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명문가, 그 깊은 역사

명문가, 그 깊은 역사

(500년 조선사회를 이끈 정신)

권오영, 이영춘, 박병련, 김학수, 이상필, 임선빈, 정수환, 김봉곤, 강윤정, 이근호 (지은이)
글항아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27,000원 -10% 2,500원
0원
29,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명문가, 그 깊은 역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명문가, 그 깊은 역사 (500년 조선사회를 이끈 정신)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88967351052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4-04-10

책 소개

<조선을 이끈 명문가 지도>에 이은 '조선의 양반 문화' 시리즈 두 번째 권으로 한양 조씨 정암 가문, 창녕 성씨 청송 가문, 창녕 조씨 남명 가문, 영일 정씨 송강 가문, 풍산 류씨 겸암.서애 가문, 무안 박씨 무의공 가문 등 모두 열 가문을 다뤘다.

목차

1장 1장 조선 사회에 도학정치의 이상을 실천하다
한양 조씨 정암 가문 | 이근호

2장 은군자와 도학자를 배출한 조선의 명가
창녕 성씨 청송·우계 가문 | 권오영

3장 “경敬으로 안을 곧게 하고 의義로써 밖을 반듯이 하다”
창녕 조씨 남명 가문 | 이상필

4장 당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불세출의 문장과 언어를 이뤄내다
영일 정씨 송강 가문 | 김봉곤

