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고구려
· ISBN : 9788949910130
· 쪽수 : 468쪽
· 출판일 : 2014-03-30
목차
책을 내면서
서론 : 『삼국사기』 지리지 소재 '고구려고지'의 이해방향 1
1. 문제의 제기 3
2. ‘고구려고지’의 사료적 검토 10
3. ‘영역’·‘세력권’·‘영향권’의 개념 26
4. ‘고구려고지’의 가치와 의미 30
제1부 4세기 후반~5세기 후반 고구려의 남진과 백제·신라의 대응 37
제1장 4세기 후반~5세기 전반 고구려의 남진과 백제의 수세 43
1. 고구려·백제의 접촉과 예성강 유역에서의 각축 43
2. 광개토왕의 南征과 그 범위 55
제2장 5세기 중·후반 고구려의 남진양상과 신라의 대응 74
1. 장수왕의 국원 진출과 「충주고구려비」의 건립 74
2. 신라 왕경 주둔 고구려군의 퇴출 85
3. 고구려의 대신라 공격과 자비왕의 방어성 구축 91
제2부 5세기 후반~6세기 중반 고구려의 남진과 삼국의 한강 유역 쟁탈전 103
제1장 5세기 후반 고구려의 한강 유역 진출과 영역 변천 111
1. 고구려의 한강 유역 장악과 백제의 반격 111
1) 관련 자료와 기존 연구의 검토 111
2) 475~500년 고구려와 백제 간 한강 유역의 영역 변천 123
2. 고구려의 대신라 공세와 교착 134
3. 한강 유역을 둘러싼 고구려와 백제의 공방전 144
제2장 6세기 중반 신라의 한강 유역 진출과 관산성 전투 156
1. 신라의 한강 유역 진출과정 156
1) 신라의 國原 장악 156
2) 나?제동맹군의 한강 유역 진출과 그 범위 166
3) 신라의 한강 유역 장악과 백제의 대응 177
2. 관산성 전투의 발발과 추이 185
1) 전투의 시기 185
2) 전투의 전개과정 196
제3부 6세기 중반~7세기대 고구려와 신라의 공방전과 영역 변천 209
제1장 진흥왕대 신라의 북방 진출과 고구려·신라 간 영역 217
1. 진흥왕의 북한산 巡狩 217
2. 진흥왕의 북진경로와 그 범위 230
3. 진흥왕의 州治所 후퇴와 고구려?신라 간 영역 변천 236
1) 주치소 후퇴의 배경 236
2) 주치소 후퇴에 따른 국경선의 변화 249
제2장 6세기 후반~7세기 전반 고구려의 남진과 신라의 반격 255
1. 고구려 남진의 시대적 배경 255
1) 대내적 배경 255
2) 대외적 배경 264
2. 고구려의 남한강 유역 진출과 阿旦城 전투 283
3. 신라의 반격과 북한강 유역에서의 공방전 298
제3장 7세기대 신라의 북진과 임진강 유역에서의 麗?羅 간 대치 313
1. 신라의 한탄강 유역 진출과 임진강 유역에서의 려·라 간 대치 313
2. 고구려의 재남진과 좌절 324
결 론 337
보 론 - 연구의 현 단계 355
제1장 「충주고구려비」 연구의 주요 쟁점 364
1. 비문의 판독과 해석 364
2. 내용 요소의 쟁점 367
1) 인명 367
2) 용어 374
3) 지명 377
3. 비문의 내용과 비의 건립연대 380
1) 5세기 후반설 381
2) 5세기 초반설 385
3) 5세기 중반설 388
4. 비의 건립목적과 성격 392
제2장 「충주고구려비」 연구의 최근 동향 396
1. 日干支 판독의 문제 396
2. 문자명왕대 건립설의 비판적 검토 399
1) 기존 연구의 검토 399
2) 최근의 신설과 그 문제점 403
3. 「충주고구려비」 연구의 방향 413
수록 논문 출처 420
참고문헌 422
찾아보기 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