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부동산/경매
· ISBN : 9788950910952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3-04-0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부동산 폭락, 재앙일까 축복일까
1부 경험하지 못한 집값 폭락이 찾아온다
01 거래절벽과 예정된 공급 폭탄, 이유 있는 하락
:: 과도한 대출과 갭투자 광기의 종말
:: 서울 아파트 거래량의 하향세
:: 입주물량 폭증으로 폭락한 인천, 수원 등의 주택 가격
02 집값 붕괴인가, 집값 정상화인가
:: 주택구입부담지수로 보는 집값 추세
:: 주택 가격의 거품이 꺼진다
03 한국에도 일본형 장기침체가 올 수 있을까?
:: 무섭도록 비슷한 한국과 일본
:: 금리를 급하게 올릴 수밖에 없는 이유
:: 일본의 플라자합의와 금리(통화 정책) 변화
:: 일본의 잃어버린 30년과 한국의 차이점
:: 일본식 부동산 침체 가능성은?
:: 세계 경기침체 정도에 주목하자
:: 일본형 장기침체 우려에 대한 예측
04 과거 경제위기가 주는 교훈
:: IMF 외환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
:: 다가오는 또 한 번의 경기침체
:: 국내와 국외 리스크가 동시에 발생할 가능성
:: 장단기 금리 역전은 경제침체 신호
2부 향후 3년, 5년, 10년의 부동산 미래
01 큰 폭의 조정장이 온다
:: 큰 폭의 조정장이 진행될 것이다
::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기 위한 조건
:: 부동산 상승의 조작적 펀더멘털
:: 부동산 가격의 하락 요인
:: 서울의 매수 흐름
:: 무분별한 전세대출이 가계부채를 키우다
:: 역전세, 역월세
:: 금리 인상으로 버틸 수 없는 역전세난
:: 부동산 정책이 나아갈 방향
02 공급 요인이 시장의 방향을 정할 수 있는가
:: 향후 예정된 주택 입주물량 폭탄
:: 서울의 매물이 늘고 있다
:: 택지공급지정 물량 120만 호
:: 3년 후 집값은 어떻게 될까?
:: 5년, 10년 후의 부동산은 정상화될까?
03 계속 규제를 완화하면 집값이 안정화될까?
:: 부동산 가격이 오르려면 소득이 늘어야 한다
:: 향후 부동산 전망, 세 가지 시나리오
:: 예전과 같은 불장은 없을 것이다
3부 대한민국 중산층이 자산을 지키는 길
01 미국 물가와 금리를 고찰해야 하는 이유
:: 금리가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
:: 금리와 역전세
:: 잠시 반등할 수는 있으나 대세 하락은 막을 수 없다
:: 금리와 환율을 알면 경제가 보인다
:: 환율과 통화 가치
:: 미국 물가와 금리를 분석하는 법
:: PCE를 알면 금리 인상 여부 예측이 가능하다
02 무주택자, 1주택자, 다주택자의 생존법은 180도 다르다
:: 무주택자라면 청약에 참여하라
:: 1주택자, 다주택자는 상황을 냉정히 판단하자
03 정부의 연착륙 정책과 활성화 정책 톺아보기
:: 정책의 실현가능성을 살펴라
:: 대출 확대가 갭투자를 부추긴다
4부 급락을 기회로, 반드시 성공하는 부동산 투자 법칙
01 벌집순환모형에 주목하라
::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는 벌집순환모형
:: 물량과 가격의 관계를 파악하는 모형
02 지역별 전·월세 매매 타이밍과 리스크 관리
:: 최저점을 찾아라
:: 지역별 적정 매수 시기
:: 부동산 투자에도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
03 부동산 상승과 하락을 예측하는 법
:: 부동산 상승과 하락을 예측하는 간단한 방법
:: 경제지표에 주목하자
04 주택, 상가 경매, 재개발·재건축 상품별 필수 투자 전략
:: 상가에 투자하려면 이것만은 살펴라
:: 경매는 저렴하지만 공부가 필요하다
:: 재개발, 재건축은 용적률과 절차를 확인하라
주요 키워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 책에서는 누구나 쉽게 경제와 부동산을 분석하고 예측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경제 지식과 부동산 시장을 파악하는 방법을 담았다. 책에 제시한 표나 그림을 인쇄해서 잘 보이는 곳에 붙여놓으면 지금 경제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부동산시장이 어떤지,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 미래를 예측해서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부디 이 책이 여러분의 소중한 자산을 지키고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저금리에는 자산가치가 올라가게 되어 있다. 반대로 고금리일 때는 자산가치가 내려가게 된다. 그러면 결국 평균에 수렴할 것이다. 따라서 부동산 가격이 40% 하락할 수 있고 더 하락할 수도 있다. 어떨 때 더 하락할까? 국내 리스크뿐 아니라 해외에서 외부 리스크 발생 시 주택 가격이 더 하락할 수 있다.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분기별로 주택구입부담지수를 발표한다. 무주택자라면 이 수치가 어느 정도 내려올 때 시장에 접근하는 게 좋을 것이다.
현재 대한민국의 경제상황은 어떠한가? 기업부채뿐 아니라 가계부채도 심각하고 해외 상황도 안 좋다. 부동산 PF 부실 문제, 자영업자 문제 그리고 무역적자도 심화되고 있다. 12개월째 무역적자는 IMF 외환위기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이처럼 리스크가 많은 경제 상황과 폭등한 부동산 가격의 하락 조정 국면이 가세하면서 당분간 침체기가 올 것이다. 상식적으로 앞으로 시장이 단기간에 회복할 거라고 판단하는 것은 성급한 예측이라고 볼 수 있다. 주택 가격은 앞으로 더 하락할 수도 있고 횡보하는 시간이 더 길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게 합리적인 판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