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화서학파의 심설논쟁

화서학파의 심설논쟁

금장태, 이향준, 김문준, 이상익, 김근호, 곽신환, 강필선, 박성순, 김병애, 이선경, 박인호, 오석원 (지은이)
문사철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500원 -5% 0원
1,500원
27,000원 >
27,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700원
24,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화서학파의 심설논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화서학파의 심설논쟁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91186853962
· 쪽수 : 602쪽
· 출판일 : 2022-01-15

책 소개

이항로와 화서학파 학인들의 학문 사상에 대해서는 학계의 연구가 상당수 집적되었다. 그동안 발표되었던 논문 가운데 수작(秀作)이라고 할 만한 것, 연구사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 것들을 모아 한 권의 책으로 엮었다.

목차

서문 | 최영성
제1부 화서의 성리학과 화서학파의 성립·분기
1. 이항로: 역사의 비탈길에 선 성리학자의 기획 | 이향준
2. 화서 이항로 성리학의 특징과 의의 | 김문준
3. 화서 심설에 대한 성재의 조보와 그 의의 | 이상익
4. 화서학파 김평묵과 유중교의 심설 논쟁 | 김근호
5. 화서학파 심설논쟁의 재조명 | 이상익
6. 화서의 주리론과 퇴계학 | 이상익
7. 화서학파의 율곡학 지수와 변통 | 곽신환
8. 화서학파의 전개과정과 양상 | 금장태
제2부 화서학파 성리학의 실천적 양상
9. 한말 화서학파의 의리사상에 관한 일고 | 강필선
10. 화서 이항로 심설과 척사논리의 상관관계 | 박성순
11. 화서 이항로 척사위정사상의 이론적 근거와 실천 | 김병애
12. 성재 유중교의 경학과 경세론 | 이상익
13. 면암 최익현의 성리설과 수양론 | 금장태
14. 의암 유인석의 심설과 의리실천 | 이선경
15. 『송원화동사합편강목』에 나타난 화서학파의 역사인식 | 박인호
16. 화서 사상의 특성과 현대적 의미 | 오석원

