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88952104120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03-03-10
목차
제1장 조선 후기 유교와 서학의 교류와 충돌
1. 서학의 전래와 유교·서학의 갈등 문제
2. 서학의 전래와 조선사회의 수용 기반
3. 조선 정부의 서학 금압 정책
4. 서학 수용에 따른 쟁점과 영향
5. 유교·서학의 교류와 갈등의 의미
제2장 星湖 李瀷의 서학 인식
1. 성호의 서학 인식 문제
2. 학풍의 개방성과 서학 지식의 이해
3. 서학 윤리의 긍정적 이해와 천주교 교리의 비판적 인식
4. 서양과학의 인식과 새로운 세계관
5. 성호 실학에서 서학이 지닌 의의
제3장 遯窩 愼後聃의 서학 비판 이론과 쟁점
1. 攻西派의 성립과 신후담의 위치
2. 신후담의 서학 인식과 비판 태도
3. 천주?태극 개념의 논변
4. 영혼론의 비판 논리
5. 신후담의 서학 비판론이 지닌 특성
제4장 順菴 安鼎福의 서학 비판 이론과 쟁점
1. 安鼎福의 서학 인식과 비판의 기본 입장
2. 天主와 降生 문제의 쟁점
3. 윤리와 사회질서의 쟁점
4. 영혼론과 연관된 쟁점
5. 艮翁 李獻慶의 「天學問答」에 제시된 서학비판론
6. 안정복의 서학비판론이 지닌 특성
제5장 髥齋 洪正河의 서학 비판 이론과 쟁점
1. 서학 비판의 목적
2. 서학 비판의 기본 방법
3. 天主 개념의 비판과 쟁점
4. 윤리의식과 자연관에 대한 비판
5. 홍정하의 서학비판론이 지닌 특성
제6장 信西派의 유교문화 인식과 천주교 신앙
1. 조선 후기 信西派의 천주교 신앙
2. 信西派의 초기 신앙 공동체와 전개 과정
3. 李檗의 서학 인식
4. 丁若鍾의 『주교요지』와 黃嗣永의 「帛書」
5. 丁夏祥의 「上宰相書」와 護敎論의 쟁점
6. 信西派의 신앙 활동이 지닌 성격과 의미
제7장 茶山의 事天學과 서학 수용
1. 事天學의 제기와 계승
2. 다산과 천주교 신앙의 만남
3. 白湖의 古學과 事天學의 정립
4. 다산의 上帝·鬼神 개념과 事天
5. 다산의 心性 개념과 사후 존재
6. 다산의 서학 수용이 지닌 의미
제8장 화서학파의 서학 인식과 척사론
1. 한말의 시대 상황과 斥邪論의 각성
2. 천주·영혼 개념을 形氣로 규정하는 비판론
3. 서학의 신앙과 윤리관에 대한 비판론
4. 華夷論과 西勢 배척의 논리
5. 도학 정통의 수호와 禦洋 대책
6. 한말도학과 척사론의 의미
제9장 海鶴 李沂와 佛人 神父 로베르의 儒學?西學 論辨
1. 조선후기 儒敎와 西學의 交涉史的 이해
2. 李沂와 로베르의 논변에 관한 문헌과 성격
3. 논변의 쟁점과 이론
4. 논변의 의의와 한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