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신라/통일신라
· ISBN : 9788949909561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13-08-16
목차
서론 신라 목간의 출토 현황과 분류 - 1
목간의 출토와 보고 - 6
‘목간’ 문화의 수용 - 15
목간의 형태 분류 - 19
목간의 용도 분류 - 27
제1부 왕경과 목간의 문자 - 33
제1장 新羅 月城垓子 木簡의 출토상황으로 본 月城 周邊의 景觀 변화 - 35
1. 월성해자 목간의 출토위치 - 37
2. 共伴遺物과 목간의 年代 - 42
3. 목간의 폐기환경과 사용처 - 50
4. 月城 周邊의 景觀 변화 - 55
제2장 月城垓子 출토 ‘2호 목간’의 분석 - 71
1. 判讀과 解釋 - 73
2. 목간의 年代 - 77
3. 목간의 性格과 文書行政 - 81
4. 고대 일본 목간과의 비교 - 89
제3장 雁鴨池 木簡과 新羅 宮廷의 日常 - 97
1. 목간의 최근 조사 경과 - 100
2. 꼬리표 목간의 양상 - 104
3. 다양한 文書木簡들 - 116
제2부 지방 출토 목간과 정치의 문자 - 131
제1장 성산산성 출토 짐꼬리표[荷札] 목간의 地名 문제와 제작 단위 - 133
1. 목간에 묵서된 주요 地名의 比定 - 135
2. 本波?阿那?末那?前那의 의미 - 142
3. 짐꼬리표목간의 제작단위 - 152
제2장 성산산성 출토 題籤軸과 고대 동아시아세계의 文書標識목간 - 169
1. 일본 고대 文書軸의 양상 - 172
2. 성산산성 출토의 제첨축 - 179
3. 고대 동아시아세계의 문서표지 목간과 제첨축의 기원 - 187
제3장 二聖山城 출토 文字遺物을 통해서 본 신라 지방사회의 文書行政 - 199
1. 목간의 현황과 이성산성의 목간문화 - 201
3. 戊辰年목간과 文書行政 - 210
3. 벼루의 출토현황과 이성산성 - 219
제4장 新羅의 奴人-성산산성 목간과 ?울진봉평신라비?를 중심으로- - 231
1. 奴人 목간의 분석 - 233
2. 仇利伐의 촌락 구조 - 238
3. 仇利伐의 奴人과 收取 - 242
4. 奴人의 間隙 -男?只村에서 仇利伐로- - 253
제3부 신라의 목간과 그 주변 - 263
제1장 한국 고대 목간문화의 기원 - 265
1. 樂浪 簡牘의 현황 - 266
2. 삼국 초기의 文字狀況 - 275
3. 한국 고대의 초기 목간문화 - 285
제2장 궁남지 출토 목간과 백제사회 - 301
1. 목간의 形態와 判讀?書式 - 303
2. 목간의 용도 - 312
3. 목간에 내재된 國家와 人民 - 324
제3장 고대 한일의 문자문화 교류와 목간 - 333
1. 고대 일본의 文字狀況과 移住民 - 335
2. 韓日 고대 목간의 形態와 用法 - 347
결론 신라의 목간문화 - 387
신라 목간의 기원 - 390
單獨簡의 문화 - 395
收取와 목간 - 398
文書行政과 목간 - 404
목간과 古代國家 - 411
참고문헌 - 415
찾아보기 - 4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