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51117763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14-09-30
책 소개
목차
서문 / 5
제1부 한국 개신교의 신학적-교회적 현실
1장 한국의 개신교회의 신학적 실존
1. 역사적 회상 / 19
2. 새로운 신학운동들의 도전 / 21
3. 1960?1970년대의 정치 신학적 문제들 / 23
4. 민중신학과 민중교회의 출현과 그 현주소 / 24
5. 교회성장론과 한국 교회 / 25
6. 한국 개신교의 신학적 실존 / 27
7. 맺는말 / 32
2장 한국 개신교회의 현실과 미래
1. 들어가는 말 / 33
2. 한국 개신교의 현주소 / 34
3. 개신교의 성장론과 그 한계 / 39
4. 한국 교회의 신뢰성 상실 원인 / 42
5. 맺는말 / 45
3장 한국 개신교회의 신뢰성 위기
1. 개신교의 현주소 / 47
2. 한국 개신교에 대한 역사적 회고 / 51
3. 한국 개신교의 정치적(역동적) 사역의 위기 시작 / 55
4. 한국 개신교 신학의 변질과 교회의 변용 / 59
5. 한국 개신교의 신뢰성 회복의 과제들 / 75
6. 한국 개신교의 위기와 미래과제 / 83
7. 맺는말 / 88
4장 한국 장로교회의 신학적 과제
1. 역사적 고찰 / 90
2. 장로교 신학사상의 역사적 공과(1) / 91
3. 장로교회 신학과 정신의 역사적 공과(2) / 93
4. 20세기 장로교 신학의 바른 과제를 제시한 칼 바르트의 신학 / 95
5. 한국 장로교회의 현실 / 99
6. 맺는말: 한국 장로교회의 신학적 과제 / 102
5장 한국 교회를 지배하고 있는 군사문화
1. 들어가는 말 / 105
2. 한국 교회의 군사문화의 양태들 / 106
1) 제도에서 / 106
2) 프로그램에서 / 109
3) 언어에서 / 110
3. 맺는말 / 112
6장 종교적 열광주의의 실체와 그 극복방안
1. 서론적 고찰 / 113
2. 종교개혁 당시 그리스도교 열광주의자들 / 115
3. 종교적 열광주의의 특성들 / 118
4. 한국 교회가 극복해야 할 종교적 열광주의 / 120
제2부 한국 개신교의 사회변혁운동
1장 초기 한국 개신교 민족운동의 이념적 지향성
1. 들어가는 말: 개신교 민족운동사 연구개괄 / 127
2. 일제하 다양한 종교집단들의 민족의식의 이념적 목표들 / 133
1) 유교정통주의의 민족의식(性理學派) / 134
2) 유교의 개혁파의 민족의식(實學派) / 136
3) 동학의 민족의식(농민들의 民族意識) / 138
4) 개신교의 민족운동(근대적 의미에서의 民族意識) / 141
3. 맺는말 / 144
2장 한국 개신교의 사회선교에 관한 연구
1. 개념 규정 / 149
2. 사회선교론의 전(前) 역사 / 152
3. 한국 교회의 사회선교론의 역사 / 155
4. 1960년대 이래 한국 교회의 사회선교운동 / 157
1) 사회선교운동을 추동한 조건들 / 157
2) 현대 사회선교운동의 신학적 배경 / 160
3) 산업전도와 산업선교 / 163
4) 사회선교운동의 기구적 발전 / 166
5) 사회선교의 프로그램 개괄 / 166
5. 맺는말: 현실과 전망 / 169
3장 한국 교회의 신보수주의의 사회적 효과들
1. 들어가는 말 / 178
2. 한국 교회의 보수주의의 역사 / 182
3. 한국 사회의 신보수주의의 등장과 그 세력들 / 187
4. 신보수주의의 종교적, 사회적 효과들 / 193
5. 맺는말 / 19
4장 한국 교회: 국가와 시민운동 사이에서 교회의 새로운 위치 모색
1. 역사적 성찰 / 199
2. 1987년 6월 8일 항쟁 이후의 국가와 교회관계 / 202
3. 국가와 교회 관계의 패러다임 / 205
4. 시민사회와 교회의 관계전망 / 207
5장 한국 민중신학의 교회론
1. 문제제기 / 210
2. 민중신학의 교회이해 / 214
3. 민중교회론의 새 지평들 / 222
6장 오늘날 한국에서 신학함이란 무엇인가
1. 교회사적 회상 / 226
2. 새로운 세계질서의 출현과 새로운 신학운동 / 229
3. 성서와 복음으로의 복귀 / 231
1) 정의의 실현으로서 신학하기 / 233
2) 평화실현으로서 신학하기 / 234
3) 교회갱신으로서 신학하기 / 235
제3부 한국 개신교와 세계교회 사이에서
1장 그리스도교 역사에 나타난 종교의 권력화 모델들
1. 들어가는 말 / 239
2. 국가와 종교의 종합(콘스탄티누스) / 240
