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51119644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9-02-20
책 소개
목차
약어표 11
서문 13
제1장 루터와 양심— 참 하나님과 우상을 구분하자
I. 들어가는 말 27
II. 배경 29
1. 루터의 경험 29
2. 스콜라신학의 양심 개념 36
III. 양심의 판단 대상: 존재와 행위 39
1. 양심의 정의와 판단 대상 39
2. 신학적 인간론 42
IV. 양심의 판단 근거: 하나님의 말씀인 법과 복음 43
1.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법 43
2.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복음 47
V. 양심의 자유와 자발적 구속: 믿음과 사랑 53
1. 믿음으로 자유롭게 된 양심 53
2. 양심의 자발적 구속: 사랑의 섬김 56
VI. 나가는 말 65
제2장 루터와 두 왕국론— 교회와 국가의 통치자는 하나님이다
I. 들어가는 말 72
II. 역사 안에서의 하나님과 사탄 간의 전쟁 79
1. 하나님의 왕국과 세상왕국 79
2. 하나님의 왕국 대 사탄의 왕국 85
3. 두 형태의 두 왕국 구분 88
4. 하나님의 왕국과 세상왕국 간의 내적 연계성 91
5. 하나님의 왕국과 세상왕국 간의 구별 93
III. 개별적 인간 안에서의 하나님과 사탄 간의 전쟁 100
1. 자유의지를 둘러싼 하나님과 사탄의 대립 100
2. “영”에 속한 자와 “육”에 속한 자 101
3. 믿음과 사랑 102
4. 자유의 두 양상 103
5. 소명의 두 양상 104
IV. 나가는 말 110
제3장 루터와 교황수위권— 교회의 머리는 예수 그리스도다
I. 들어가는 말 113
II. 그레고리우스 7세 116
1. 하인리히 4세의 첫 번째 파문 전까지(1073–1076) 117
2. 하인리히 4세의 첫 번째 파문부터
두 번째 파문 전까지(1076–1080) 119
3. 하인리히 4세의 두 번째 파문과 그 이후(1080–1085) 120
III. 루터 123
1. 『로마 교황청에 관하여』(1520) 126
2. 『공의회와 교회에 관하여』(1539) 131
3. 『로마 교황청에 반대하여』(1545) 132
IV. 나가는 말 136
제4장 루터와 프리드리히— 교회와 사회를 개혁하자
I. 들어가는 말 141
II. 프리드리히에게 루터의 의미 147
1. 교육·문화적 측면: 비텐베르크 대학교 149
2. 경제·재정적 측면: 투르크 세금과 면벌부 156
3. 정치적 측면: 독일 민족주의 162
III. 나가는 말 171
제5장 루터와 인문주의— 성경으로 돌아가자
I. 들어가는 말 175
II. 연구의 장애물 177
III. 루터와 인문주의 간의 연계성 181
1. 배경 181
2. 성경중심 187
3. 언어 188
4. 역사 190
5. 교육과정 개편 193
6. 도서관 196
IV. 나가는 말 197
제6장 루터와 교육개혁— 성경 중심으로 교육을 개혁하자
I. 들어가는 말 200
II. 1502–1512년: 비텐베르크 대학교 학풍 203
1. 스콜라주의/신학과 르네상스 인문주의 203
2. 비텐베르크 대학교와 인문주의 205
III. 루터의 신학적 돌파 208
IV. 1512–1527년: 루터의 비텐베르크 대학교
교육개혁과 전반적 개혁운동 217
1. 루터와 비텐베르크 대학교의 교육개혁 217
2. 『독일 그리스도인 귀족에게 고함』(1520) 222
3. 『그리스도교 학교를 설립하고 보전해야 할
필요성에 관하여』(1524) 226
V. 1527년 이후: 시찰과 대응 231
VI. 나가는 말 238
제7장 루터와 여성— 여성관과 여성의 위상을 바꾸자
I. 들어가는 말 245
II. 영육 이원론과 남녀 이원론에 근거한 여성혐오증 251
1. 여성혐오증의 표현 251
2. 영육 이원론과 남녀 이원론의 결부 255
III. 여성을 보는 루터의 눈: 믿음과 사랑 257
1. “영”과 “육”을 가르는 믿음과 사랑의 논법 257
2. “육”을 죽이고 “영”을 추구하는 삶:
수녀 vs. 아내와 엄마 261
3. 유혹자 vs. 사랑할 자: sex 265
4. 아내: 사랑으로 섬겨야 할 가장 가까운 이웃 266
5. 엄마: 사도, 감독, 제사장으로서의 소명 감당자 269
IV. 나가는 말 273
제8장 루터와 묵시적 종말사상— 예언자적 사명의식을 갖자
I. 들어가는 말 278
II. 대중의 묵시적 종말사상과 루터 이해 281
1. 대중의 묵시적 종말사상 281
2. 루터에 대한 이해와 기대 286
III. 루터의 묵시적 종말사상 290
1. 역사관 290
2. 적그리스도 292
3. 오스만 제국 296
IV. 루터의 자아상과 시대적 사명의식: 예언자 301
V. 나가는 말 308
제9장 루터와 죽음— 죽음을 알고 준비하자
I. 들어가는 말 310
II. 신학적 죽음과 부활의 개념 315
1. 죽음의 기원과 정의 315
2. 그리스도인의 죽음과 부활: 두 차원 317
III. 사후세계 326
1. 지옥, 림보, 연옥, 천국 326
2. 연옥 문제 329
IV. 죽음의 기술(ars moriendi) 332
V. 나가는 말 343
제10장 루터와 부활— 생명의 문화를 만들자
I. 들어가는 말 348
II. 그리스도의 부활 351
1. 그리스도의 부활:
타락과 죄와 죽음 vs. 부활과 의와 생명 353
2. 그리스도의 부활과 그리스도인의 부활의 연계성 359
3. 약속과 믿음 362
III. 그리스도인의 부활: 두 차원 364
1. 영적 부활 365
2. 자연적 죽음 이후의 부활: 몸과 영혼 367
3. 그리스도인의 부활과 현재의 삶: 생명의 문화 373
IV. 나가는 말 375
참고문헌 380
찾아보기 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