남자는 집안일을 거론하지 않는다
079(2-3-7) 삼종지도와 칠거지악
080(2-3-8) 과부의 아들
4. 명장유지서明長幼之序
081(2-4-1) 아무리 어린아이라 해도
082(2-4-2) 제와 부제
083(2-4-3) 아버지의 친구
084(2-4-4) 나이 차이에 따른 예절
085(2-4-5) 어른에게 질문을 드리러 갈 때
086(2-4-6) 선생님을 마주쳤을 때
087(2-4-7) 어른이 손을 잡아주면
088(2-4-8) 어른 앞에서 청소를 할 때
089(2-4-9) 수업 중의 태도와 예절
090(2-4-10) 수업을 받을 때의 예절
091(2-4-11) 개를 꾸짖지 않으며
092(2-4-12) 군자를 모시고 있을 때
093(2-4-13) 어떤 이가 군자를 찾아오면
094(2-4-14) 어른과 식사를 할 때의 예절
095(2-4-15) 어른이 하사하면
096(2-4-16) 어른과 함께하는 성찬
097(2-4-17) 질문할 때의 예절
098(2-4-18) 나이차이가 많이 나는 어른을 모실 때
099(2-4-19) 아버지 연배의 어른
100(2-4-20) 향인과 술을 마실 때
5. 명붕우지교明朋友之交
101(2-5-1) 이문회우
102(2-5-2) 친구와 형제
103(2-5-3) 친구의 도리
104(2-5-4) 벗에게 충고할 때의 한계
105(2-5-5) 어진 이를 섬겨야
106(2-5-6) 손익에 관계되는 세 가지 친구 유형
107(2-5-7) 친구를 사귈 때
108(2-5-8) 상대에게 끝까지 요구하지 말 것
109(2-5-9) 손님을 안으로 맞아들일 때
110(2-5-10) 대부와 사의 만남
111(2-5-11) 주인이 먼저 묻지 않으면
6. 통론通論
112(2-6-1) 안에서 성취한 행동
113(2-6-2) 간쟁할 수 있는 이유
114(2-6-3) 간언과 얼굴 표정
115(2-6-4) 세 가지 은덕
116(2-6-5) 예의 선물
117(2-6-6) 때를 놓치지 말라
118(2-6-7) 효도는 처자로 인해 시든다
119(2-6-8) 상서롭지 못한 세 가지
120(2-6-9) 쓸데없는 변론
第三 경신敬身
◎ 敬身 小序
1. 명심술지요明心術之要
121(3-1-1) 단서에 있는 경계
122(3-1-2) 공경히 해야 할 것들
123(3-1-3) 예가 아니면 보지 말며
124(3-1-4) 문밖에 나서서
125(3-1-5) 이적의 땅에서도 버릴 수 없는 것
126(3-1-6) 만맥과 주리
127(3-1-7) 군자의 구사
128(3-1-8) 귀히 여길 바 세 가지
129(3-1-9) 선행
130(3-1-10) 백체로 하여금 정당함을 따르도록
131(3-1-11) 호학
132(3-1-12) 백성의 세 가지 등급
2. 명위의지칙明威儀之則
133(3-2-1) 예와 의
134(3-2-2) 금해야 할 행동들
135(3-2-3) 남의 집에 들어설 때
136(3-2-4) 군자의 용모
137(3-2-5) 앉을 때의 자세
138(3-2-6) 남의 은밀함을 엿보지 말라
139(3-2-7) 수레 안에서
140(3-2-8) 시선을 바르게
141(3-2-9) 공자의 훌륭한 태도
142(3-2-10) 식사와 잠자리
143(3-2-11) 올바른 화제
144(3-2-12) 자리가 바르지 않으면
145(3-2-13) 만나는 사람마다
146(3-2-14) 비바람과 우레
147(3-2-15) 시신처럼 눕지 않았다
148(3-2-16) 공자의 평소 모습
149(3-2-17) 남과 나란히 앉을 때
150(3-2-18) 나라의 도성으로 들어서서
151(3-2-19) 빈 방에 들어설 때
152(3-2-20) 군자가 옥을 차는 이유
153(3-2-21) 활쏘기의 의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