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50994457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21-03-02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들어가는 글_세계 대중문화 시장에 우뚝 올라선 K팝·K컬처의 저력
Part 1 K팝, 세계로 나아가다
01 한국의 비틀스, 세계를 정복하다
대중문화의 힘은
02 K팝을 분석한다
K팝이란 | K팝의 특징 | K팝, 세계 팝 시장 도전의 역사
03 세계 팝 시장의 한 장르로 우뚝 올라선 K팝
세계 유튜브 대중음악 시장 장악, 3대 K팝 그룹 | 미국 서점·음반 가게에서 부는 K팝 열풍 | BTS 효과, 빅히트의 기업 가치는
Part 2 K팝의 성공방정식 10가지 해법
01 ‘과감하게 섞는다’, K팝이 아니라 팝이 되어라
K팝, 외국 작곡가·해외 기획사와 협력 강화 필요 | J팝의 흥망성쇠, K팝의 미래가 보인다 | 라틴 팝의 미국 시장 진출 전략은
02 팝의 본고장에서 활동하라
미국 팬들과 함께 새해를 맞는 BTS | 외국에서 인기 얻고 국내로 역수출 노린다 | 센트럴파크에 울려 퍼진 한국 음악
03 유니크하라
꼰대들은 절대 이해 못 해, 빌리 아일리시의 매력은 | 유니크한 BTS만의 독창성과 스토리가 성공 비결
04 라이브 공연 실력은 해외 시장 진출의 보증 수표
BTS, 북미투어로 ‘팝의 심장부’ 강타 | KCON 2019 New York
05 팬덤으로 승부한다
한국 대중문화 발전의 한 축, 오빠부대 | K팝 팬덤 문화의 진화 | 센트럴파크에 등장한 ‘BTS 빌리지’ | K팝 팬, 미국 대선 가도에도 영향 | 1등 압박에서 벗어나자
06 영어 K팝을 만들어라
K팝 번역·통역의 현주소 | K팝 팬들, 자발적 ‘번역 군단’으로 불꽃 활약
07 K팝 마케팅 전략 다변화 필요
팬들이 있는 곳에 먼저 작품을 공개한다 | 앨범 번들 논란, K팝 마케팅 전략의 고민
08 다양한 스토리 콘텐츠를 만들어라
타임스퀘어에 길게 늘어선 줄은 | 감동의 BTS 유엔 연설 ‘Speak Yourself’
09 온라인 플랫폼 전략을 강화하라
디지털 기반 플랫폼 증가, 전 세계 음악 시장은 하나 | 5G 네트워크 상용화로 ‘실감형 음악’ 시대 개막
10 국격 신장의 첨병, K팝을 지원하라
콘텐츠 창조자의 성장 막는 저작권 침해 문제 해결 시급 | 아이돌 가수의 병역 문제
Part 3 K팝이 나아갈 방향
01 한 번쯤 점검해야 할 포인트
JYP의 야심 찬 미국 시장 진출의 실패 이유 | 싸이 vs. BTS | 센언니들, K팝 걸그룹 폭발적 인기 | K팝 vs. 미국 팝 가수 양성 시스템의 차이 | 한국의 아이돌 육성 방법 개선되어야 | 국제화 리스크가 커진 K팝
02 K팝의 진화, 다양한 방식이 필요하다
외국인 K팝 그룹의 성공 | 외국인들의 K팝 콘서트 | 국악 K팝, 트로트 K팝의 성공 가능성은
03 K팝을 넘어 K컬처로
K팝을 통해 한국 역사를 배운다 | 해외 기관 한국어 강좌 인기 | 번역·통역의 힘 | 세계 패션계 ‘힙’한 아이템 한복 | K푸드 인기, 미국 속 한류 | K뷰티와 K게임 인기, K팝의 무한 확장성
나가는 글_K팝 세계 진출 성공 전략은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K팝도 종합 예술이다. 가수의 음악 하나로 유통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문화 상품이다. 수준 높은 가사와 편곡, 화려한 퍼포먼스란 문화예술 분야와 정보통신기술을 적극적으로 결합시켜 단순히 듣는 음악을 뛰어넘어 ‘보는 음악의 시대’에 부응했다. 특히 기술 영역의 무한 확장성이 빼어난 가창력과 뛰어난 안무 실력을 겸비한 아이돌의 매력과 결합해 K팝은 세계 대중문화 시장에서 막강한 브랜드 이미지를 갖게 됐다. 소셜 미디어를 통해 긴밀하게 팬들과 유대 관계를 맺으면서 국경을 초월한 팬덤도 만들어졌다.
K팝 가수들이 미국 대중음악 시장에서 성공하려면 자신들만이 선보일 수 있는 개성, 즉 ‘유니크’한 요소를 강화해야 한다. 미국 빌보드 차트에서 높은 인기를 얻는 곡들을 살펴보면 다양한 장르의 음악들이 포진하고 있다. 가창력이 돋보이는 멋진 음악도 있지만, 듣다 보면 귀가 쫑긋하게 서는 특이한 음악이 높은 인기를 얻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냉정하게 말해 미국 등 해외 시장에서 대부분 K팝 아이돌 그룹의 인기는 퍼포먼스와 짜임새 있는 음악 선율 때문에 세계 팝 시장 진입에 성공했다. 댄스 퍼포먼스가 많은 K팝은 그렇다 치더라도, 발라드같이 감정선을 길게 끌어가는 노래는 진출하려는 해당 국가의 언어로 불러야 감동을 높일 수 있다. 현지 음악 소비자가 그들의 언어로 된 노래를 자연스럽게 듣게 만들어야 K팝의 확장력을 키울 수 있다. K팝이란 상품을 팔아야 할 곳은 75%가 외국 음악 시장이란 점도 영어 K팝, 현지 외국어 K팝이 나와야 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