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五倫行實圖

五倫行實圖

(오륜행실도)

김홍도 (그림), 고정일 (옮긴이)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16,2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620원
14,5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五倫行實圖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五倫行實圖 (오륜행실도)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88949709062
· 쪽수 : 568쪽
· 출판일 : 2015-02-28

책 소개

사람이 살아가는 도리, 정조임금이 애독한 책. 효도와 신의라는 절대적 도덕률로써 확고히 자리 잡아 가정과 사회, 국가를 지탱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되어 왔다. 5천 년 우리 전통 가치관과 윤리관을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참으로 소중한 교양의 보배이다.

목차

일러두기
어제(御製) 양로무농(養老務農) 반행(頒行)
소학·오륜행실·향음주례(鄕飮酒禮)·향약 윤음(綸音)-정조 이산…15
《오륜행실도》 머리글-이만수…20
《삼강행실도》 머리글-권채…23
《삼강행실도》 발문-윤헌주…26
《이륜행실도》 머리글-강혼…28
어명을 받들어 교열한 사람…31
어명을 받들어 감수한 사람…32

오륜행실도 권1 효자
민손이 홑옷을 입다 [閔損單衣 민손단의]…35
자로가 쌀을 지다 [子路負米자로부미]…39
고어가 길에서 울다 [皐魚道哭 고어도곡]…42
진씨가 시어머니를 섬기다 [陳氏養姑 진씨양고]…45
강혁이 크게 효도하다 [江革巨孝 강혁거효]…48
설포가 집 안을 깨끗이 청소하다 [薛包庚掃 설포쇄소]…52
효녀 조아가 시체를 안다 [孝娥抱屍 효아포시]…56
황향이 베개에 부채질하다 [黃香扇枕 황향선침]…59
정란이 나무를 깎아 새기다 [丁蘭刻木 정란각목]…62
동영이 돈을 빌리다 [董永貸錢 동영대전]…66
왕부 때문에 시경을 읽지 않다 [王拓廢詩 왕부폐시]…70
맹종이 울며 죽순을 구하다 [孟宗泣竹 맹종읍죽]…74
왕상이 얼음을 깨다 [王祥剖啣 왕상부빙]…77
허자가 짐승을 묻어주다 [許孜埋獸 허자매수]…81
왕연을 위해 물고기가 뛰어나오다 [王延躍魚 왕연약어]…85
양향이 호랑이의 목을 조르다 [楊香嫩虎 양향액호]…88
반종이 아버지를 구하다 [潘綜救父 반종구부]…91
검루가 똥을 맛보다 [黔婁嘗糞 검루상분]…95
숙겸이 약을 구하러 다니다 [叔謙訪藥 숙겸방약]…99
길분이 아버지를 대신해 죽으려 하다 [吉撑代父 길분대부]…102
불해가 시신을 찾아내다 [不害捧屍 불해봉시]…106
왕숭에게는 우박도 그치다 [王崇止雹 왕숭지박]…109
효숙이 아버지 모습을 그려 모시다 [孝肅圖像 효숙도상]…112
노조가 어머니께 순종하다 [盧操順母 노조순모]…115
맹희가 황금을 얻다 [孟熙得金 맹희득금]…119
서적의 독실한 행동 [徐積篤行 서적독행]…122
오이가 화를 면하다 [吳二免禍 오이면화]…125
왕천이 수명을 더하게 하다 [王薦益壽 왕천익수]…128
유씨가 시어머니께 효도하다 [劉氏孝姑 유씨효고]…131
누백이 호랑이를 잡다 [婁伯捕虎 누백포호]…135
자강이 무덤에 엎드려 일어나지 않다 [自强伏塚 자강복총]…138
석진이 손가락을 자르다 [石珍斷指 석진단지]…141
은보가 까마귀를 감동시키다 [殷保感烏 은보감오]…144

