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51120794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1-12-30
책 소개
목차
▪ 머리말
▪ 집필자 소개
제1장 성서의 인간론으로서의 전인적 인간론 | 정홍열
1. 구약의 인간론
2. 구약의 인간상
3. 신약의 인간상
4. 전인론의 종말론으로의 적용
5. 결론
제2장 아우구스티누스의 인간 이해 | 박형국
1. 들어가는 말
2. 하나님으로부터 기원하는 창조의 인간
3. 하나님을 떠나 타락한 인간
4. 하나님을 향해 돌아오는 인간
5. 나가는 말
제3장 토마스 아퀴나스의 인간 이해 | 황돈형
1. 들어가는 말
2. 구원론의 틀 안에서 파악된 토마스의 인간 이해
3. 철학적 차원에서의 인간 이해
4. 나가는 말
제4장 마르틴 루터의 인간론 | 최주훈
1. 들어가며
2. 『인간에 관하여』
3. 이성의 동물
4. 신학적 인간학
5. 의인인 동시에 죄인
6. 종교적 존재
7. 그리스도인의 자유
8. 요약과 맺음
제5장 칼뱅의 인간론 | 김선권
1. 들어가는 말
2. 무흠의 상태에서의 인간
3. 부패의 상태에서의 인간
4. 은혜의 상태에서의 인간
5. 영광의 상태에서의 인간
6. 나가는 말
제6장 존 웨슬리의 인간론 | 김영선
1. 들어가는 말
2.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된 본래적 인간
3. 하나님의 형상을 상실한 타락한 인간
4.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한 새로운 인간
5. 나가는 말
제7장 슐라이어마허의 경건한 존재로서 인간: 절대의존의 감정과 자유 사이에 서 있는 존재로서 인간 | 최태관
1. 들어가는 말
2. 종교적 개인으로서 인간 이해의 출발점으로서 실증종교
3. 종교론에 나타난 우주에 대한 직관과 감정 사이에서 서 있는 존재로서 인간
4. 보편적 인간성으로서 역사적 예수의 의미: 그리스도
5. 나가는 말
제8장 그리스도를 통해 드러난 인간됨의 신비: 칼 바르트의 관계론적 인간론 | 김진혁
1. 들어가는 말
2. 근대의 ‘절대적 인간’ 비판
3. 인간 현상을 넘어 참 인간의 본성으로
4. 만남과 관계의 존재로서 인간
5. 몸과 영혼의 통일체로서 인간
6. 시간적 존재로서 인간
7. 나가는 말
제9장 에밀 브루너의 인간 이해: 궁극적 빛 앞에 서 있는 책임적 인간 | 이상은
1. 들어가는 말
2. 관계적 존재 그러나 모순 속에 있는 인간
3. 종말의 빛에 서 있는 책임적 존재로서의 인간
4. 나가는 말
제10장 폴 틸리히의 인간론 연구 | 유장환
1. 들어가는 말
2. 본론
3. 나가는 말
제11장 판넨베르크의 인간에 대한 이해 | 안유경
1. 들어가는 말
2. 인간의 본성
3. 성서와 인간
4. 인간과 역사
5. 하나님 형상으로의 부르심(운명)과 그 종말론적 완성
6. 나가는 말
제12장 토마스 토렌스의 인간론 | 김학봉
1. 서론
2. 인간 이해 역사에 대한 토렌스의 해석: 관계 안에 있는 인격들
3. 토렌스의 신학적 인간 이해: 하나님의 관계적 형상
4. 토렌스의 과학적, 철학적 인간 이해: 인격적 주체와 관계 안에 있는 인격
5. 결론
제13장 위르겐 몰트만의 인간 이해: ‘하나님의 형상’(imago Dei) 이해를 중심으로 | 이신건
1. 들어가는 말
2. 『인간』에서 나타나는 몰트만의 ‘하나님 형상’ 이해
3. 『창조 안에 계신 하나님』에서 나타나는 몰트만의 ‘하나님 형상’ 이해
4. 나가는 말
제14장 여성·생태 신학적 인간론 | 김정숙
1. 들어가는 말: 신학적 인간학이란 무엇인가
2. 전통적인 신학적 인간학의 비판과 도전으로서의 여성·생태 신학적 인간론
3. 근대 철학적·과학적 인간론에 대한 여성·생태 신학적 인간학의 비판
4. 여성·생태 신학적 인간론의 관계의 원형으로서의 삼위일체
5. 나가는 말
제15장 트랜스–포스트휴머니즘과 신학적 인간론 | 정대경
1. 서론
2. 트랜스휴머니즘이란?
3. 트랜스휴머니즘과 기술
4. 트랜스휴머니즘과 이념
5. 트랜스휴머니즘과 신학적 인간론: 트랜스휴머니즘과 신학적 인간론 사이 대화를 위한 신학적 평가와 제안
6.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