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88952112316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1-07-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서장 관광으로 독해하는 지역
1. 관광으로 독해하는 홋카이도
2. 지역의 정의
3. 지역성 접근방법
4. 지역정체성의 구성
1장 일본 지방도시의 문화전략과 지역다움
1. ‘지역다움’이란
2. 일본인의 고향, 후루사토 만들기
3. 분권개혁과 지역의 문화전략
4. 문화전략으로의 지역다움
5. 지역의 의미 경합
2장 홋카이도 관광 이미지 분석
전후 대량관광에서 포스트모던 관광까지
1. 관광과 상상의 지리
2. 관광 이미지에 대한 사회공간적 접근
3. 홋카이도 관광 이미지의 변화
4. 홋카이도 지역개발 담론의 변화
5. 관광 이미지의 형성: 담론과 실천
3장 역사관광지의 문화정치
운하의 거리 오타루
1. 문화관광지의 지역정체성
2. 운하보존운동과 지역자산의 ‘재해석’
3. 문화관광지로의 ‘제도화’: 역사경관 보존과 문화산업 성장
4. 지역의 ‘재인식’: 역사문화 관광지로
5. 문화관광지의 사회적 구성
4장 아이누 민족 문화 관광 실천의 공간정치
1. 민족관광의 진정성
2. 아이누 문화 관광의 성장: 긍정적 재해석(1880년~1980년대)
3. 문화관광 실천의 공간정치: 자연공생과 기억의 선택
(1990년대~2000년대)
4. 관광객의 관광경험: 경합하는 시선
5. 민족의 문화에서 지역의 문화로?
5장 도시재생의 문화정치
왓카나이의 러일우호도시 만들기
1. 도시재생의 문화전략
2. 일본의 도시재생정책
3. 도시재생정책과 러일우호도시
4. 러일우호도시로의 문화정치
5. 러일우호도시 만들기의 가능성
6장 행정구역 재편의 공간정치
1. 헤세 대통합
2. 일본의 시정촌 통합 경과와 현황
3. 연구지역의 시정촌 통합과 월경지 형성 과정
4. 행정구역 개편의 공간정치 265
5. 일본의 시정촌 통합과 행정구역 재편의 공간정치
찾아보기
Abstract
저자소개
책속에서
세계화와 탈산업화 속에서 장소 간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많은 도시는 문화전략을 통해 도시 재생과 경쟁력 강화를 꾀하고 있다. 이 절에서는 일본의 지방도시에서 전개되고 있는 문화전략에 주목하여 ‘지역다움’이 그 핵심키워드가 되고 있음을 밝히고, 이에 담겨있는 논리를 밝히고자 하였다.
1970년대 이후 일본의 지방은 ‘일본인의 고향’으로 자리매김되었다. 고도경제성장기가 끝난 후, 경제적 풍요로움 속에서 일본사회의 가치관은 삶의 질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고, 지방은 잃어버린 일본을 발견하고 추억하며 사회심리적 불안감을 달래는 장소로 자리매김되었다. 1980년대 중앙정부의 일련의 문화행정 속에서 고향의 생산과 소비는 적극 장려되었으며, 지자체는 성심성의껏 전통의 고안에 몰두하였다. ‘고향’은 지방도시 문화전략의핵심 키워드로 등장하였으며, 지방은 일본인을 위한 성스러운 고향을 의미하게 되었다.
최근 일본의 지방도시에서는 관광전략이 세계화와 지방분권 담론 속에서 지역의 고유한 특성을 강조하면서 적극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관광을 통해 지역다움을 모색하고자 하는 이러한 움직임은 지난 1970년대 또는1980년대 이후 마치즈쿠리 움직임 속에서 꾸준히 제기되어온 것이다. 따라서 일본의 지방도시에 대한 사례연구는 지난 30년간의 장기적인 맥락 속에서 지역성이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과정과 그 프로세스를 밝히는 데 유용하다.
일본에서도 1970년대 고도경제성장이 끝난 후 삶의 질을 중시하는 것으로 사회적 가치관이 전환되었고, 이후 지방화 담론 속에서 지역문화에 초점을 둔 문화전략이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특히 1980년대 이후 도시정책에서 고령화와 인구 감소가 최대 과제로 떠오르면서, 지방도시에서는 기존의 도심부 상권이 쇠퇴하고 공공서비스가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가 심각하게 나타났다. 이에 고이즈미(小泉) 정권에 들어선 이후, 국가적 차원에서 도시재생정책을 적극추진하기 시작하였다.