오륜행실도 권2 충신
용방이 죽음을 무릅쓰고 간하다 [龍澄諫死 용방간사]…151
난성이 싸우다가 죽다 [欒成鬪死 난성투사]…154
석작이 참된 신하의 모범을 보이다 [石訊純臣 석작순신]…157
왕촉이 목을 끊다 [王觸絶市 왕촉절두]…161
기신이 초나라를 속이다 [紀信騰楚 기신광초]…164
소무가 부절(符節)을 쥐다 [蘇武杖節 소무장절]…167
주운이 난간을 부러뜨리다 [朱雲折檻 주운절함]…171
공승이 인수를 밀치다 [答勝推印 공승추인]…175
이업이 명을 받들다 [李業授命 이업수명]…179
혜소가 임금을 호위하다 [拘紹衛帝 혜소위제]…183
두 아들과 함께 전사한 변곤 [卞門忠孝 변문충효]…186
환이가 죽음에 이르다 [桓彛致死 환이치사]…189
안고경과 원이겸이 역적을 꾸짖다 [顔袁罵賊 안원매적]…193
장순과 허원이 죽음으로 지키다 [張許死守 장허사수]…197
장흥이 톱에 잘려 죽다 [張興鋸死 장흥거사]…201
수실이 홀을 빼앗다 [秀實奪笏 수실탈홀]…204
석연분이 씩씩하게 죽다 [演芬快死 연분쾌사]…208
이약수가 굽히지 않고 죽다 [若水斷死 약수효사]…212
유합이 목숨을 버리다 [劉勸捐生 유합연생]…216
부찰이 꼿꼿이 서서 절하지 않다 [傅察植立 부찰치립]…220
양방예가 옷깃에 혈서를 쓰다 [邦乂書襟 방예서금]…224
악비가 등에 글자를 새기다 [岳飛涅背 악비열배]…228
윤곡이 연못에 빠져 죽다 [尹穀赴池 윤곡부지]…232
문천상이 굴복하지 않다 [天祥不屈 천상불굴]…235
사방득이 먹지 않고 굶어 죽다 [枋得不食 방득불식]…240
진화상이 피를 뿜다 [和尙隔血 화상선혈]…244
강산이 임금 시신을 거두다 [絳山葬君 강산장군]…248
곽하마가 제 몸을 불지르다 [蝦裡自焚 하마자분]…252
보안이 충성을 온전히 하다 [普顔全忠 보안전충]…255
박제상이 충렬을 보이다 [堤上忠烈 제상충렬]…259
비령자가 적진 속에 들어가다 [丕寧突陣 비령돌진]…263
정추와 이존오가 상소를 올리다 [鄭李上疏 정이상소]…267
정몽주가 죽음을 당하다 [夢周殞命 몽주운명]…271
길재가 절의를 지켜 벼슬하지 않다 [吉再抗節 길재항절]…275
김원계가 홀로 적진에 뛰어들다 [原桂陷陣 원계함진]…279

