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수학교육 전공
· ISBN : 9788952107978
· 쪽수 : 374쪽
· 출판일 : 2007-01-25
목차
머리말
제1장 수학교육학
1. 과학으로서의 수학교육학의 필요성
2. 수학교육연구의 실상
3. 수학교육학
1) 수학교육학
2) 수학교육학의 연구영역
3) 수학교육학의 연구방법
4) 수학교육학의 구성적 성격
4. 수학교육연구와 교사교육
제2장 교수모델
1. 이론과 실천의 매개자로서의 교수모델
2. Glaser의 교수모델
3. 학습내용과 학습목표
4. 학생의 특성과 활동
5. 교수절차
6. 학습의 진전과 성과에 대한 평가
7. 직관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한 학습지도
제3장 수학교육의 현황과 교육사조
1. 수학교육 현대화 운동의 반성과 활동주의
1) 수학교육 현대화 운동의 반성
2) 활동주의 수학교육
2. 수학교육 사조
1) 수학교육 사조의 원류
2) 아카데미시즘
3) 리얼리즘
4) 휴머니즘
제4장 현대 수학교육 철학
1. 수학의 본질
1) 경험론적 해석과 선험론적 해석
2) 유명론적 해석
3) 플라톤주의적 해석
4) 조작적 구성주의적 해석
2. 일반적인 입장
3. Freudenthal의 수학화 학습-지도론
4. 집합과 논리
제5장 수학교육의 목표
1. 일반적인 교육목표가 갖고 있는 문제점
2. 수학교육을 뒷받침하는 여러 가지 관점
3. 수학교육의 일반적인 목표
4. 교육목표의 상세화
5. 수학교육의 정의적 목표
제6장 활동주의 수학교육 이념의 원류
1. 고전적 활동주의
1) 활동주의 교육사상의 역사
2) 활동주의의 제측면
2. J. Dewey의 『수의 심리학과 그 산술교수법에의 적용』
1) 역사적 위치
2) 수의 개념과 그 발생
3) 산술교수법
3. 직관기하
1) 직관기하의 교육이념
2) Treutlein의 기하학적 직관교수
제7장 수학학습 심리학
1. J. Piaget의 이론과 활동적 학습원리
1) Piaget의 발생적 인식론과 심리학
2) 균형이론
3) 인지적 sch뢭es
4) 발달단계이론
5) 자주적 행동과 조작의 교수학
2. J.S. Bruner의 이론
1) 『교육의 과정』과 수학교육
2) EIS 이론
3) 지식의 구조
4) 발견학습
3. Z.P. Dienes의 수학학습이론
4. R.R. Skemp의 수학학습이론
5. R.M. Gagn렲?D.P. Ausubel의 학습이론
6. J.P. Guilford의 지력의 구조이론과 수학적 능력
7. 인지전략의 촉진
8. 연습의 심리학
제8장 수학적 능력
1. 수학적 능력의 정의
2. 수학적 능력의 구조에 관한 V.A. Krutetskii의 연구
3. 수학적 정보수집과정의 특성
4. 수학적 정보처리과정의 특성
1) 수학적 대상, 관계 및 연산을 일반화하는 능력
2) 추론을 단축시키는 능력
3) 사고과정의 유연성
4) 우아한 해법을 얻으려는 노력
5) 사고과정의 가역성
5. 수학적 정보파지과정의 특성
제9장 수학교육과 교구 및 표기의 문제
1. 수학교육과 교구
1) 활동주의적 수학교육과 교구
2) Film 교구
3) 구조교구
4) 수학적 사고모델
2. 수학교육과 표기
1) 수학과 표기
2) 식의 지도
3) 언어학적 측면에서 본 수학교육
제10장 수학 교수-학습 과정의 구성원리
1. 발생적 원리
2. 발생적 원리의 구체화
3. 전통적인 교재구성원리와 그 비판
제11장 수학 학습-지도 과정의 계획과 분석
1. 학습-지도 과정의 계획
2. 학습-지도 과정의 분석
제12장 수학학습목표의 행동적 진술
1. 학습목표의 행동적 진술
2. 학습목표 상세화에 대한 비판
제13장 수학학습의 평가
1. 평가모형
2. 행동수준의 세분화와 검사문항의 예
3. NCTM의 평가규준
제14장 ‘인간교육’을 위한 주요 교과로서의 학교수학
1. 수학교육 사상의 뿌리 Ⅰ
1) Platon의 수학교육 철학
2) 지식의 구조와 ‘실재’
2. 수학교육 사상의 뿌리 Ⅱ
1) Archimedes의 실제수학과 자연의 수학적 질서
2) 계산수학과 진리감각
3. 수학교육 사상의 뿌리 Ⅲ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