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덕천서원

덕천서원

정우락, 김학수, 최석기, 이상필, 조재모, 원보영 (지은이)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200원 -5% 0원
800원
14,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덕천서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덕천서원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문화예술사
· ISBN : 9791158663711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8-09-10

책 소개

조선의 대표적 인문학 공간으로서 당시의 문화와 사상을 이끌었던 서원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통해 한국의 유교문화와 유학자의 다양한 측면을 밝힌 책. 건축물이나 관광지로서 서원을 다룬 기존의 관련 도서와 달리 한국의 인문정신문화 자산으로서 서원의 가치를 재조명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목차

총론 덕천서원,경의학을 밝히는 문화발전소
국사이비, 조식 시대와 우리 시대 ∥ 덕천서원 경의당에 높이 올라 ∥ 삼간론으로 본 덕산 문화

1 경의학으로 설계한 조선의 인문 공간, 덕천서원
조식의 집안 ∥ 달라진 사람_멘토 허형 ∥ 산천을 앞세우고 인간을 뒤따르게 한 삶의 동선들 ∥
남명학의 정수, 경의 ∥ ‘남명패밀리’의 경의학 계승 ∥ 인간 조식, 그 질실했던 삶의 단면들 ∥
경의학의 계승자들

2 덕산회고, 덕천서원의 공간과 순례자의 감회
천인합일의 공간, 덕산 ∥ 덕천서원의 공간과 의미 ∥ 경의당에서 느끼는 남명학의 지결 ∥
서원 순례자들의 감회 ∥ 오래된 미래의 덕천서원

3 덕천서원을 이끈 강우의 명가
덕천서원의 운영 주체에 대한 주목 ∥ 창건의 주역들 ∥ 덕천서원을 이끌어 간 가문들 ∥
덕천 원생록과 원임록의 관계 ∥ 미래를 위한 과거

4 덕천서원의 건축_두 개의 시간대에 걸친 역사의 흔적
두 개의 시간 ∥ 처음 서원을 세우다 ∥ 서원의 전형을 이루어 가는 과정 속에서 탄생한 덕천서원 ∥
병화와 재건 ∥ 다시 서원을 세우다 ∥ 경의의 공간, 덕천서원

5 경의학으로 설계한 덕산동부 _「신명사도」와 ‘덕산 문화’의 상관성
마침내 선택한 덕산동 ∥ 신명사도와 덕산동부 ∥ 덕산동부의 안과 밖 ∥
조식을 둘러싼 진실 혹은 거짓 ∥ 새로운 덕산 문화를 위하여

6 덕천서원 유생들의 심신 관리 지혜의 모태 _『학기유편』 그리고 조식과 그의 제자들
자기 한 몸으로부터 천지의 이치를 보다 ∥ 『학기유편」에서 수신의 근원을 찾다 ∥
조식의 수양법과 치병_이황과 비교 ∥ 정구의 의료 행적과 『봉산욕행록』 ∥ 곽재우의 수련 양생법 ∥
덕천서원 유생들, 심신 관리의 지혜를 얻다

