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50931971
· 쪽수 : 406쪽
· 출판일 : 2011-07-22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기업가정신의 이해
1. 기업가정신이란? | 2. 기업가정신의 ABC… | 3. 기업가적 행동 특성의 이론적 이해
2장 한국의 기업가정신
1. 기업가정신의 원천 | 2. 기업가정신의 시대적 변화 | 3. 벤처기업가정신의 명암 | 4. 기업가정신의 재활성화
3장 사내기업가정신
1. 사내기업가란? | 2. 사내벤처의 특성 | 3. 사내벤처의 프로세스 | 4. 사내벤처의 문제점 | 5. 사내벤처의 성공 조건
4장 사업 실패의 함정
1. 왜 똑똑한 사람들이 사업을 망치는가? | 2. 선택의 함정: 아이디어가 기회는 아니다 | 3. 개발의 함정: 자금의 연소율을 계산하라 | 4. 시장의 함정: 영양제보다는 진통제를 팔아라 | 5. 관리의 함정: 경영 인프라를 구축하라 | 6. 태도의 함정: 균형감각을 유지하라 | 7. 관계의 함정: 신뢰자본을 활용하라 | 8. 불운의 함정: 위기관리 역량을 키워라
5장 사업 기회의 발견
1. 기회의 창 | 2. 기회의 원천 | 3. 기회와의 만남 | 4. 의도적 탐색과 우연성의 만남
6장 사업타당성 분석
1. 사업타당성 분석의 의미와 중요성 | 2. 사업타당성 분석의 절차와 방법 | 3. 위험 요소의 평가와 대응전략
7장 창업자금의 조달과 재무전략
1. 소요자금 계획의 수립 | 2. 자금조달 조건의 이해 | 3. 투자유치 | 4. 자금운용과 재무전략
8장 창업 마케팅
1. 창업 마케팅의 의의 | 2. 마케팅전략 | 3. 혁신제품 마케팅 | 4. 신제품 마케팅전략
9장 기업 성장과 조직관리
1. 창업기업의 성장관리 | 2. 성장통 | 3. 창업 CEO 딜레마 | 4. 지속성장 방안
10장 글로벌 기업가정신
1. 세계시장을 리드하는 한국의 중소기업 | 2. 중소기업의 국제화 | 3. 벤처기업의 국제화 동인 | 4.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화 성공 요인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기업가정신은 개인 차원과 사회 차원으로 구분되어진다. 한 개인이 사업을 시작하는 과정과 행동을 의미할 때, 이는 미시적 차원의 기업가정신이라고 한다. 한 개인으로서 사업 기회를 포착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을 동원하고 조직을 만들고 사람을 고용해 영업활동을 한다. 또한 이러한 활동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지식과 정보들을 모으고 확산시킨다.
기업가정신은 개인 차원만이 아닌 집단 차원의 현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특정 국가나 지역사회에서 새로운 사업을 일으키기 위해 투자하고 조직을 만드는 현상이 일어날 때, 이를 거시적 차원의 기업가정신이라고 한다. 여기에는 국가 차원의 기업가정신, 또는 지역 차원의 기업가정신이 포함된다.
야간 상고를 졸업하고 오랫동안 은행원 생활을 하다가 현재는 성공적인 벤처기업의 창업자인 박대연 사장은 몇 가지 자신만의 고난 극복법을 제시했다. 첫째, 어려움을 어려움으로 생각지 말라. 그 고비가 없으면 절대로 성장할 수 없다. 더 강해질 수 있는 기회로 간주하라. 둘째, 원하는 일에 혼을 바쳐라. 죽기 살기로 매달리면 반드시 이루어진다. 비록 당장은 아니더라도 다른 곳에서 보상이 굴러 들어온다. 셋째, 세상을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은 피하는 게 상수다. 비관적인 생각은 쉽게 전염되기 때문이다. 넷째, 머리도 노력하면 좋아진다. 창의력과 아이디어도 노력이 만든다. 다섯째, 반성하는 시간을 갖는다. 무엇이 잘못됐는지 해답이 나올 것이다. 그 다음은 본인에게 달렸다.
투자가가 보는 창업가 평가의 기준에 비추어서도 자신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미국의 벤처캐피털리스트 102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맥밀란(MacMillan)의 연구보고서에 의하면 투자 의사결정을 하는 가장 중요한 10가지 기준 가운데 창업자에 대한 평가 항목이 6가지를 차지하고 있다. 1. 지속적이고 집중적인 노력을 계속 기울일 수 있는가 2. 목표로 하는 시장을 잘 알고 있는가 3. 과거에 리더십 역량을 보여준 적이 있는가 4. 위험을 잘 평가해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가 5. 과거 사업실적을 보여준 적이 있는가 6. 자기가 하고자 하는 사업을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가 등이다. 만약 창업자가 이 가운데 부족한 점이 있을 경우 이를 보완해줄 수 있는 창업팀이 구성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