오륜행실도 권3 열녀
백희가 불에 타죽다 [伯姬逮火 백희체화]…285
여종이 예절을 알다 [女宗知禮 여종지례]…288
기량식의 아내가 남편을 안고 울다 [殖妻哭夫 식처곡부]…292
송나라 여인이 남편을 버리지 않다 [宋女不改 송녀불개]…296
고행이 코를 베다 [高行割鼻 고행할비]…299
절녀가 대신 죽다 [節女代死 절녀대사]…302
목강이 전처 아들을 사랑하다 [穆姜撫子 목강무자]…305
정의가 스스로 목을 찔러 죽다 [貞義刎死 정의문사]…308
예종이 동탁을 꾸짖다 [禮宗罵卓 예종매탁]…312
원강이 남편의 칼을 벗겨주다 [媛姜解梏 원강해곡]…316
영녀가 귀를 자르다 [令女截耳 영녀절이]…319
왕씨에게 제비도 감동하다 [王氏感燕 왕씨감연]…323
최씨가 살에 맞다 [崔氏見射 최씨견사]…327
숙영이 머리카락을 자르다 [淑英斷髮 숙영단발]…330
위씨가 손가락을 자르다 [魏氏斬指 위씨참지]…333
이씨가 남편의 시신을 지다 [李氏負骸 이씨부해]…336
조씨가 수레에 목매어 죽다 [趙氏縊輿 조씨액여]…339
서씨가 도적을 꾸짖다가 죽다 [徐氏罵死 서씨매사]…343
이씨가 옥에서 목을 매어 죽다 [李氏縊獄 이씨액옥]…346
옹씨가 남편과 함께 죽다 [雍氏同死 옹씨동사]…350
왕정부의 맑고 깨끗한 풍도 [貞婦淸風 정부청풍]…354
양씨가 남편을 살리고 죽음을 당하다 [梁氏被殺 양씨피살]…358
명수가 스스로 관을 갖추다 [明秀具棺 명수구관]…361
의부가 얼음 위에 눕다 [義婦臥啣 의부와빙]…364
동씨의 얼굴 가죽이 벗겨지다 [童氏皮面 동씨피면]…368
왕씨가 목매 죽다 [王氏經死 왕씨경사]…371
주씨가 욕볼 것을 두려워하다 [朱氏懼辱 주씨구욕]…374
취가가 남편 대신 삶아 먹히다 [翠哥就烹 취가취팽]…377
영씨 딸이 절개를 지키다 [寗女貞節 영녀정절]…380
도미의 아내가 함께 달아나다 [彌妻偕逃 미처해도]…383
최씨가 왜구를 성내어 꾸짖다 [崔氏奮罵 최씨분매]…387
열부가 강물에 뛰어들다 [烈婦入江 열부입강]…390
임씨가 다리를 잘려 죽다 [林氏斷足 임씨단족]…393
김씨가 호랑이를 때려잡다 [金氏撲虎 김씨박호]…396
김씨가 남편과 함께 묻히다 [金氏同哮 김씨동폄]…399

오륜행실도 권4 형제
급과 수 형제가 함께 죽다 [伋壽同死 급수동사]…405
복식이 아우에게 재산을 나누어 주다 [卜式分畜 복식분축]…408
왕림이 아우를 구하다 [王琳救弟 왕림구제]…411
허무가 스스로 욕먹을 짓을 하다 [許武自穢 허무자예]…414
정균이 형에게 간하다 [鄭均諫兄 정균간형]…417
조효가 삶겨 죽기를 자청하다 [趙孝就烹 조효취팽]…420
목융이 스스로에게 매질하다 [繆橡自垈 목융자과]…423
이충이 아내를 내쫓다 [李充逐婦 이충축부]…426
강굉이 아우들과 한 이불 속에서 자다 [姜肱同被 강굉동피]…429
왕람이 형과 독약 마시기를 다투다 [王覽爭廷 왕람쟁짐]…432
유곤이 병든 형을 살려내다 [庾區守病 유곤수병]…435
왕밀이 자식을 아우와 바꾸다 [王密易弟 왕밀역제]…438
채확이 물어서 행하다 [蔡廓咨事 채확자사]…441
극과 살이 죽음을 다투다 [棘薩爭死 극살쟁사]…444
양씨 형제가 의리로 양보하다 [楊氏義讓 양씨의양]…447
달지가 아우의 빚을 갚다 [達之贖弟 달지속제]…450
광진이 재산 문서를 돌려주다 [光進反籍 광진반적]…453
덕규가 옥에서 죽다 [德珪死獄 덕규사옥]…456
두연이 형을 대접하다 [杜衍待兄 두연대형]…459
장존이 비단을 펴놓다 [張存布錦 장존포금]…462
언소가 재산을 나누다 [彦儉析籍 언소석적]…465
도경이 목 내밀어 죽기를 자청하다 [道卿引頸 도경인경]…468
곽전이 재산을 나누다 [郭全分財 곽전분재]…471
사달의 의리에 친척과 나무가 감동하다 [思達義感 사달의감]…474
부(附) 종족(宗族)
군량이 아내를 내쫓다 [君良斥妻 군량척처]…477
공예가 참을 인 자 백여 개를 쓰다 [公藝書忍 공예서인]…480
진씨 집안사람들이 한데 모여 밥을 먹다 [陳氏群食 진씨군식]…483
중엄의 의리 있는 전장 [仲淹義莊 중엄의장]…486
육씨들이 의로써 모여 살다 [陸氏義居 육씨의거]…489
문사가 10대를 한집에서 살다 [文嗣十世 문사십세]…492
장윤이 한솥밥을 먹다 [張閏同窕 장윤동찬]…496