5장 임란의 한가운데를 학문과 충忠으로 관통해낸 구국의 경세가
풍산 류씨 겸암·서애 가문 | 박병련

6장 엄격한 가정 경영과 과감한 실천으로 이름을 떨치다
무안 박씨 무의공 가문 | 정수환

7장 학통과 정파와 혼맥을 초월한 열린 가문
해주 오씨 추탄 가문 | 김학수

8장 ‘백의정승’을 배출한 소론의 명가
파평 윤씨 명재 가문 | 임선빈

9장 “사람, 글, 재산은 다른 사람에게 빌리지 않는다”
한양 조씨 주실 가문 | 강윤정

10장 실학정신으로 근대의 선구가 되다
여주 이씨 퇴로 가문 | 이영춘

참고문헌

저자소개

이영춘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1년 울산시 울주군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대학원 한국사학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사편찬위위원회에서 편사연구사, 편사연구관, 연구편찬실장을 역임하였다. 2019년 현재 한중역사문화연구소 소장으로 있다. 오래 동안 조선시대 정치사와 사상사를 연구해 왔으나, 현재는 한중 관계사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조선시대 왕위계승연구』를 비롯한 다수의 저서와 10여 종의 번역서가 있다. 이 외에도 「철종초 신해조천 예론」, 「인조반정 후에 파견된 책봉주청사의 기록과 외교 활동」 등 수십 편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권오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남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한국사학 전공) 교수로 있다. 저서로는 최한기의 학문과 사상연구, 조선 후기 유림의 사상과 활동, 조선 성리학의 의미와 양상, 근대이행기의 유림, 이재난고로 보는 조선지식인의 생활사(공저), 혜강 최한기 연구(공저) 등이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최한기의 사회경제적 처지와 현실인식」, 「조선조 사대부 제례의 원류와 실상」등이 있다.
펼치기
박병련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양관료제도사와 한국정치사상사를 전공하고,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명예교수 및 (사)남명학연구원 원장으로 있다.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조교수, 부교수, 교수를 지냈으며, 한국학대학원 원장, 한국학중앙연구원 부원장 등을 역임했다. 밀양 초동에서 태어나 화재(華齋) 이우섭(李雨燮) 선생 문하에서 유학(儒學)을 배워 후송(後松)이란 호(號)를 받고, 또 벽사(碧史) 이우성(李佑成) 선생을 따라 묻고 배우며 남야(南野)란 호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 한국행정학회 학술상(저술 부문)을 받은 『한국 정치·행정의 역사와 유교』(2018)를 비롯하여 『필화에 담긴 유교적 비판정신』(2017), 『남명학파와 영남우도의 사림』(공저, 2004), 『남명 조식: 칼을 찬 유학자』(공저, 2001), 『잠곡 김육 연구』(공저, 2007)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김학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북도 영천에서 태어나 인하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 한국사학전공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주로 조선시대 지식문화사에 대하여 공부하고 있다. 저서로는 『끝내 세상에 고개를 숙이지 않는다』, 『허주 이종악의 삶과 풍류』, 『구미 구암 김취문 종가』, 『김천 정양공 이숙기 종가』, 『조선을 이끈 명문가 지도』(공저), 『조선사회 이렇게 본다』(공저)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제주지역 유교 지식(知識)·문화(文化)의 수용 양상과 ‘제주학풍(濟州學風)’」, 「17세기 영남학파 연구」, 「조선중기 한강학파의 등장과 전개」,「존주론의 작동과 정치이념적 家의 출현」, 「鄭經世·李埈의 穌齋觀」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상필 (감수)    정보 더보기
· 약력 1995년 경북 성주 출생 1981년 영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1983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한문학 전공 문학석사 1988년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한문학전공 문학박사 1992~2020년 경상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2002~2017년 경상남도 문화재위원 2016~2019년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장 · 논문 1998년 박사학위논문 「남명학파의 형성과 전개」 1990년 「남명의 민암부에 대하여」등 남명 관련 논문43편 · 저술 2007년 『남명의 삶과 그 자취Ⅰ』 2019년 『야계 송희규 종가』 · 번역 1995년 『교감국역 남명집』(공역) 2011년 『덕천사우연원록』(공역) 2000년 『역주 京山志』 2014년 『역주 石淵文集』
펼치기
임선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역사지식정보센터 대표 공주사범대학 역사교육과 졸업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역사학과 졸업(문학박사) 공주대, 대전대, 목원대, 충남대, 한남대, 홍익대 등 강사 충남발전연구원 연구위원(역사문화부장)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연구위원(연구부장) 한국연구재단 인문학단 전문위원 역사지식정보센터 대표, 전 경기도문화재위원장, 조선시대사 전공. 논문 「조선초기 외관제도 연구」(한국학대학원 박사논문, 1998) 「내포지역의 지리적 특징과 역사문화적 성격」(2003) 「금강의 지명변천과 국가제의」(2009) 「좌명공신 류기의 ‘난언사’와 친족의 연좌죄」(2018) 외 40여편 저서(역서) 『조선은 지방을 어떻게 지배했는가』(공저, 아카넷, 2000) 『조선시대 사회의 모습』(공저, 집문당, 2003) 『근대이행기 지역엘리트 연구』(공저, 경인문화사, 2006) 『역사상의 강 물길과 경제문화』(공저, 주류성출판사, 2009) 『조선사회 이렇게 본다』(공저, 지식산업사, 2010) 『조선을 이끈 명문가 지도』(공저, 글항아리, 2011) 『호서지방의 고문서』(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2) 『심춘순례』(역주, 경인문화사, 2013) 『백두산근참기』(역주, 경인문화사, 2013) 『명문가, 그 깊은 역사』(공저, 글항아리, 2014) 『조선인물 이렇게 본다』(공저, 경인문화사, 2016) 『녹우당에서 고산을 그리다』(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8) 『돈암서원』(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8) 『도동서원·무성서원』(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9) 『노강서원·화양서원』(공저,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9) 등 다수
펼치기
강윤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안동대학교 사학과 학사ㆍ석사 단국대학교 사학과 박사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학예연구부장을 거쳐 현재 안동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근대시기 독립운동가, 특히 여성들의 서사에서 의미를 찾는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주요 연구로 『한국 근대의 여걸-남자현(2018, 지식산업사)』, 『만주 로 간 경북 여성들』(2018, 한국국학진흥원), 『경북 여성들의 항일투 쟁』(2023,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1920년대 안동지역 여성단 체와 활동」(2020, 대구사학) 등이 있다.
펼치기
이근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체육대학교 강사. 공저 『조선시대 경기북부지역 집성촌과 사족』 『정조의 비밀어찰, 정조가 그의 시대를 말하다』, 논문 「영조대 탕평파의 국정운영론 연구」 「17세기 경화사족의 인적관계망」 외 다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