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고구려
· ISBN : 9788949908137
· 쪽수 : 610쪽
· 출판일 : 2011-10-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전 언
제1장 高句麗國號와 두 개 高句麗說에 대하여 - 1
제1절 高句麗國號考 3
1. 高句麗와 句麗를 두 개 나라로 인정하는 견해의 모순 3
2. 句麗는 高句麗에 대한 略稱 14
맺음말 23
제2절 ?高句麗國號考-高句麗와 句麗관계를 중심으로-?에 대한鄭선생의 <討論文>에 대답함 29
1. <漢書> 地理志, 高句驪縣의 서술연대 30
2. 應의 주①?②와 관련된 몇 개 문제 35
3. 기타 몇 개 문제 46
맺음말 49
제3절 이른바 두 개 高句麗 이론에 대한 의견 51
1. 丁謙 선생의 이른바 두 개 高句麗 이론 51
2. 金毓 선생의 이른바 두 개 高句麗 이론 66
맺음말 83
제2장 高句麗초기 왕조세계에 관한 몇 개 문제 - 85
제1절 高句麗 초기 왕조세계 87
1. 宮(太祖王)의 신분과 재위기간 87
2. 宮과 遂成의 혈연관계, 遂成의 재위기간 99
3. 宮과 伯固의 혈연관계, 伯固의 재위기간 111
맺음말 123
제2절 拔奇와 發岐의 몇 가지 문제에 관한 의견 125
1. 拔奇와 發岐의 관계 125
2. 伯固 死後의 왕위계승자 129
3. 拔奇(發岐)와 伊夷模의 왕위 쟁탈전과 그 결과 146
제3절 伊夷模와 位宮의 신분에 관한 의견 159
1. 伊夷模의 신분에 대한 의견 159
2. 位宮의 신분에 대한 의견 177
맺음말 182
제3장 濊貊族에 관한 몇 개 문제 - 183
제1절 濊貊族에 관한 몇 개 문제 185
1. 濊?濊貊과 古朝鮮의 관계 185
2. 貊, 濊貊과 高句麗의 관계 205
맺음말 225
제2절 小水貊 위치고 227
1. 小水貊의 위치에 대한 渾江유역설의 모순 227
2. 小水貊의 위치에 관한 太子河유역의 梁貊설 235
3. 小水貊의 위치에 관한 河유역설 242
4. 小水貊(梁貊)의 위치에 관한 필자의 의견 249
맺음말 258
제3절 小水貊에 의한 高句麗 건국설의 모순 261
1. ‘句驪一支’인 小水貊에 의하여 高句麗가 건립되었다고 인정하는견해를 분석 261
2. 高句麗縣의 서천과 小水貊에 의한 高句麗건국을 연계시키는견해를 분석 265
맺음말 284
제4장 高句麗의 역사지위에 관한 試論 - 285
제1절 高句麗 역사지위에 관한 중외고서기록을 試論함 287
1. 역대중국고서의 高句麗 역사지위에 관한 기록 및 분석 287
2. 朝鮮고서의 高句麗 역사지위에 관한 기록 304
3. <日本書紀>의 高句麗 역사지위에 대한 기록 307
맺음말 309
제2절 4~5세기 동북아 朝貢冊封 체계에 관한 試論 311
1. 郡縣制와 朝貢冊封체계의 형성 311
2. 郡縣制와는 다른 朝貢冊封체계의 특징 315
맺음말 325
제5장 高句麗柵城遺址三考 - 327
제1절 方學鳳著 ?高句麗 柵城의 위치에 대한 고찰?을 분석 330
1. 延邊을 ‘濊貊故地’라고 인정한 方교수의 견해 331
2. 高句麗 柵城 유지를 渤海 東京 龍原府(柵城府)의관할지역 안에서만 찾으려고 한 견해 347
제2절 李宗勳著 ?高句麗 柵城 유적에 관한 辨釋?을 분석 355
1. 北沃沮의 영역에 대한 李교수의 견해를 분석 355
2. <魏書> 高句麗傳의 ‘東至柵城’에 관한 李교수의 견해를 분석 359
3. 이른바 柵城명칭의 유래에 관한 李교수의 견해를 분석 362
맺음말 364
제6장 好太王과 연계되는 몇 가지 유적과 유물 - 395
제1절 太王陵墓主新考 397
1. 太王陵을 好太王능묘로 보는데서 존재하는 모순 397
2. 太王陵의 묘주는 응당 美川王이다 407
맺음말 412
제2절 將軍塚墓主考 415
1. 將軍塚을 東明王陵, 山上王陵 및 長壽王陵이라고 인정하는견해의 부당성 415
2. 將軍塚은 好太王의 능묘 418
맺음말 423
제3절 好太王碑文의 ‘永樂’年號에 대하여 425
1. 호태왕비문의 ‘永樂’이 연호가 아니라는 일부 학자들의 견해 426
2. 비문의 ‘永樂’에 대한 필자의 견해 438
맺음말 442
제7장 德興里 묘지명의 주인공 - 445
제1절 鎭의 생존 연대 447
1. 묘지명에 기록된 永樂 十八年 447
맺음말 452
제2절 鎭의 高句麗 출생설을 분석 453
1. 高句麗 지방행정조직의 주요 형태 453
2. 信都縣의 귀속성질 471
맺음말 482
제3절 鎭의 간력에 대하여 485
1. 高句麗 幽州와 幽州刺史說의 모순 486
2. 中國 역대 왕조의 幽州와 幽州刺史설에 대하여 496
맺음말 508
제8장 中原高句麗碑 試論 - 511
제1절 中原高句麗碑의 ‘高麗太王祖王’에 대한 의견 513
1. 비문에 나오는 ‘高麗’칭호의 성격과 출현연대 513
2. 비문의 ‘太王祖王’에 대한 의견 530
맺음말 544
제2절 中原高句麗碑文을 통해 본 5세기 高句麗와 新羅의 관계 545
1. 高句麗의 우세에 기초한 麗羅 두 나라의 친선관계 545
2. ‘十二月?三日’사건과 그 이후의 ‘募人’ 등 활동을 분석 558
맺음말 576
부록 579
찾아보기 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