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88949948850
· 쪽수 : 640쪽
· 출판일 : 2020-04-23
책 소개
목차
제1장 남명 조식의 학문과 남명집
南冥의 「民巖賦」에 대하여
Ⅰ. 머리말
Ⅱ. 「民巖賦」의 創作 動因
Ⅲ. 「民巖賦」의 分析
Ⅳ. 맺음말
16세기 儒學思想의 展開와 南冥의 學問
Ⅰ. 머리말
Ⅱ. 예비적 고찰
Ⅲ. 16세기 儒學思想의 展開
Ⅳ. 南冥의 現實志向的 學問
Ⅴ. 맺음말
南冥 敬義思想의 形成背景과 그 特色
Ⅰ. 南冥 敬義思想의 形成 背景
Ⅱ. 南冥 敬義思想의 特色
Ⅲ. 맺음말
南冥의 理氣心性論
Ⅰ. 머리말
Ⅱ. 南冥 理氣心性論 理解의 前提
Ⅲ. 學記類編을 통해 본 南冥의 理氣心性論
Ⅳ. 맺음말
南冥 曺植 遺蹟 小考(Ⅰ)
- 山海亭과 新山書院을 중심으로 -
Ⅰ. 머리말
Ⅱ. 山海亭의 創建과 重建
Ⅲ. 新山書院의 創建과 毁撤 및 復元
Ⅳ. 名堂齋義
Ⅴ. 맺음말
南冥集 初刊年代 辨正
Ⅰ. 머리말
Ⅱ. 논의의 경과와 논쟁의 개요
Ⅲ. 쟁점 내 논의
Ⅳ. 쟁점 외 논의
Ⅴ. 맺음말
南冥集 丙午(1606) 本의 발견과 그 의의
Ⅰ. 머리말
Ⅱ. 底本의 刊年 확정
Ⅲ. 병오본의 의의
Ⅳ. 맺음말
南冥 學問의 變轉時期와 「書圭菴所贈大學冊衣下」 小考
Ⅰ. 문제의 제기
Ⅱ. 조선시대 이래의 종래설
Ⅲ. 31세설 주장의 과정과 근거
Ⅳ. 31세설에 대한 반론의 반론
Ⅴ. 맺음말
南冥集 解題
Ⅰ. 서지 사항
Ⅱ. 간행 경위
Ⅲ. 저자 소개 : 曺植(1501~1572)
Ⅳ. 내용 개요
제2장 남명학파의 동향
南冥學派의 南冥思想 繼承樣相
Ⅰ. 머리말
Ⅱ. 明宗代에서 癸亥政變까지의 南冥思想 繼承樣相
Ⅲ. 癸亥政變 이후 英正祖까지의 南冥思想 繼承樣相
Ⅳ. 純祖 이후 韓末까지의 南冥思想 繼承樣相
Ⅴ. 맺음말
壬亂時 在朝 南冥 門人의 活動
- 藥圃東岡寒岡을 중심으로 -
Ⅰ. 머리말
Ⅱ. 在朝 南冥 門人 槪觀
Ⅲ. 扈從과 輔導
Ⅳ. 時務策과 戰亂收拾
Ⅴ. 맺음말
壬亂 倡義人脈 小考
- 茅谿日錄을 중심으로 -
Ⅰ. 머리말
Ⅱ. 倡義人脈과 茅谿日錄
Ⅲ. 倡義人脈 分析
Ⅳ. 맺음말
韓國儒學史上 南冥學派의 位相(1)
- 癸亥政變을 前後한 時期의 精神史的誤認을 中心으로 -
Ⅰ. 머리말
Ⅱ. 韓國儒學史에서의 北人에 대한 敍述 態度
Ⅲ. 癸亥政變의 合理化와 南冥學派의 意義 縮小化
Ⅳ. 맺음말
18世紀 江右地域 南冥學派의 分布와 動向
Ⅰ. 머리말
Ⅱ. 南冥學派의 沈滯 : 癸亥政變과 戊申亂
Ⅲ. 18世紀 江右地域 南冥學派의 分布와 動向
Ⅳ. 南冥學派의 復興 : 正祖의 賜祭文
Ⅴ. 맺음말
朝鮮末期 南冥學派의 南冥學 繼承 樣相
Ⅰ. 緖言
Ⅱ. 南冥學의 特徵
Ⅲ. 敬義 思想의 尊崇
Ⅳ. 嚴正한 出處觀과 現實批判 精神
Ⅴ. 詩荒戒와 性理說 批判
Ⅵ. 結語
河世應 宗家 所藏 辨誣의 內容과 그 意義
- 鄭仁弘의 李滉批判을 중심으로 -
Ⅰ. 머리말
Ⅱ. 辨誣의 내용
Ⅲ. 辨誣의 意義
Ⅳ. 맺음말
德川書院을 이끈 江右의 家門들
- 창건주체와 운영자를 중심으로 -
Ⅰ. 머리말
Ⅱ. 덕천서원의 창건 주체
Ⅲ. 덕천서원을 이끌어 간 가문들
Ⅳ. 德川院生錄과 院任錄의 관계
Ⅴ. 맺음말
泰安朴氏 門中과 南冥學 繼承樣相
Ⅰ. 머리말
Ⅱ. 南冥學派로서의 여건
Ⅲ. 南冥學 繼承樣相
Ⅳ. 맺음말
海州鄭氏 家門의 晉州 定着과 學問 性向
- 南冥學派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
Ⅰ. 머리말
Ⅱ. 海州鄭氏 家門의 晉州 定着 過程
Ⅲ. 학문 성향 - 남명학파적 성격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
Ⅳ. 맺음말
晉陽河氏 丹池家의 家系와 學問淵源
Ⅰ. 머리말
Ⅱ. 晉陽河氏 丹池家의 家系
Ⅲ. 晉陽河氏 丹池家의 學問淵源
Ⅳ. 맺음말
晉陽河氏 判尹公派의 家系와 學問 傳統
Ⅰ. 서론
Ⅱ. 판윤공파의 가계
Ⅲ. 주요 학자와 그 학문의 특징
Ⅳ.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