오륜행실도 권5 붕우(朋友)
누호가 여공을 봉양하다 [樓護養呂 누호양여]…501
범식과 장소는 죽음을 함께한 친구이다 [范張死友 범장사우]…504
장예가 외로운 아이를 돌보다 [張裔恤孤 장예휼고]…508
도종이 시체를 찾아내다 [道琮尋屍 도종심시]…511
오보안과 곽중상이 서로 보답하다 [吳郭相報 오곽상보]…514
이면이 금을 돌려주다 [李勉還金 이면환금]…517
서회가 친구를 저버리지 않다 [徐晦不負 서회불부]…520
사도가 돈 자루를 풀다 [査道傾啣 사도경탁]…523
한억과 이약곡이 번갈아 종노릇하다 [韓李更僕 한이경복]…526
순인이 배에 실은 보리를 넘겨주다 [純仁麥舟 순인맥주]…529
후가가 의원을 구하다 [侯可求醫 후가구의]…532
부(附) 사생(師生)
운창이 스스로를 탄핵하다 [云敞自劾 운창자핵]…535
환영이 초상에 달려가다 [桓榮奔喪 환영분상]…538
견초가 시체를 거두어 염습하다 [牽招渠殯 견초염빈]…541
양시가 눈 위에 서다 [楊時立雪 양시입설]…544
원정이 마주앉아 토론하다 [元定對榻 원정대탑]…547
鑄字事實 주자사실…550

오륜행실도를 찾아서-고산고정일…552
참고문헌…565

저자소개

고산 고정일 (옮긴이)    정보 더보기
울출생. 성균관대학교국문학과졸업. 성균관대학교대학원비교문화학전공졸업. 任昌淳泰東고전연구소 수학. 소설 《청계천》으로 《자유문학》 등단. 동서문화사 창업 발행인. 1977~87년 동인문학상운영위집행위원장. 1996년 《한국세계대백과사전 총31권》 편찬주간. 지은책 대하소설 《매혹된 혼 최승희》 《불과 얼음 장진호》 《전작소설 이중섭》 《한국출판 100년을 찾아서》 《愛國作法‧新文館 崔南善‧講談社 野間淸治》 《망석중이들 잠꼬대》 《춘원이광수 민족정신 찾아서》 옮긴책 《오륜행실도》 이이 《성학집요》 《격몽요결》, 이익 《성호사설》, 이순신 《난중일기》 한국출판학술상수상 한국출판문화상수상 아동문예상수상.
펼치기
김홍도 (그림)    정보 더보기
김홍도는 조선 후기의 화가이다. 본관은 김해, 자는 사능(士能), 호는 단원(檀園)·단구(丹邱)·서호(西湖)·고면거사(高眠居士)·취화사(醉畵士)·첩취옹(輒醉翁)이다.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는 그의 호 단원을 따온 이름이다. 정조 시대 때 문예부흥기의 대표적인 화가로 여겨진다. 그는 산수화, 풍속화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화가였지만 고사인물화 및 신선도, 화조화, 불화 등 모든 분야에서 독창적인 회화를 구축한 화가이기도 하다. 주로 어명·고관의 명, 양반의 청탁 을 받아 그림을 그렸지만, 한편으로는 양반사회에서 환영받지 못한 상민·중인·천민 등 일반 서민들의 일상생활을 그린 풍속화가로 우리에게 주목받고 있다. 또한 그는 그림만 그린 것은 아니고, 시도 써서 아들 김양기가 출판한 《단원유묵》이라는 문집도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