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50969158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17-03-06
책 소개
목차
발간사
서문
PART 1. 추격자에서 선도자로 _퍼스트 무버의 조건
01 선발이란 무엇인가
선발, 과거와 다르게 생각하고 다르게 행동하기
베스트Best와 퍼스트First
선도자 사용법
크로노스 속도 경쟁에서 카이로스 세계관으로
21세기에 성공하는 경제 주체
02 선도자의 행동: 창발 혁신
새로운 환경에서는 새로운 성공 방식이 필요하다
충전이 성공을 부른다
일정한 반복이 세상을 바꾼다
기회 포착의 비밀은 안목과 절실함에 있다
전광석화 실행은 창발 혁신의 필수 조건이다
선도자가 되려면 ‘천재’가 되어야 한다?
03 선도자의 전략
선도자가 걸어야 하는 길
선발이라는 전략적 의도에 대하여
선도자의 ‘재미없는’ 전략
퍼스트 펭귄은 그 후 어떻게 되었을까
PART 2. 퍼스트 무버, 그들은 누구인가 _선도 경영 성공 사례
04 선도자들의 특징
05 독일 바스프
150년 기회 추구 전략
사례 분석
06 덴마크 레고
세대를 잇는 실험과 혁신
사례 분석
07 소프트뱅크
디테일 있는 비전 경영
사례 분석
08 일본 도레이
선도자로의 환골탈태
사례 분석
09 미국 실리콘밸리
국가 경쟁력을 업그레드한 선도자들의 본산지
사례 분석
10 네이버
한국의 대표 선도자, 네이버
사례 분석
11 에스엠엔터테인먼트
K팝 시장의 창출
사례 분석
12 바이로메드
본 퍼스트 무버, 바이로메드
사례 분석
13 아이디스
IT 제조 분야의 선도자
사례 분석
14 실패로부터 배운다
싸이월드 사례
다이얼패드 사례
실패는 단지 ‘실패’로 끝나지 않는다
실패로부터 배우는 7가지 교훈
PART 3.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_4차 산업혁명 시대의 경영 방식
15 4차 산업혁명은 기업 경영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선도자를 위한 혁신 생태계가 필수적이다
상생 협력 3.0
조직 문화를 바꾸어야 한다
창의적 시간 관리가 중요하다
집단 창의성을 높이는 방법
16 한국형 경영은 어디로 가고 있는가
한국형 경영은 존재하는가
속도 경쟁을 넘어 창발 혁신으로
글로벌화 혁명으로 새로운 10년을 열어야
선도자가 되려는 한국 기업, 공간 선취에 답이 있다
17 사즉생死則生 경영
사즉생 경영이 필요한 이유
우등생 함정을 극복해야 한다
우리 대기업이 위험한 진짜 이유
중소 기업 뉴노멀 경영
PART 4. 세상에 없는 가치를 만들어라 _한국 경제의 미래 비전
18 ‘될 때까지’ 하는 대한민국
우리에게는 위기 극복을 위한 3개의 전함이 있다
행복한 혁신을 위하여
한국인의 고정 관념이 경제에 끼치는 영향
소프트 파워와 문화가 중요하다
19 중국의 대약진과 한국 경제의 골든 타임
G2로 부상한 중국 경제
병자호란에서 배운다
한국은 중국에게 무엇인가
한류와 중국 시장
20 개혁해야 할 ‘대한민국 혁신’
국가 R&D 정책의 아이러니
‘창조 경제’ 유감
3기 벤처 정책의 방향
4차 산업혁명에서 살아남으려면 대학 교육이 바뀌어야
21 한국 경제의 미래
혁신은 위기의 종점에서 시작해야
뉴노멀 한국 경제, 일본에서 배운다
지역 혁신과 문화 창조
인문학의 역할과 중요성
4차 산업혁명은 성공 경제에 의해 완성된다
주석·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로봇, 가상현실 등으로 대변되는 4차 산업혁명은 단지 미래 기술 발전과 물리적 투자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산업 구조, 기업 경영, 삶의 방식 그리고 개인 생각 등을 총체적으로 바꾸기 때문에 충격적이다. 선도자와 선발주의는 바로 이러한 4차 산업혁명의 충격을 기회로 반전시키는 열쇠가 될 것이다. 왜냐하면 미래 추세는 선도자에게 ‘더 많은 기회, 더 낮은 장벽, 더 큰 보상’이 주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10쪽)
삼성은 베스트, 즉 빠른 후발 추격자 전략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하지만 스마트폰 사업에서 보듯이 현재 중국과 애플 사이에서 샌드위치 신세가 되었다. 더욱이 미래 성장을 담보할 수 있는 사업 군이 현재로서는 잘 보이지 않으며 기존 경영 방식도 창조적 혁신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특히 수직적이고 위계적인 의사결정 구조와 다양성을 수용하지 못하는 획일적인 조직 문화는 조직 구성원들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내는 것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31쪽)
실리콘밸리는 선도자들이 만들어낸 국가적 자산이다. 미국은 이러한 자산을 기초로 인터넷과 모바일에 이어 바이오, AI, 우주 산업 등에서 미래 기술을 주도하고 있다. 원래 선도자들은 황무지나 다름없는 지역에서 열악한 여건을 극복하면서 세계적인 기업으로 명성을 떨치는 경우가 많다. 덕분에 그 지역이 명소가 되기도 한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그 성공이 주변으로 확장되어 국가 경쟁력을 업그레이드시키는 창조적 자산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11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