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민속/한국전통문화
· ISBN : 9788952101396
· 쪽수 : 494쪽
· 출판일 : 2000-05-10
책 소개
목차
- 머리말
제1부 종가의 형성과 이념
제1장 종가의 형성 배경
1) 사림의 학맥형성과 그 특성
2) 당쟁과 종가의 형성
3) 남인 종가의 생활 유지
제2장 문묘배향과 종가의 형성
1) 문묘배향의 사상적 배경
2) 문묘의 건립
3) 문묘배향
4) 문묘배향과 종가의 형성
5) 종가의 특성
제3장 종가의 이념
1) 유학의 우주관과 사회사상
2) 유학이 지향하는 인간상
3) 유학과 종법사상
4) 가족주의와 가문주의
제4장 종가와 수가
1) 종가의 형성과 흥성
2) 대잇기
3) 수가
제2부 종가의 제도적 특성과 전개과정
제5장 종가의 제도적 특성
1) 종가의 가부장제
2) 종가의 혼인
3) 적처권과 성
4) 종가의 혼맥
5) 종가의 가계계승
6) 문중의 형벌
제6장 종가의 아동 사회화
1) 사회화의 정의
2) 종가 사회화의 목적
3) 아동 사회화 대행자
4) 아동 사회화와 성차
5) 종가 교육의 원리와 방법
6) 아동기 사회화 내용
7) 종가의 사회화 이론
8) 사회화의 심리기제
제7장 종가의 서얼 사회화
1) 조선의 서얼정책
2) 종가의 서얼차대
3) 서자의 고뇌
제8장 종가의 여성 사회화
1) 여성상
2) 여성교육
3) 종가의 여성교육
4) 종부상
5) 여성의 지위와 권한
6) 종부의 권한
7) 종부의 가족관계
제3부 사회적 변화와 종가의 적응
제9장 종가의 적응유헝
1) 종가의 기질
제10장 사회변화와 종가의 대응
1) 종가의 부침과 그 원인
2) 사회변동과 대처
3) 종가의 현재와 미래
- 부록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