3. 국가의 영토 확장정책과 선교정책의 종합(칼 대제) / 243
4. 교회와 십자군 전쟁(교황 그레고리 7세) / 246
5. 식민지 정복과 선교(콜럼버스) / 248
6. 반식민지와 선교(라스카사스와 지겐발크) / 251
7. 자본주의 이데올로기와 선교의 종합(미국 네오콘) / 255
8. 맺는말 / 258
2장 한국 교회의 본회퍼의 수용과 윤리적 판단
1. 역사적 배경들 / 260
2. 윤리적 판단의 기초로서의 그리스도 고백 / 265
3장 에큐메니칼 운동에서 정의의 문제
1. 서론적 고찰 / 271
2. 에큐메니칼 운동에서 전 단계에서 정의에 대한 논의 / 274
3. 에큐메니칼 운동 본 단계에서 정의에 대한 논의들 / 278
1) 책임사회론 / 278
2) 사회참여의 신학 / 279
3) 사회참여신학의 방법론 / 280
4. 에 큐메니칼 사회윤리에서 정의를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 프로그램들
/ 281
1) 반인종주의 프로그램 / 281
2) 경제적 착취반대 프로그램으로서 개발프로그램(CCPD) / 283
3) 정 의롭고, 참여적이고, 지속가능한 사회(JPSS) / 284
4) 정 의, 평화, 창조질서의 보존(JPIC) / 287
5) 교 회의 여성들과의 연대 10년 프로그램 / 289
5. 맺는말 / 290
4장 탈 근대주의와 탈 식민주의 시대의 한국신학
1. 들어가는 말: 문제로서의 근대성 / 292
2. 신학적, 철학적 문제로서의 근대성 / 296
3. 포스트모더니즘 출현의 역사적 배경 / 299
4.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콜로니알리즘 / 304
5. 포스트모더니즘의 양면성 / 311
6. 맺 는말: 신학적 문제로서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콜로니알리즘 /
315
5장 바르멘 신학선언 60주년을 맞이하여
1. 독일 개신교의 고백총회가 열리기까지 / 329
2. 바르멘 신학선언의 성립 과정 / 331
3. 독일 개신교의 현 상황에 대한 신학적 선언(전문) / 333
4. 바르멘 신학선언이 주는 교훈들 / 336
6장 마르틴 루터의 그리스도인의 자유와 신자유주의 세계체제
1. 들어가는 말: 근대적 자유개념의 발전 / 340
2. 마르틴 루터의 그리스도인의 자유개념의 왜곡 / 343
3. 그리스도인의 자유의 정치신학적 재해석 / 347
4. 맺는말: 신자유주의 세계체제에서 그리스도인의 자유 / 349
제4부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한 개신교 운동들
1장 동북아시아의 새로운 정세변화와 한반도의 평화
1. 들어가는 말 / 355
2. 동북아시아에서 한반도의 조건들 / 357
1) 한반도 평화의 내적 조건들 / 359
2) 한반도 평화의 외적 조건들: 동북아시아 국가들과의 협력 / 360
3. 동북아시아 평화공동체의 꿈: 동북아시아의 집 / 362
4. 한반도의 평화건설을 위한 그리스도인들의 사명 / 365
5. 맺는말 / 369
2장 민족의 화해와 대단결을 위한 교회의 과제
1. 들어가는 말: 당위성 / 371
2. 민족의 화해와 단결을 위한 실천방안들 / 374
3. 그리스도인들의 과제 / 378
3장 한반도 평화신학 정립을 위한 시안
1. 들어가는 말 / 387
2. 한반도의 상황분석 / 388
3. 해방신학, 민중신학, 평화신학 / 394
4. 한반도에서 평화신학 정립을 위한 논거들 / 398
4장 북한의 핵무장과 그리스도 교회
1. 들어가는 말 / 404
2. 남한 핵과 북한 핵 / 406
3. 핵무기에 대한 그리스도인들의 태도 / 412
4. 맺는말 / 419
5장 통일 후 남북한 교회의 형성에 대한 시안
1. 들어가는 말 / 421
2. 역사적 회고: 남북한 교회관계의 교회법적 문제들 / 425
1) 북한 교회의 역사적 도정 / 428
2) 남한 교회의 대북관계의 방향들 / 435
3. 통일 이후의 북한 교회의 모델에 대한 시안들 / 443
1) 일본 교단의 모델 / 444
2) 독일 교회의 모델 / 445
4. 맺는말 / 447
6장 한반도에서 그리스도교적 평화정책의 실현가능성
1. 오늘날 한반도의 현실 / 449
2. 국가안보정책에서 민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