저자소개

정우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주로 한국 문학 사상, 한국 문학사, 동아시아 문학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남명 문학의 철학적 접근》(박이정, 1998), 《남명 설화 뜻풀이》(남명학연구원출판부, 2001), 《남명 문학의 현장》(경인문화사, 2006), 《남명과 이야기》(경인문화사, 2007), 《남명과 퇴계 사이》(경인문화사, 2008), 《문화 공간, 팔공산과 대구》(글누림, 2009), 《남명학파의 문학적 상상력》(역락, 2009), 《조선의 서정시인 퇴계 이황》(글누림, 2009), 《영남의 큰집, 안동 퇴계 이황 종가》(예문서원, 2011), 《삼국유사, 원시와 문명 사이》(역락, 2012), 《영남을 넘어, 상주 우복 정경세 종가》(예문서원, 2013), 《한강 정구와 무흘구곡 이야기》(경인문화사, 2014), 《남명학의 생성 공간》(역락, 2014), 《모순의 힘, 한국 문학과 물에 관한 상상력》(경북대학교출판부, 2019), 《영남 한문학과 물의 문화학》(역락, 2022)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탈초 역주, 영총》(경상북도·영남문화연구원, 2007, 공역), 《역주 고대일록》(태학사, 2009, 공역), 《국역 흑산일록》(경북대학교출판부, 2019), 《후산졸언 시문선집》(지만지한국문학,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최석기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55년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에서 출생 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 졸업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한문학과 문학박사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수원 연수부 및 상임연구원 졸업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실 전문위원 경상대학교 인문대학 한문학과 명예교수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고전번역교육원 밀양분원 강사 전통문화연구회 동양고전번역편집위원회 위원 한국경학학회 회장 [논저論著 및 역서譯書] 논저論著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학문정신學問精神과 시경학詩經學≫, ≪한국경학가사전韓國經學家事典≫, ≪조선시대 대학도설大學圖說≫(공저) 등 역서譯書 ≪대학大學≫, ≪중용中庸≫, ≪왕부지王夫之의 대학 읽기≫, ≪성호星湖 시경질서詩經疾書≫, ≪남명집南冥集≫(공역), ≪왕부지王夫之의 중용 읽기≫(공역), ≪유교경전과 경학≫(공역) 등
펼치기
조재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조선시대 궁궐의 의례운영과 건축형식」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궁궐, 조선을 말하다』, 공저로 『경복궁 중건 천일의 기록』 『덕천서원』 『한극의 원형을 찾아서: 궁중의례』 『자율진화도시』 등이 있고, 논문으로 「근현대기 대구지역 한옥건축의 전개와 유형」 「좌식공간관습의 건축사적 함의?신발의 문제를 중심으로」 「조하 의례동선과 궁궐 정전의 건축형식」 「조선왕실의 정침개념과 변동」 등이 있다.
펼치기
김학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북도 영천에서 태어나 인하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학부 한국사학전공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주로 조선시대 지식문화사에 대하여 공부하고 있다. 저서로는 『끝내 세상에 고개를 숙이지 않는다』, 『허주 이종악의 삶과 풍류』, 『구미 구암 김취문 종가』, 『김천 정양공 이숙기 종가』, 『조선을 이끈 명문가 지도』(공저), 『조선사회 이렇게 본다』(공저)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제주지역 유교 지식(知識)·문화(文化)의 수용 양상과 ‘제주학풍(濟州學風)’」, 「17세기 영남학파 연구」, 「조선중기 한강학파의 등장과 전개」,「존주론의 작동과 정치이념적 家의 출현」, 「鄭經世·李埈의 穌齋觀」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상필 (감수)    정보 더보기
· 약력 1995년 경북 성주 출생 1981년 영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1983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한문학 전공 문학석사 1988년 고려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한문학전공 문학박사 1992~2020년 경상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2002~2017년 경상남도 문화재위원 2016~2019년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장 · 논문 1998년 박사학위논문 「남명학파의 형성과 전개」 1990년 「남명의 민암부에 대하여」등 남명 관련 논문43편 · 저술 2007년 『남명의 삶과 그 자취Ⅰ』 2019년 『야계 송희규 종가』 · 번역 1995년 『교감국역 남명집』(공역) 2011년 『덕천사우연원록』(공역) 2000년 『역주 京山志』 2014년 『역주 石淵文集』
펼치기
원보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에서 태어나 경희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프리랜서 연구원으로 활동 중이며, 민속학, 의료(醫療) 민속, 생활문화의 역사와 변동 요인에 대해 관심을 갖고 공부하고 있다. 저서로는 『민간의 질병인식과 치료행위에 관한 의료민속학적 연구』, 『한국역사민속학 강의』(공저), 『덕천서원』(공저)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무형유산보호대상으로서 민간의료분야의 현재와 향후 수집, 기록 연구의 방향」, 「조선후기 의료체계의 발전사」, 「『한약사 박래욱 일기』로 본 20세기 후반의 민간 의료생활」, 「『규합총서(閨閤叢書)』의 의료민속학적 연구」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