저자소개

곽신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4년 충북 옥천 출생으로, 대전고, 숭실대학교 철학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동양철학과를 졸업, 논문 「주역의 자연관과 인간관」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82년부터 숭실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성리학, 주역철학, 중국철학사, 한국철학사 등 동아시아철학을 연구하며 강의하였고 2019년 가을 정년퇴임 후 명예교수로 있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파견교수, 대만 교육부 한학연구중심 초빙교수, 미국 뉴욕주립 버펄로대학 방문교수로 연구하였고, 숭실대학교에서 학생처장, 교무처장, 대학원장,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장을 역임하였다. 한중철학회회장, 주역학회회장, 율곡학회회장, 철학연구회회장을 역임하였고 주자학술상, 열암학술상, 율곡학술대상, 황조근정훈장을 받았다. 주요 저·역서로 『주역의 이해』(서광사, 1990), 『철학에의 초대』(서광사, 1992), 『중국철학의 정신』(서광사, 1993), 『직하철학』(철학과현실사, 1995), 『주자언론동이고』(소명출판, 2002), 『조선유학자의 지향과 갈등』(철학과현실사, 2005), 『태극해의』(소명출판, 2009), 『소강절의 선천 역학』(예문서원, 2012), 『우암 송시열』(서광사, 2012), 『조선유학과 소강절 철학』(예문서원, 2014), 『윤산온-공의와 배려의 행로』(숭실대학교출판부, 2017), 『편하설-복음과 구원의 글로벌화』(숭실대학교출판부, 2017), 『주역의 지혜』(서광사, 2017), 『1583년의 율곡 이이』(서광사, 2019) 등이 있다.
펼치기
금장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통 유학을 되살려 정리하고 오늘날에 맞게 적용하는 한편 유학을 종교적으로 확립하는 데 노력을 기울여 왔다. 이를 위해 퇴계 이황, 다산 정약용, 화서 이항로 등을 중심으로 연구했다. 퇴계의 성리학, 다산의 실학을 거쳐, 화서를 중심으로 하는 근대 유학의 전모를 규명하고 정리하는 작업이 그의 주 전공이다. 이런 작업 과정에서 구한말 일제 침략과 더불어 단절되고 묻혀버렸던 근세 유학자 70여 명을 발굴하기도 했다. 지금은 대부분의 시간을 원주의 대수리 마을에서 아내와 함께 자연과 노닐고 있다. 가끔 지인들을 만나기 위해 서울과 천안 등을 오가고 있으며 여행을 즐기기도 한다. 서울대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 대학원 동양철학과(철학박사), 동덕여대 · 성균관대 교수를 역임했다. 2019년 현재는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다. 저서에 『동서교섭과 근대한국사상』, 『한국실학사상연구』, 『한국근대의 유교사상』, 『유교사상과 종교문화』, 『조선 전기의 유학사상』, 『조선 후기의 유학사상』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박인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선시대사와 사학사를 전공하였다. 현재 금오공과대학교 교양교직과정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사학사대요』, 『조선후기 역사지리학 연구』, 『조선시기 역사가와 역사지리인식』 등이 있다.
펼치기
김병애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기京畿 여주驪州 출생 고려대高麗大 대학원大學院 고전번역협동과정古典飜譯協同科程(문학박사文學博士) 졸업 민족문화추진회民族文化推進會 국역연수원國譯硏修院 상임연구원常任硏究員 서울시립대市立大․단국대檀國大․홍익대弘益大․한국고전번역원韓國古典飜譯院 강사 역임歷任 성균관대成均館大 유교문화연구소儒敎文化硏究所 수석연구원首席硏究員 역임 한국전통문화대韓國傳統文化大 철학연구소哲學硏究所 전임연구원專任硏究員(現)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감사監事(現) 교육부장관상 수상 국사편찬위원회장상 수상 論文 및 譯書 論文 <蘇軾散文의 文藝美 硏究> <≪律呂新書≫의 번역․교감․주석 고찰> <折中義例에 보이는 신후담 역학요소의 개념 분석과 성호문인의 周易折中 논변> 譯書 ≪마음 속의 대나무 - 蘇軾散文評說≫ 共譯 ≪한국주역대전≫ ≪承政院日記≫ 등
펼치기
오석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9년 경기도 화성(華城) 출신이며,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동양철학과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안동대학교 윤리교육과와 동양철학과 조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 유학동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성균관 유교신문사 편집인 겸 주간, 동양철학연구회장, 한국유교학회장, 화서학회장, 성균관 부관장,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장 겸 대학원장, 동아시아 학술원 유교문화연구소장 등을 역임하였다. 엮어낸 책으로는 <한국도학파의 의리사상>(2005), 공저로 <조선조 유학사상의 탐구>, <안동의 선비문화>, <조선조 성리철학의 구조적 탐구>, <동국18현>, <유학사상>, <N세대를 위한 유교철학 에세이>, <유교인간학>, <현대인의 유교읽기> 등이 있다.
펼치기
박성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 역사학과 및 고려대 대학원 사학과 졸업(문학박사). 한국근대사 전공.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원,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연구교수, 미국 UCLA 방문학자를 역임하였다. 현재 단국대 교양교육대학 부교수, 한국근현대사학회 이사,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사전 편찬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는 『우당 이회영과 범정 장형의 발자취를 찾아서』, 『‘조선심’을 주창한 민족사학자 문일평』, 『호모클래식스, 고전으로 자본주의를 넘다』(2012 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조선유학과 서양과학의 만남』, 『선비의 배반』, 『박제가와 젊은 그들』, 『한 권으로 읽는 성웅 이순신』 등이 있고, 논문으로는 「1910년대 신흥무관학교 학생모집의 경로와 거점」, 「石洲 李相龍의 <滿洲紀事> 분석을 통해 본 新興武官學校의 하급교육기관 실태」, 「梵亭 張炯의 獨立運動과 그 位相」, 「독립운동가 梵亭 張炯의 단군민족주의와 건학이념」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강필선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65년 서울 출생.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 동대학원 박사과정 졸업. 성균관대, 서울교대 출강. 주요논문 화서 이기론의 주리적 특성에 대한 일고 화서 심성설의 주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말 화서학파의 의리사상에 관한 일고
펼치기
강필선의 다른 책 >
김근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청주교육대학교 교수
펼치기
이상익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이다. 1995년 성균관대학교에서 “한말 절의학파와 개화파의 사상적 특성에 관한 연구”라는 논문으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유가 사회철학 연구』(2001), 『유교전통과 자유민주주의』(2004), 『주자학의 길』(2007), 『현대문명과 유교적 성찰』(2018), 『한국성리학사론』(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이선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철학연구소 연구원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